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투안디앤핑 (3690.HKS)주가

2023. 8. 4. 01:30중국&홍콩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오늘 공장장이 소개할 종목은 

소비자와 상인을 연결하는 인터넷 플랫폼을 회사인 '메이투안디앤핑'이라는 회사입니다.

한국으로 따지면 배달의 민족 + 여기 어때 + 숨고 + 티켓파크 정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름이 좀 어렵습니다.

메이퇀이라고 보통 줄여서 표현하기도 하고 메이퇀뎬핑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키움증권 종목 검색에서 메이투안디앤핑이라고 해야 검색이 되지만 

저는 편의상 메이퇀이라고 줄여서 표현하도록 하겠습니다.

 

알리바바의 자회사 '엘레머(Eleme)', 텐센트의 '메이퇀(Meituan)'은 중국 배달앱의 양대산맥입니다. 

메이퇀의 음식배달앱 시장의 67%를 차지하며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어러머는 현재 상장되어 있지 않으며, 메이퇀만 현재 홍콩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그럼 이름도 어려운 메이퇀이라는 회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움증권에서 메이퇀 키움증권 2021 보고서가 있으니 파일로 첨부하겠습니다

메이퇀 키움증권 2021 보고서.pdf
1.23MB

 


 

1.  기본정보 

기준일 : 23년 8월  3일 기준  (원/HKD 환율 :  165원) 기준
1. 메이투안디앤핑 메이퇀뎬핑 美团 Meituan Class B
2. 회사설립 일자 2010 년       
3. 주식시장 상장일 2018 년 9 월 20일 홍콩주식시장  
4. 총 발행주식 수  5,637,610,000 주  
5. 유통 발행주식 수  4,264,851,965 주  ( 75.65 %)
6. 현재가 140.200 HKD 23,300 원  
7. 시가 총액 790,392,922,000 HKD 13조 416억원   
8. 올해 배당금액
(배당 유무)
배당없음    
9. 최소 매수수량
(기준 단위)
100 주       
10. 매입 최소 단가 2,330,000 원    

● 공식홈페이지 : http://about.meituan.com

 

验证中心

 

verify.meituan.com

 

2. 사업 내용

 

2010년 창업자 왕싱은 텐센트, NLVC 등의 투자를 받아 메이퇀을 창업했습니다.

초창기에는 15억 인구의 중국에서 한국의 배달의 민족 같은 배달앱으로 창업했으나

2015년에 다중뎬핑(大眾点评, Dazhong Dianping)이라는

기업과 합병하여 메이투안디앤핑을 설립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로의 확대합니다.

 

메이퇀 앱은 집수리를 예약할 수 있고, 영화표를 예매할 수 있으며

헬스 서비스와 학원강의, 콜택시를 부를 수도 있습니다.

온라인 진료도 가능하며, 온라인 진단을 받은 뒤 처방전을 사진 찍어 보내면

약 배달까지도 받을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중국 도심에 간판 달린 곳의 서비스는 뭐든지 한다는 개념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죽하면 중국에 간판 달린 모든 상점은

메이투안디엔핑 앱에 다 있다고 할 정도로 입주된 상점이 700만 개에 달한다고 합니다

 

중국인의 필수앱 따종디앤핑 (이거 하나만으로도 한 페이지가 넘을 수 있는데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한눈에 따종디엔핑(大众点评)은 중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생활정보 온라인 검색 플랫폼으로 명칭을 직역하면 대중이 평가한다.’라는 의미의 리뷰앱입니다.

 

리뷰전문 앱으로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검색하는 맛집, 영화관, 숙박 및 각종 입장권,

레저, 미용, 결혼, 쇼핑, 애완동물까지 다양한 항목의 소비 대상들에 대한 평가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다른 사람들이 직접 찍은 사진이나 동영상들을 미리 확인하며 소비하는데

해외까지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따종디엔핑에 검색되는 맛집을 찾아 나서는 등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0203분기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9월 기준 Dianping은 월간 순 방문자수가 33천만 명

일일 순 방문자수가 1억 명 이상, 일일 평균 방문 시간이 21.8분으로 높은 사용자 충성도와 활동

그중 80년~ 00년대 젊은이들이 Dianping의 주요 사용자 그룹으로 70% 이상을 차지하며

특히 여성 사용자가 거의 60%를 차지합니다.

 

인터넷과 일상생활의 결합과 적극적인 사람들의 입소문 마케팅 활용으로

대중들의 소리로 소비자들의 편의성 극대화하여 만든 플랫폼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따종디엔핑 내에서 위치를 한국을 설정할 경우

한국 전체, 서울, 제주도, 부산, 경기도, 수원 등을 대표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21개 도시가 등록돼 있습니다

 

서울을 검색했을 경우 서울 내 등록된 맛집, 의류 매장, 카페 등 다양한 화면이 노출되며

동영상·사진 및 중국인 이용객의 평가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에서 혹은 중국인을 상대로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면

바이두, 위챗, 왕홍 광고보다 디엔핑이 먼저라고 말할 정도입니다

 

메이투안과 따종디앤핑이 결합하여 따종디앤핑에서 검색한 것을

메이투안이 실현시켜 주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실제로 훠궈에 들어가는 야채까지도 배송이력이 따종디앤핑으로 추적될 만큼 

소비자의 입장에서 잘 만들어진 앱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기술 투자 측면에서 Meituan은 자동 배달시스템에 대한 노력을 계속 심화하고 있으며

기술 혁신을 통해 생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개발했습니다.

 

올해 4, Meituan UAV와 선전 세계지창(Shenzhen Window of the World)

공동으로 드론 배달을 위해 협력하기 시작했습니다.

 

사용자가 앱을 통해 테이크아웃으로 주문하면, 드론이 외부 매장으로 보낸 제품을

가장 빠르게 5분 이내에 받을 수 있도록 시행하는 데 성공했으며 점차 지역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원가절감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많은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3. 중국의 음식 배달앱 시장분석

 

중국의 배달음식 산업의 규모는 매우 크고 성장하고 있습니다.

 

2019년 중국 요식업 배달산업 규모는 6536억 위안 (112조 4700억 원)으로

2018년에 비해 39.3% 증가했습니다

2019년 말까지 중국 9억 누리꾼 중 배달 소비자 규모가

46천만 명으로 동기 대비 12.7% 증가했습니다

 

현재 중국 배달음식 시장은 연간 20%씩 성장하여 현재 3천억 위안 (52조 원) 규모로 추정됩니다.

 

중국의 배달음식 산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배달음식을 시키는 직장인과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배달음식 앱(APP) 시장은 이제야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의 배달앱 시장은 한국과는 차이가 있는데 배달음식 앱 사용 계층 분석결과,

직장인이 83%로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대학생 등 캠퍼스 시장이 10.1%,

나머지 아파트단지 구역 등 일반 가정 단지 주문 점유율이 6.9%입니다.

앞으로 시장의 성장가능성이 보이지요?

 

사용자 연령 분석결과, 18~35세 사용자가 75% 이상을 차지하며 점유율 압도하고 있습니다

 

요일별 배달음식 앱 주문량 분석결과 평일대비 주말 주문량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고,

전체 요일 중 일요일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시간별로 배달량 분석결과 11~12시 사이, 19~20시 사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고,

주말의 경우 22~24시까지도 많은 주문량을 보입니다.

 

중국 3대 배달앱인 어러머(饿了么), 바이두와이마이(百度外卖), 메이퇀(美团)

202012월 중국의 음식 딜리버리 앱 사용자 수가 4억 56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메이투안디앤핑 앱

 

 

4. 대표상품과 시장 점유율

 

1. 음식 딜리버리 서비스

중국 최대의 음식 배달 플랫폼으로, 20209월 말 기준으로 6억 6,800만 명의 활성 이용자와

63만 개의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음식 배달 수익은 메이투안디앤핑의 전체 수익의 약 60%를 차지합니다.

 

2. 여행, 티켓 서비스

여행, 티켓 예매, 호텔 예약, 영화 예매 등 다양한 소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20209월 말 기준으로 4억 명 이상의 활성 이용자와 630만 개의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수익은 메이투안디앤핑의 전체 수익의 약 25%를 차지합니다.

 

3. 신선식품배송과 커피 케이터링

신선식품 배송, 커피 배송, 자동차 서비스 등 새로운 소매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20209월 말 기준으로 1억 명 이상의 활성 이용자와 30만 개의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수익은 메이투안디앤핑의 전체 수익의 약 15%를 차지합니다.

 

메이투안디앤핑의 사업비전은 '모든 것을 위한 플랫폼입니다.

메이투안디앤핑은 고객들에게 다양한 소비 선택과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며,

가맹점들에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디지털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메이투안디앤핑은 앞으로도 기존 사업 분야를 확대하고

구인 구직과 같은 새로운 사업 분야들을 개척하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  521일 메이투안은 중국 홍콩에서 새로운 음식 배달 플랫폼 키타(KeeTa)를 공식 출시했습니다.

점진적인 확장 전략으로 인구 밀집 지역인 몽콕과 심사추이 지역을 첫 기점으로

점차 새로운 지역으로 확장할 계획들을 발표했습니다.  

 

 

5. 주가 및 주봉차트

메이투안의 주가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2021년 초반에 최고가 65.688 HKD를 기록한 뒤 2년 동안 계속 하락하다

20 HKD에서 바닥을 확인하다 하락을 멈추고, 추세전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6. 재무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메이투안의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2022년의 매출은 전년도 대비 30%가량 상승하며 많이 늘었습니다

하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을 보시면 기가 막히지요?

장사는 잘했는데 이익이 안 났나? 그건 아닙니다.

2022년 중국 정부의 반독점 벌금 반영과

인프라 투자(물류시설 확충)와 신규사업 투자 확대로 인해 적자 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이렇게 버틸 수 있는 것은 텐센트에서 그만큼 뒷받침이 되고 있기에 가능합니다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SAMR)

메이투안에 344,000만 위안 (약 6,600억 원)의 반독점 벌금을 부과했습니다.

메이투안은 시장 지배적 지위를 악용해 플랫폼 입점 업체에

(알리바바냐? 텐센트냐? ) 양자택일을 강요했다는 이유로 벌금을 받았습니다.

메이투안은 벌금 부과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따르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래서 가장 최근 2023년 1사 분기는 매출이 어떤지 살펴보았습니다

20231분기 메이투안의 이익이 긍정적인 이유는

소비자 시장 수요의 빠른 회복뿐만 아니라 메이투안의 안정적인 사업 전략과

판매 비용 및 마케팅 비용의 이중 절감 때문입니다.

 

지난 11분기 연속으로  Meituan의 활성 거래 사용자의 거래 빈도는 계속해서 증가했습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Meituan AppDianping AppDAU2월에 처음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4월 말 노동절 연휴 전에 다시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올해 중국 현지 서비스 시장의 추가 회복세로 이용자 수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메이투안의 2023년 1사분기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23년 1사 분기 실적이 나아지자 매수세가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2023년 1사 분기 매출

1.매출액 3조 7707 억원 (전년대비 84.5% 상승)  
2. 영업이익 3,970 억원  (전년대비 136.6% 상승)  
3. 순이익 6,389 억원  (전년대비 158.8% 상승)  
4. 현금흐름(재무건전성) 여전히 적자 누적  
5. 부채비율 86.34%  
6. 목표주가 : 196 HKD
 

 

7. 경쟁사 분석

메이투안과 글로벌 경쟁사 비교

 

 

도다시 (DoorDash)

미국의 온라인 음식 배달 플랫폼으로, 202012월에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습니다.

20213분기 기준 매출액은 1114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했습니다.

미국 음식 배달 시장에서 57%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스이트 (Just Eat)

영국의 온라인 음식 배달 플랫폼으로, 20144월에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했습니다.

20204월에 네덜란드의 테이크어웨이닷컴 (Takeaway.com)과 합병하여

저스이트 테이크어웨이 (Just Eat Takeaway)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2021년 상반기 기준 매출액은 2160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했습니다.

유럽 음식 배달 시장에서 45%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인도의 제오마르트 (JioMart), 싱가포르의 그랩 (Grab),

일본의 딜리버리 히어로 재팬 (Delivery Hero Japan) 등 다양한 배달앱 기업들이 있습니다.

 

 

8.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음식 배달, 인스토어,호텔, 학원 등의 신규사업 등 다양한 생활 서비스를 제공
음식 배달 사업에서는 중국 시장의 약 68%의 점유율을 보유
규모의 경제와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
텐센트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위챗과 QQ 매신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트래픽을 확보
잡화 배달, 자동차 서비스 등 신규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신규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인해 적자 폭이 확대
중국 정부의 반독점 조사와 벌금 부과로 인해 정책 리스크가 증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부진과 매장 폐쇄 등의 영향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온라인 음식 배달 이용률은 아직 낮은 수준이므로, 온라인 침투율 상승에 따른 시장 성장 기회
식품잡화 시장은 온라인 침투율이 매우 낮으며, 신선도 유지와 빠른 배송이 경쟁력이 되는 시장선점
자체 보유한 물류 인프라와 트래픽을 활용하여 성장가능성 증대
음식 배달 시장 점유율이 낮으므로, 저변 확대를 통해 시장 점유율 증가 가능성이 큼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음식배달 시장은 알리바바의 엘레머와 디디 출엑스 등의 경쟁사들과의 경쟁이 치열
식품잡화 시장에서는 핀두오두오, 알리바바, JD.com 등의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들과의 경쟁
중국 정부의 반독점 규제 강화로 인해 사업 확장에 제약 가능성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홍콩거래소, 百度百科,360百科, 키움증권,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9. 결론

 

2023년에는 음식 배달 시장의 점유율 상승과 신규사업의 수익성 개선으로 인해

매출은 31%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메이투안디앤핑은 중국 최대의 생활 서비스 플랫폼 기업으로,

음식 배달, 인스토어-호텔서비스, 신선식품배달 등에서 다양한 사업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음식 배달 시장에서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신규사업에서는 식품잡화 배달, 커피 배달, 자동차 서비스 등을 성공적으로 론칭하였습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반독점 규제 강화와 중국 경제 성장률 둔화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메이투안디앤핑은 단기적으로는 실적 부진이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 성장과 수익성 개선에 따른 실적 회복이 기대됩니다.

 

중국의 인터넷 대표기업인 텐센트가 밀어주고 있고,

202372023"Fortune" 중국 상위 500대 기업 목록에서 134위에 랭크되었고

20238월 매출 32698.5(백만 달러)2023년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에 선정되어

467위에 오르며, 주목받고 있는 메이투안디앤핑의 성장 가능성은 그만큼 높다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현재 가격은 미래 가능성에 비해 지나치게 저평가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는 구경할 수 없는 매력적인 가격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8~35세 사이의 사용자가 70% 이상이라는 것은 이미 그들의 충성도는 검증되어 있고

그들의 주머니가 두둑해질수록, 편리함을 찾는 배달 서비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니

그들과 함께 성장할 것을 고려한다면...

결국 이 회사는 그들과 함께 성장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것만으로도 이 주식을 보유해야 할 이유가 충분하다 할 것입니다.

 

짧게는 2년에서 길게 5년 넘게 장기보유할 이유가 충분한 그런 종목이라고 생각하고 

긴 호흡으로 바라봤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  끝  -

 

반응형

'중국&홍콩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D APAC(1876.HKS)주가  (108) 2023.08.08
차이나모바일(0941.HKS)주가  (133) 2023.08.07
핑안보험 (2318.HKS)주가  (137) 2023.08.02
해라시멘트 (0914.HKS)주가  (159) 2023.08.01
중국만과 (2202.HKS)  (261) 2023.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