해라시멘트 (0914.HKS)주가

2023. 8. 1. 00:05중국&홍콩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오늘 소개할 종목은 홍콩주식 시장에 상장된 중국 최대의 시멘트 회사 '해라시멘트'입니다

우리나라의 비슷한 종목은  한일시멘트나 쌍용양회 종목 정도로 비교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997년에 설립된 중국의 대형 시멘트 제조업체로,

2020년 기준 세계 시멘트 생산량은 약 21,720만 톤으로 세계 2위였습니다

세계 시멘트 생산량 1위는 스위스와 프랑스합작회사인 LafargeHolcim이고,

3위는 중국의 China National Building Materials (CNBM), 4위는 독일의 HeidelbergCement입니다

 

해라시멘트는 다양한 종류의 시멘트와 골재, 레미콘, 화학제품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미얀마, 라오스 등에 해외 현지공장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안휘해라시멘트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에도 진출하여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저장 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국 최대 시멘트업체인 해라 시멘트는 인수합병을 통해

원료 1,630만 톤, 시멘트 2,790만 톤, 골재 900만 톤의 Capa를 확보한 상태이고

화동, 중남, 동남지역에 134개의 가공원료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도, 미얀마, 라오스 등에 생산라인 확충하는 등 공격적인 경영을 하고 있습니다.

 

 

 

1. 해라시멘트 기본정보 

기준일 : 23년 7월  27일 기준   (원/HKD 환율 :  165원) 
1. 해라시멘트 안휘해라시멘트 海螺水泥 Anhui Conch Cement Company Limited Class H
2. 회사설립 일자 1997 년      
3. 주식시장 상장일 1997 년 10월 21일 홍콩주식시장  
4. 총 발행주식 수  1,299,600,000 주  
5. 유통 주식 수  1,182,799,750 주  ( 91.01 %)
6. 현재가 21.850 HKD 3,600 원  
7. 시가 총액 30,410,640,000 HKD 약 5조원  
8. 올해 배당금액 (배당 유무) 1.6407 HKD (배당 수익률  7.5 %)   
9. 최소 매수수량 (기준 단위) 500 주       
10. 매입 최소 단가 1,800,000원    

● 공식홈페이지 : http://www.conch.cn

 

安徽海螺水泥股份有限公司

Copyright © 2018 安徽海螺水泥股份有限公司 .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Wanhu . 皖ICP备05009088号 本站所有信息未经授权不得转载,转载需注明出处,海螺水泥保留追究法律责任的权利

www.conch.cn

 

2. 사업 내용

                             

시멘트뿐만 아니라 골재, 레미콘, 조립식 건물,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톈산 주식(天山股份), 지둥시멘트(冀东水泥), 상펑시멘트(上峰水泥) 등

다른 시멘트 기업과도 지분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20231분기 매출액은 5조 9199억 원으로 전년도 동기대비 19.5% 상승했습니다.

해라시멘트의 매출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시멘트 (80%)

시멘트는 해라시멘트의 주요 제품으로, 매출액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포틀랜드 슬래그 시멘트, 포틀랜드 플라이애시 시멘트,

포틀랜드 석탄회 시멘트, 저발열 시멘트, 조기강도 시멘트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시멘트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그라우팅 등에 사용되며, 건설 및 인프라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2. 골재 (10%)

골재는 자연석이나 인공석을 부수어 만든 재료로, 콘크리트의 주성분이 됩니다.

골재는 크기와 형태에 따라 굵은 골재와 세분 골재로 구분되며, 강도와 내구성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3. 레미콘 (5%)

레미콘은 시멘트와 골재를 혼합하여 만든 콘크리트를 현장에 운반하고 붓는 서비스입니다.

레미콘은 건설 현장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효율적입니다.

 

4. 조립식 건물 (3%)

조립식 건물은 사전에 제작된 구성 요소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만드는 건물입니다.

조립식 건물은 건설 기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5. 신재생에너지 (2%)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저장 등을 포함하며,

해라시멘트는 이를 통해 탄소중립 목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6. 태양광발전·에너지저장에 9700억 투자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9700억 원 이상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해라시멘트는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저장 등에 50억 위안을 투자하고,

자사의 태양광 발전 설치량은 올해 연말까지 1 GWh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해라시멘트는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통해 시멘트 생산 과정에서 탄소량 배출을 감소시키고,

중국 정부의 탄소중립 계획에 동참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7. 인수합병을 통한 덩치 키우기

2021. 8월 해라시멘트는 자사 주주인 해라창업투자유한책임공사(海螺创业投资有限责任公司)로부터

해라 신재생에너지회사의 지분 100%를 4억 4300만 위안(약 861억 5021만 원)에 인수했습니다.

 

 

3. 산업 및 시장분석

 

중국의 시멘트 업계는 세계 최대의 시멘트 생산 및 소비 국가로,

2020년 기준으로 전 세계 시멘트 생산량의 약 58%, 소비량의 약 6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시멘트 업계는 급속한 국가 경제 발전과 함께 지난 수십 년간 급성장하였으나,

최근에는 환경 문제, 공급과잉, 가격 하락,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멘트 시장에서는 안휘해라시멘트가  15%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업계 1위 기업입니다

중국 시멘트 시장은 매년 약 20억 톤의 생산량을 가지고 있으며, 

이 수치는 세계 시멘트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시멘트 사업은 대표적인 굴뚝산업입니다

시멘트 1톤 제조 시 약 0.85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다수, 다량의 환경오염물질을 생성하는 시멘트기업인데요.

중국 정부는 몇 년 전부터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적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사례를 보자면, 환경규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안후이성 우후시의

시멘트 회사들의 대규모 생산중단 조치가 있었습니다

 

겨울철 철강, 석탄, 시멘트 등 생산제한 조치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를 보면 겨울철에는 생산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전체적으로도 생산량은 조금씩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생산 제한의 결과로 시멘트 재고량이 낮아지면서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시멘트 업계는 다음과 같은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환경 친화적인 시멘트 개발

중국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멘트 업계에 대한 환경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시멘트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PM2.5, SO2, NOx)온실가스(CO2) 배출을 줄이기 위해,

초저배 출 개조, 에너지 절약 및 효율 개선, 신재생에너지 활용, 포틀랜드 시멘트 외의

다른 종류의 시멘트 개발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코시멘트(Eco-cement)는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CO2 배출량이 50% 이상 감소하고,

재활용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환경 친화적인 시멘트입니다. (대신 가격이 비싸겠지요?)

 

2. 조립식 건물 사업 확대

조립식 건물(Prefabricated building)사전에 제작된 구성 요소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만드는 건물, 건설 기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과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조립식 건물 사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조립식 건물이 전체 건설면적의 1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시멘트 업계도 조립식 건물에 적합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3. 인수합병 및 해외 진출 활성화

중국의 시멘트 업계는 공급과잉과 가격 하락으로 인해 수익성이 저하되고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멘트 기업들은 중소  규모의 회사들을 인수합병을 통해

시장 점유율과 규모를 확대하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여 새로운 수요와 수익원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미얀마, 라오스 등에 해외 공장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시멘트는 중량대비 단가가 낮은 특성상 원거리 운반이 용이하지 않습니다.

그 때문에 수출 및 수입이 모두 제한적입니다.

 

해라시멘트의 지역별 매출비중을 보면 중국이 96%, 해외 4%로 거의 대부분의 매출이 중국 국내입니다.

그리고 원재료인 석회암도 대부분 자국에서 조달하고 있기 때문에

무역분쟁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4. 주가 및 주봉차트

 

홍콩시장에 상장된 해라시멘트의 주봉차트 (출처:키움증권)

주봉 차트를 통해 주가를 분석할 것도 없이 그냥 바닥입니다

최고가 찍고 3년 가까운 시간 동안 고점대비 65%나 하락한 후 최근 바닥을 확인하고 있는 상태로

하락은 멈추고 추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공장장이 세계 1위 기업이 아닌 2위를 분석한 이유가 있는데 아래 차트를 보시면

세계 1위 기업은 이미 경기를 반영 선행해서 먼저 가고 있는 중입니다

아래 차트를 보시기 바랍니다

미국에 상장된 CRH(ADR) 주봉차트 (출처:키움증권)

 

공장장이 보기에 시멘트 부문 건설자재 세계 1위 기업인 CRH(ADR)라는 대장주가

먼저 움직여서 저만큼 가고 있다는 것은 조만간 2등 주인 해라시멘트도 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래서 먼저 간 1등은 잘 가라고 보내주고 2 등주를 잡는 전략이 좋아 보입니다.

 

5. 재무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홍콩주식시장에 상장된 해라 시멘트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2022년도 매출액과 순이익은 썩 좋지는 않습니다.

1.매출액 25조원으로 전년도 대비 17% 하락  
2. 영업이익 3조 1,000억원으로 전년도 대비 53% 하락  
3. 순이익 약 3조원으로 전년대비 50.6% 하락  
4. 현금흐름(재무건전성)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무건전성 양호  
5.부채비율 24.22%로 자기자본에 비해 부채가 양호  
6. 목표주가  : 44.50 HKD
 

매출액과 영업이익 순이익이 모두 전년대비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종목을 분석하는 이유는 

회사가 장사를 못해서 매출액이 줄어든 것이 아니라,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매출하락이기 때문입니다.

 

 

6. 경쟁사 분석

해라시멘트의 경쟁회사 분석

 

7.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업계 최대 규모의 기업으로 중국 시장에서 15%의 점유율(세계2위,중국1위)
제품 포트폴리오의 다각화 (시멘트와 골재, 레미콘, 조립식 건물, 신재생에너지 등)
현금 흐름이 좋고 신사업 투자가 원활 (시멘트 업계내 인수 합병 활발)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저장 등에 9,700억 원 이상을 투자
중국 정부의 인프라 확충에 따른 시멘트 수요 증가가 기대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경기불황으로 최근 실적이 전년 동기에 비해 하락세
부동산 경기와 건설 경기가 악화가 지속될 가능성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환경 규제도 강화
내수 시장의 한계성
전 회장 왕청의 구속수사로 대내외 이미지 추락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인수합병을 통해 시장 점유율과 규모를 확대하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에 기여하고, 품질과 안전성을 향상
조립식 건물 사업을 통해 건설 기간과 비용을 절감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여 새로운 수요와 수익원을 창출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중국내 건설 업계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공급망과 물류에 영향
환경 문제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증가로업계에 대한 규제와 압력이 강화될 가능성
경쟁사들의 거센 추격으로 인한 가격 경쟁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홍콩거래소, 百度百科,360百科, 

                     유안타증권, 키움증권, 삼성증권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8. 해라시멘트 결론

 

해라시멘트의 현금 흐름이 좋고, 신사업 투자가 원활하며,

시멘트 업계 내에서 인수합병이 활발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해라시멘트의 내재적 가치는 주목할만합니다.

 

특히, 해라시멘트는 탄소중립 목표에 기여하고, 굴뚝주에서 벗어나서

조립식 건물 사업을 통해 건설 경기에 앞서는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들은 재무적인 안정성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수익성과 성장성을 보장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중국 정부의 인프라 확충에 따른 시멘트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상황에서는 규모가 가장 크고 안정적인 해라시멘트의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한 가지 더

2022년 5월 해라시멘트 회장이 사임한 뒤에 왕청(王诚)이 검찰에 수사를 받은 일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주가가 오히려 반등하며 기대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새로운 전문 경영진이 경영을 이끌면서 

재평가되는 분위기가 형성되며 주가가 하락하지 않은 데 대해 시장의 주목을 받았으나

결국엔 시장의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건설경기의 불황과 

중국 정부의 환경 문제로 인한 제재 등으로 2022년 하반기에는 실적은 좋지 못했기에

다음 해인 2023년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입니다. 

 

시장에서는 해라시멘트가 시멘트 업계에서 15%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최대 기업이고,

내재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 회장의 구속 수사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분석하고 있으며,

그동안 눌려있던 건설 수요와 인프라 투자 확대 계획은 결국 시멘트 수요 확대를 이끌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이 종목을 매입 시 두 가지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한데요

하나는 단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으로 약 1년 정도 보유하면서

상황에 따라 적당히 시세차익을 실현하고 빠져나오는 방법이 하나이고, 

 

다른 한 가지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유하는 방법입니다.

굴뚝주이고 가봐야 얼마나 가겠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당장은 건설 경기가 안 좋다고 하더라도.. 신규로 접근하는 동남아 해외 시장과 

어떤 건물을 짓더라도 기본적으로 시멘트가 안 들어가는 곳은 없는 만큼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시는 것도 좋을 것이란 생각입니다.

배당 또한 나쁘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도 괜찮아 보입니다.

 

고속도로, 항만, 철도... 인프라와 함께

중국의 끝나지 않은 일대일로의 사업에 있어

시멘트는 꼭 따라붙는 필수 요소가 될 것입니다.

꼭 건설경기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는 관점으로 접근하시면 좋을 포트폴리오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  끝  -

반응형

'중국&홍콩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이투안디앤핑 (3690.HKS)주가  (151) 2023.08.04
핑안보험 (2318.HKS)주가  (137) 2023.08.02
중국만과 (2202.HKS)  (261) 2023.07.28
창과실업 (0669.HKS)주가  (324) 2023.07.26
귀주모태주 (600519.SHS)주가  (143) 2023.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