퀄컴 (QCOM.NAS)주가

2023. 9. 5. 00:01중국&홍콩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CDMA의 원조로 특허 괴물이라고 불리던 퀄컴은 스냅드래곤으로 부활할 것인가?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오늘 소개할 종목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둔 글로벌 무선 전화통신 연구 개발

팹리스 기업으로 글로벌 1위 스마트폰 AP 스냅드래곤으로 유명한 미국 대형 이동통신사

버라이즌, AT&T, T모바일 US, US 셀룰러가 주요 주주로 있는 '퀄컴'이라는 기업입니다. 

 

퀄컴 (QCOM.NAS)은 미국의 반도체 및 통신 장비 제조 회사입니다.

퀄컴은 CDMA, WCDMA, LTE, 5G 등의 통신 기술을 개발하고,

스마트폰용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시리즈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다중분할코드 방식 (CDMA)의 원천 기술 보유사로서

이외에도 기타 관련 기술에 기초한 디지털 무선 통신 제품 및 서비스를 설계, 제조 및 판매합니다.

 

 

동사는 Qualcomm CDMA Technologies (QCT), Qualcomm Technology Licensing (QTL),

Qualcomm Strategic Initiatives (QSI) 3개 부문으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QCT 부문에서는 모바일 및 기타 장치용 칩셋과 소프트웨어를 제공합니다

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FDMA) 및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킹, 응용 프로그램 처리,

멀티미디어 및 글로벌 사용을 위한 기타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회로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공급합니다

 

QTL 부문에서는 통신 기술에 대한 특허 사용권을 부여합니다

CDMA2000, WCDMA, CDMA TDD / 또는 LTE 표준을 구현하는 제품을 포함하는

특정 무선 제품의 제조 및 판매에 유용한 다양한 특허권을 포함하여

지적 재산권 포트폴리오의 일부를 사용하거나 라이선스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QSI 부문에서는 전략적 투자와 기타 사업을 수행합니다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제품 및 서비스의 설계 및 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미디어, 전자 상거래, 의료 및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의 초기 단계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용 칩셋과 플랫폼을 출시하였습니다

또한 모바일 건강 제품 및 서비스 등을 개발, 제공하며,

칩셋 기술 및 데이터 센터용 제품에 대한 라이선스를 제공합니다

 

1985년 설립되었으며, San Diego, California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08Xiam Technologies Limited사를 인수했습니다.

 
 
 
 

 

 


 

1. 기본 정보

 

 

 

 

기준일 : 23년 9월 2일 기준   (원/ USD 환율 : 1,330원) 기준

 

1. 퀄컴 (QCOM.NAS)   QUALCOMM Incorporated
2. 회사설립 일자 1985    
3. 주식시장 상장일 1991 년 12월 13일 미국 나스닥 시장  
4. 총 발행주식 수 1,116,344,508 주  
5. 유통 주식 수 1,114,762,356 주 99.86%
6. 현재가 115.3850 USD 151,800  
7. 시가 총액 1,287억 USD 약 171조원   
8. 올해 배당금액 3,6,9월 0.8USD 배당 배당 수익률  2.64 %  
9. 최소 매수수량   1 주       
10. 매입 최소 단가 151,800 원     

● 공식홈페이지 : http://www.qualcomm.com

 

Wireless Technology & Innovation | Mobile Technology | Qualcomm

Qualcomm invents breakthrough technologies that transform how the world connects, computes and communicates. When we connected the phone to the Internet, the mobile revolution was born. Today, as we unlock 5G, we’re applying our mobile expertise to trans

www.qualcomm.com

 

 

2. 퀄컴의 발전 역사와 주요 사업내용

   

1985년에 어윈 제이콥스가 MIT 동창생들을 모아서 8명 직원으로 창립하였으며

2005년에 아들인 폴에게 회장직을 물려주어,

현재는 2021년에 취임한 크리스티아노 아몬이 CEO직을 맡고 있습니다.

 

CDMA 원천 기술 특허를 가지고 있으며 CDMA, 3G/ 4G(LTE)/ 5G에 수많은 핵심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2G 시절 당시 검증이 안 된 기술이었던 CDMA

ETRI가 공동 개발과 상용화 대응 방안 등으로 도움을 줘서 현재의 독점적 지위의 기업으로 만들어줬으며

그 대가로 퀄컴과 한국기업간의 라이선스에는 최혜국대우에 대한 조항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퀄컴이 중국과 계약하면서 로열티와 기간을 조정하여 한국 업체가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을 제시하여

한국의 최혜국 조항을 회피하는 뒤통수를 치고 기기당 대량의 로열티를 요구했던

퀄컴의 갑질때문에 고생했다는 후문이 내려오고 있으나 진실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상당수의 휴대 전화에 퀄컴 스티커가 붙어있는 것은 그런 이유입니다.

엑시노스, 인텔, 미디어텍이나 브로드컴 등의 비퀄컴제 통신 칩셋을 쓴 기기에는 그런 스티커가 없습니다.

그런데 퀄컴 통신 칩을 쓰면서도 퀄컴 스티커가 없는 기기도 있는데 애플 A 시리즈가 적용된 기기들입니다.

 

사실 퀄컴은 이미 아이폰 5와 갤럭시 S III가 나올 시기부터

유럽 시장에 발매될 국제판 갤럭시 S III에서 삼성 엑시노스와 자사 모뎀 칩셋의 조합을 허용하고

모뎀 칩셋만을 단독으로 판매하는 등

삼성과 애플에만 퀄컴 칩에 대한 높은 커스텀 자유도를 특혜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유는 지극히 단순한데 그저 만들면 만들수록 잘 나가고 잘 팔리기 때문입니다.

 

한때 모든 휴대폰 제품에 붙어 있던 퀄컴 스티커를 기억할 것입니다.

 

 

퀄컴은 피처폰 시절부터 CPU+통신 모뎀 원칩과 GSM+CDMA+HSDPA+LTE 통합 통신 모뎀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었기에 피처폰 시절에 WCDMA 기술에 관련된 특허를 이유로

유수의 기기 제조사들에게 로열티 폭탄을 날린 것으로 악명이 높았고,

현재는 자사 최신 통신 모뎀은 자사 AP와 통합 패키징 형태로만 판매하거나 고성능 칩셋을 구매하려면

저가형 악성 재고 칩셋도 동시 구매를 강제하는 등 특허 괴물에 맞먹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통합 칩을 제공하는 회사 중 제대로 된 고성능 CPU를 갖춘 회사가 퀄컴밖에 없었습니다

미디어텍이라는 대안이 존재했지만 그 당시는 저가형 정도의 성능만 제공했으므로 큰 인기를 끌지는 못 했고

애플과 삼성이 자사의 AP로 차별화를 이루며 스마트폰 시장을 점령하자,

LG와 화웨이를 비롯한 다른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자사 고유의 AP개발에 나섰으니,

LG는 실패하였고, 화웨이는 모종의 이유(너무 잘해서 미국에게 미운털)로 뒤쳐지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퀄컴의 이러한 과도한 CDMA 로열티와 독점을 비난하기는 하지만,

사실 퀄컴이 처음부터 CDMA로 성공한 건 아니었습니다.

퀄컴은 1990년에 CDMA 연구에 과도한 투자로 매년 큰 손실을 입고 있었으며,

심지어 1998년에는 구조조정으로 700명을 감원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말에 미국 무선통신의 표준으로 CDMA가 확정되면서

전화기 모뎀/기지국 모뎀/장비등 판매를 통해서 대성공을 이루게 됩니다.

 

, 순수하게 꾸준한 기술투자를 통해서 특허로 성공한 대표적인 기술중심 기업이 된 것입니다.

뒤늦게 스마트폰 혁명 이후 초기의 로열티 계약이나 특허 계약을 불평하는 삼성과 LG등은

사실 따지고 보면 본인들이 사업 계약을 잘못한 것이라는 평가입니다.

(물론 그 제조사들도 이런 스마트폰 혁명을 예상치 못했기 때문이었을 것이겠지만...)

 

이 외에도 AP와 통신 칩셋뿐만 아니라 Qualcomm Atheros에서 Wi-Fi 및 이더넷 칩셋도 만드는데

모바일 칩셋 분야에서의 만행과는 상반되게 Wi-Fi 분야에서는 인텔, 브로드컴과 경쟁 중입니다

이 회사에서 나오는 컴퓨터, 공유기용 Wi-Fi 칩셋은 저가형 미디어텍, 리얼텍 등의

대만제 칩들과는 비교를 불허하는 품질로 브로드컴, 인텔과 함께 마니아들에게 인기가 높은 편입니다.

 

퀄컴은 Atheros 인수 이전에 Airgo라는 업체를 2005년에 인수해 Wi-Fi 관련 기술은 이미 가지고 있었으나,

인수 이전 Airgo와는 다르게 Atheros 칩셋은 인수 이전에도 이곳 저곳에서 쓰이고 있었으며,

 Qualcomm Atheros가 아닌 그냥 Atheros라고만 나온다면

퀄컴 인수 이전에 만들어진 제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퀄컴에서 인수한 리벳 네트워크(Rivet Network)에서 내놓는

게이밍용 네트워크 칩셋 브랜드인 Killer 시리즈핑 지연시간을 줄여서

더욱 정확한 온라인 게이밍 성능을 제공한다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게이밍용 메인보드나 노트북에는 Killer LAN이나 Wi-Fi 칩셋이 달려있습니다

Killer의 특징은 일단 퀄컴 칩셋답게 품질이 좋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우선 순위를 정하는 기능이

기본 탑재되어 있어서 게이밍 시 쾌적한 환경을 구성해 줍니다.

또한 Killer LANWLAN 칩셋이 동시 탑재된 노트북에서는 유선랜과 무선랜 신호를 합쳐서

속도를 높일 수도 있으Atheros 시절부터 이어진 드라이버 안정성 문제는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어서

기피하는 사람도 여전히 많은 상태입니다

특히 같은 칩셋인데도 불구하고 Windows 버전에 따라 드라이버의 안정성이 천지차이인 경우가 흔한데

이 문제는 Windows 10에서 기능 업데이트를 도입하면서 더 심해졌으며,

잘 작동하던 드라이버가 Windows 업데이트 이후에 먹통이 된다거나 하는 일이

매우 자주 일어나는 상황입니다.

 

20141015, 블루투스 칩으로 유명한 영국 CSR16억 파운드에 인수했습니다.

모바일 AP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하는 기업이지만,

삼성이 스냅드래곤 810의 화룡 810 사건으로  갤럭시 S6,갤럭시 S6 엣지, 갤럭시 S6 엣지 플러스,

갤럭시 노트5에서 엑시노스를 채택하였고, 스마트폰 시장 3위 자리를 두고 엎치락뒤치락하는 화웨이도

하이실리콘을 주력으로 밀기 시작하는 등

주요 고객들의 이탈 및 반독점 이슈로 2015년 들어 실적이 급속도로 악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삼성의 경우, 갤럭시 S20부터는 다시 스냅드래곤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20161027, 차량용 반도체 1위 업체인 NXP 세미컨덕터를 470억 달러(54조 원)

현찰박치기로 인수하기로 합의하면서 반도체 업체 사상 최대 빅딜로 스마트폰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키우려는 포석으로 자리 잡으려 했지만

중국에서는 인수조건의 대가로, NXP의 보안기술을 요구하고,

EU에서는 중국에 NXP 보안기술을 제공할 경우 독과점으로 보고 막겠다고 하는 등

EU와 대주주들의 반대로 인수합병에 난항을 겪었다. 결국, NXP 합병은 무산되었습니다.

 

20211Apple Silicon에서 A시리즈를 만들던 직원들이 퇴사 후

설립한 NuVia14억 달러에 인수한 이후 ARM 아키텍처 기반의 CPUOryon CPU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0년대 들어서 갤럭시 시리즈의 부진한 판매량으로 인해 스냅드래곤 시리즈가 플래그십 시장에서는

Apple과의 점유율이 벌어지는 중이고 같은 안드로이드 진영에서는 미디어텍에게 점유율을 잠식당하고

있기 때문에 내린 결정으로 풀이됩니다

더욱이 스마트폰 시장은 성숙기에 이르렀기 때문에 모빌리티, 메타버스 등의 분야로

폼팩터 확장을 꿈꾸는 퀄컴의 미래 먹거리 사업에 매우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습니다.

 
 
 
퀄컴의 주요 사업내용

 

퀄컴의 주요 사업 부문은 간단하게 QCT, QTL QSI 세 가지 부문으로 요약됩니다

 

QCT (Qualcomm CDMA Technologies) 부문퀄컴의 핵심 사업 부문으로,

장치와 기타 연결된 장치에 사용되는 칩셋과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공급합니다.

QCT 부문은 셀룰러 모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RF 부품, Wi-Fi Bluetooth 등의

비셀룰러 무선 통신 부품, IoT, 컴퓨팅, 자동차 전장, 자율주행 등의 제품을 포함합니다.

QCT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75%를 차지하며,

20214분기 기준으로 모바일 AP 시장에서 30%의 점유율을 기록하였습니다.

 

QTL (Qualcomm Technology Licensing) 부문은 퀄컴의 지적 재산권

포트폴리오의 사용권을 부여하거나 제공하는 부문입니다.

QTL 부문은 CDMA2000, WCDMA, LTE, 5G 등의 통신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포함하며,

무선 제품의 제조 및 판매에 필수적인 특허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QTL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24%를 차지하며, 140,00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QTL 부문은 라이선스 사용료를 기기당으로 계산하는데,

현재 300여 개 이상의 고객사와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QSI (Qualcomm Strategic Initiatives) 부문은 퀄컴의 전략적 투자를 담당하는 부문입니다.

QSI 부문은 인공지능, 자동차,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

음성 및 데이터 통신용 신제품 및 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퀄컴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초기 기업에 투자합니다.

QSI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1%를 차지하며,

향후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에 대한 퀄컴의 역량 강화에 기여합니다..

 

 

 

3. 산업 및 시장분석

 

모바일 AP 산업과 시장분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바일 AP는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 두뇌 역할을 하는 프로세서로,

CPU, GPU, 통신칩 등을 통합한 SoC (시스템온칩)입니다.

모바일 AP 시장은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확산과 함께 급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업체들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AP 시장의 주요 경쟁자는 삼성전자, 퀄컴, 애플, 미디어텍 등입니다.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엑시노스 칩을 갤럭시 시리즈 등에 탑재하고 있으며,

퀄컴은 스냅드래곤 칩을 다른 스마트폰 업체들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아이폰 시리즈에 자체 개발한 A 시리즈 칩을 탑재하고 있으며,

미디어텍은 저가형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헬리오 칩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AP 시장의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1 3분기 기준으로 애플이 31% 1위를 차지하였으며, 퀄컴이 21% 2위를,

미디어텍이 19% 3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삼성전자는 4% 5위에 머물렀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 포인트 감소한 수치입니다.

삼성전자의 점유율 하락은 스마트폰 포트폴리오 전략의 재정비와

엑시노스 칩의 발열과 수율 문제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됩니다.

 

모바일 AP 시장의 경쟁력은 기술력과 제조공정력에 크게 의존합니다.

현재 모바일 AP의 최신 기술은 5G AI를 지원하는 것이며,

제조공정력은 낮은 나노미터 (nm) 공정으로 더 작고 빠르고 저전력의 칩을 만드는 것입니다.

애플과 퀄컴은 5nm 공정으로 제작된 칩을 출시하였으며,

삼성전자와 미디어텍은 6nm 공정으로 제작된 칩을 출시하였습니다.

삼성전자는 올해 말에 4nm 공정으로 제작된 엑시노스 2200 칩을 출시할 예정이며,

이는 AMD와 협력하여 개발한 GPU를 탑재한 최초의 모바일 AP입니다.

 

모바일 AP 시장은 앞으로도 스마트폰 시장의 변화와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저가형 스마트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미디어텍과 같은 저가형 AP 업체에 유리합니다.

반면 고가형 스마트폰에서는 5G AI 기능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애플과 퀄컴과 같은 고성능 AP 업체에 유리합니다.

삼성전자는 자체 AP인 엑시노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술 개발과 제조 공정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중국 등 수요처 다변화와 통합형 AP칩 역량 강화도 필요합니다.

 

 

 

 

4. 대표상품과 시장점유율 분석

 

1. QCT  (Qualcomm CDMA Technologies)

퀄컴의 주요 사업 부문으로,

모바일 장치와 기타 연결된 장치에 사용되는 칩셋과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공급합니다.

QCT 부문은 셀룰러 모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RF 부품, Wi-Fi Bluetooth 등의

비셀룰러 무선 통신 부품, IoT, 컴퓨팅, 자동차 전장, 자율주행 등의 제품을 포함합니다.

QCT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75%를 차지하며,

20214분기 기준으로 모바일 AP 시장에서 30%의 점유율을 기록하였습니다.

 

QCT 산업은 스마트폰 시장의 변화와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저가형 스마트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미디어텍과 같은 저가형 AP 업체에 유리합니다.

반면 고가형 스마트폰에서는 5GAI 기능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퀄컴과 같은 고성능 AP 업체에 유리합니다.

퀄컴은 5GAI를 지원하는 최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mmWave 대역을 지원하는 유일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mmWave 대역은 5G의 실질적 상용화와 연결되며, 더 빠른 통신 속도와 용량을 지원합니다.

퀄컴은 mmWave 지원 능력 때문에 5G 스마트폰 출시 업체들의 의존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QCT 시장의 주요 경쟁자는 삼성전자, 퀄컴, 애플, 미디어텍 등입니다.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엑시노스 칩을 갤럭시 시리즈 등에 탑재하고 있으며,

퀄컴은 스냅드래곤 칩을 다른 스마트폰 업체들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아이폰 시리즈에 자체 개발한 A 시리즈 칩을 탑재하고 있으며,

미디어텍은 저가형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헬리오 칩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QCT 시장의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13분기 기준으로 애플이 31%1위를 차지하였으며, 퀄컴이 21%2위를,

미디어텍이 19%3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삼성전자는 4%5위에 머물렀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 포인트 감소한 수치입니다.

삼성전자의 점유율 하락은 스마트폰 포트폴리오 전략의 재정비와

엑시노스 칩의 발열과 수율 문제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됩니다.

 

QCT 시장의 경쟁력은 기술력과 제조공정력에 크게 의존합니다.

현재 QCT의 최신 기술은 5GAI를 지원하는 것이며,

제조공정력은 낮은 나노미터 (nm) 공정으로 더 작고 빠르고 저전력의 칩을 만드는 것입니다.

애플과 퀄컴은 5nm 공정으로 제작된 칩을 출시하였으며,

삼성전자와 미디어텍은 6nm 공정으로 제작된 칩을 출시하였습니다.

삼성전자는 올해 말에 4nm 공정으로 제작된 엑시노스 2200 칩을 출시할 예정이며,

이는 AMD와 협력하여 개발한 GPU를 탑재한 최초의 모바일 AP입니다.

 

 

2. QTL (Qualcomm Technology Licensing)

 

QTL은 퀄컴의 지적 재산권 포트폴리오의 사용권을 부여하거나 제공하는 부문입니다.

QTLCDMA2000, WCDMA, LTE, 5G 등의 통신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포함하며,

무선 제품의 제조 및 판매에 필수적인 특허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QTL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24%를 차지하며, 140,00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QTL 부문은 라이선스 사용료를 기기당으로 계산하며,

현재 300여 개 이상의 고객사와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QTL 산업은 5G 시대에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G4G보다 더 많은 주파수 및 대역폭을 사용하므로, 통신 기술에 대한 특허권이 더 중요해집니다.

퀄컴은 5G 관련 특허권의 약 15%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업계 최대 규모입니다.

퀄컴은 5G 스마트폰 관련 라이선스 계약을 약 85건 이상 체결하였으며,

대부분 대형 스마트폰 제조업체와 계약을 맺었습니다.

퀄컴은 애플과 화웨이와의 로열티 분쟁을 해결하고,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애플은 그간 누적된 로열티 비용과 신규 라이센스 비용으로 약 47억 달러를 지불하였으며,

화웨이는 18억 달러를 지불하였습니다.

 

QTL 시장의 주요 경쟁자는 인텔, 삼성전자, 화웨이 등입니다.

인텔은 5G 모뎀 사업을 애플에 매각하였으나, 여전히 통신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엑시노스 칩을 갤럭시 시리즈 등에 탑재하고 있으며,

통신 기술에 대한 특허권도 가지고 있습니다.

화웨이는 하이실리콘 칩을 자체 설계하고 있으며, 통신 기술에 대한 특허권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화웨이는 미국의 제재로 인해 칩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다른 업체들에게 자신들의 기술을 판매하지 않고 있습니다.

 
 
 

3. QSI (Qualcomm Strategic Initiatives) 

 

 

QSI는 퀄컴의 전략적 투자를 담당하는 부문입니다.

QSI는 인공지능, 자동차,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

음성 및 데이터 통신용 신제품 및 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퀄컴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초기 기업에 투자합니다.

QSI 부문은 전체 매출의 약 1%를 차지하며,

향후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에 대한 퀄컴의 역량 강화에 기여합니다.

 

QSI 산업은 미래에 대비한 혁신적인 산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QSI는 퀄컴 벤처스라는 자회사를 통해 투자 활동을 수행하며,

현재 150개 이상의 포트폴리오 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QSI는 모바일과 네트워킹 분야에서 이미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었으며,

최근에는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업들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QSI는 올해 초 메타버스 플랫폼인 Rec Room1억 달러를 투자하였으며,

이는 Rec Room의 가치를 15억 달러로 평가하였습니다.

또한, QSI는 영국의 VR 스타트업인 Ultraleap에도 투자하였으며,

이는 VR에서 손 제스처 인식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QSI 시장의 주요 경쟁자는 다른 반도체 기업들의 벤처 캐피털 부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텔은 인텔 캐피털이라는 자회사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인텔 캐피털은 현재 400개 이상의 포트폴리오 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AI, IoT 등의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전자는 삼성 벤처스라는 자회사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삼성 벤처스는 현재 500개 이상의 포트폴리오 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바이오, 디지털 헬스케어, 메타버스 등의 분야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5. 주가 및 차트정보

 
그럼 퀄컴의 최근 차트는 어떤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스닥에 상장된 퀄컴의 주봉차트 (출처:키움증권)

 

193.5800에서 최고점을 기록하고 나서 50% 가까이 하락한 뒤 바닥을 여러 차례 확인하고 있습니다

뭔가 호재가 있다면 언제라도 주가가 튈 수 있는 요건은 갖춰진 것으로 보입니다

일봉 차트로 확대해 보겠습니다

 

나스닥에 상장된 퀄컴의 일봉차트 (출처:키움증권)

계속해서 100~130불대 사이의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는데 100달러대의 바닥은 튼튼하게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105달러 대면 한 번 사볼 수도 있겠다 싶은 상황입니다

 

공매도 현황도 한번 볼까요?

 

퀄컴의 공매도 미상환 잔고 추이

퀄컴의 공매도 미상환 잔고의 수량은 늘어나지도 줄어들지도 않았지만,

일평균 공매도 수량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퀄컴의 일자별 공매도 추이

퀄컴의 공매도 추이는 그냥 평상시와 다를 것이 없다고 보셔도 무방할 듯싶습니다 

 

퀄컴의 주가는 2022년 말에 연중 최고가를 기록했으나,

이후에는 스마트폰 시장의 둔화와 반도체 공급 부족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현재 퀄컴의 PER14.96입니다.

 

퀄컴에 대한 업계 전망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특히 차량용 반도체 사업에서 누적 수주액이 3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성장 가능성을 주목받고 있으며,

mmWave 대역을 지원하는 유일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5G 스마트폰 출시 업체들의 의존도를 높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퀄컴의 목표 주가를 평균 183.69달러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주가보다 59.2% 상승할 여지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JP모건은 퀄컴의 목표 주가를 185달러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시장이 역풍을 맞은 대신 차량용 및 IoT 분야 진출이 성공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퀄컴은 경기 침체 시 시장 수익률을 웃돌 만한 반도체 종목으로 지목되기도 했습니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6768 

 

퀄컴, 차량 AI 칩 판매 집중…2031년 매출 6배 예상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퀄컴이 자동차 시장에서의 칩 산업에 집중하고 있다. 퀄컴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칩 설계 및 공급을 주력으로 하는데, 최근 몇 년 동안 현대, 제너럴모터스(GM), 볼보와

www.digitaltoday.co.kr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931327

 

퀄컴, ‘투자자 기대 대비 상승’ 가능 – JP모건 By Investing.com

퀄컴, ‘투자자 기대 대비 상승’ 가능 – JP모건

kr.investing.com

6. 재무 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그렇다면 특허괴물이라는 퀄컴은 장사를 얼마나 잘했는지 확인해 볼까요?

 

2022년도 퀄컴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9월 결산 법인이라서 작년도 9월 데이터라 1년 전 데이터라면 의미가 별로 없다고 보겠습니다

최근 1사 분기와 2사 분기 데이터를 보겠습니다

 

2023년도 1Q 퀄컴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23년도 1,2,3월 장사는 잘했으나 작년 대비해서는 약간 떨어졌지만 나름 선방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한 달에 4조 원씩 매출을 기록하며, 7천억 원씩 순이익을 남겼으면 대단한 실적 아니겠습니까?

 

2사 분기도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도 2Q 퀄컴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2사 분기도 1사 분기처럼 장사는 잘했는데 전년 대비해서 떨어졌다고 주가가 신통치가 않은 것일까요?

공장장은 이 정도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이면 선방했다고 보는 견해인데 역시 시장은 냉정한가 봅니다

 

 

7. 경쟁사 분석

 

퀄컴의 경쟁사와의 비교

 

퀄컴과의 경쟁사들을 비교해 보면, 퀄컴의 규모가 많이 뒤처지기는 하네요

많이 쪼그라들었다는 그런 느낌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퀄컴의 주요 경쟁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애플

애플은 미국의 기술 기업으로,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애플워치 등의 인기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자체 개발한 A 시리즈 칩을 아이폰 시리즈에 탑재하고 있으며,

이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칩과 직접 경쟁합니다.

애플은 5nm 공정으로 제작된 A14 Bionic 칩을 출시하였으며, 이는 5GAI 기능을 지원합니다.

애플은 20213분기 기준으로 모바일 AP 시장에서 31%의 점유율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퀄컴의 21%를 웃돌았습니다.

애플은 퀄컴과 로열티 분쟁을 해결하고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였으나,

장기적으로는 자체 모뎀 칩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자 제품 제조 회사로,

갤럭시 시리즈, 노트북, TV 등의 인기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엑시노스 칩을 갤럭시 시리즈 등에 탑재하고 있으며,

이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칩과 직접 경쟁합니다.

삼성전자는 6nm 공정으로 제작된 엑시노스 2100 칩을 출시하였으며, 이는 5GAI 기능을 지원합니다.

삼성전자는 20213분기 기준으로 모바일 AP 시장에서 7%의 점유율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 포인트 감소한 수치입니다.

삼성전자는 올해 말에 4nm 공정으로 제작된 엑시노스 2200 칩을 출시할 예정이며,

이는 AMD와 협력하여 개발한 GPU를 탑재한 최초의 모바일 AP입니다.

 

미디어텍

미디어텍은 대만의 반도체 기업으로, 저가형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헬리오 칩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미디어텍은 6nm 공정으로 제작된 디멘시티 1200 칩을 출시하였으며, 이는 5GAI 기능을 지원합니다.

미디어텍은 20213분기 기준으로 모바일 AP 시장에서 19%의 점유율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 포인트 증가한 수치입니다.

미디어텍은 저가형 스마트폰의 수요 증가와 중국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습니다.

 

 

 

8.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5GAI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mmWave 대역을 지원하는 유일한 솔루션을 제공
스마트폰용 프로세서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스마트폰 브랜드와 협력 관계
차량용, IoT, 메타버스 등의 분야에서 사업을 확장,높은 수주액과 신제품 출시를 통해 성장 가능성
건전한 재무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금성 자산이 많고 부채비율이 낮습니다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스마트폰 시장의 정체와 반도체 공급 부족 등의 외부 요인에 영향
전 세계 공정거래위원회와의 분쟁과 과징금 부과 등의 법적 리스크
애플, 삼성전자, 미디어텍 등의 경쟁사들과의 기술 경쟁이 치열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5G 시장의 성장과 확산으로 인해 퀄컴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
인공지능,자동차,디지털 헬스케어,음성 및 데이터 통신용 신제품 및 서비스 등 기술 활용의 기회
전략적 투자를 통해 미래에 대비한 혁신적인 산업을 지원하고, 퀄컴의 역량 강화와 시너지 창출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스마트폰 시장의 포화와 저가형 스마트폰의 수요 증가로 인해 퀄컴의 매출과 이익이 감소
반도체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으로 인해 퀄컴의 생산 비용이 증가로, 고객사들과의 계약 불안
애플, 삼성전자, 미디어텍 등의 경쟁사들이 더 나은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 점유율 증가 가능성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나무위키, 위키백과, 키움증권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9. 결론

 

퀄컴은 미국의 반도체 및 통신 장비 제조 회사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인기 있는 제품은 스마트폰용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시리즈입니다.

스냅드래곤은 CPU, GPU, 모뎀, AI 엔진 등을 통합한 SoC (시스템온칩)으로,

고성능과 저전력 소모를 동시에 실현합니다.

스냅드래곤은 5GAI 기능을 지원하며, 다양한 스마트폰 브랜드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퀄컴 스냅드래곤 칩

 

스마트폰용 프로세서 시장에서 퀄컴의 점유율은 얼마나 될까요?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20211분기 기준 퀄컴이 44%로 부동의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AP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56% 늘어난 63억 달러 (7조 9374억 원) 규모입니다.

카운터포인트 측은 프리미엄 제품의 평균 판매 단가 (ASP) 증가가 매출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하였습니다.

퀄컴의 뒤를 이어 애플이 26%2위를, 미디어텍이 19%3위를 기록하였습니다.

한국 기업인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은 7%입니다.

 

스마트폰용 프로세서 시장에서 퀄컴의 경쟁력은 어떻게 될까요?

퀄컴은 5GAI를 지원하는 최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mmWave 대역을 지원하는 유일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mmWave 대역은 5G의 실질적 상용화와 연결되며, 더 빠른 통신 속도와 용량을 지원합니다.

퀄컴은 mmWave 지원 능력 때문에 5G 스마트폰 출시 업체들의 의존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퀄컴의 주요 경쟁자는 애플, 삼성전자, 미디어텍 등입니다.

애플과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칩을 갖고 있으며, 미디어텍은 저가형 스마트폰에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용 프로세서 시장에서 퀄컴의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퀄컴은 현재 스냅드래곤 8 시리즈를 출시하였으며, 이는 TSMC5nm 공정으로 제작된 최첨단 칩입니다.

퀄컴은 내년까지 TSMC와 파운드리 독점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이는 삼성전자의 수주 기회를 줄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퀄컴은 앞으로도 5GAI 기술의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스마트폰용 프로세서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퀄컴의 강점 중에서 가장 큰 것은 5GAI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mmWave 대역을 지원하는 유일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5G는 4G보다 더 많은 주파수 및 대역폭을 사용하므로, 통신 기술에 대한 특허권이 더 중요해집니다.

퀄컴은 5G 관련 특허권의 약 15%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업계 최대 규모입니다.

또한 퀄컴은 mmWave 대역을 지원하는 스냅드래곤 X60 모뎀 칩을 출시하였으며,

이는 5G의 실질적 상용화와 연결되며, 더 빠른 통신 속도와 용량을 지원합니다.

퀄컴은 mmWave 지원 능력 때문에 5G 스마트폰 출시 업체들의 의존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5GAI 기술은 퀄컴이 스마트폰용 프로세서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차량용, IoT, 메타버스 등의 분야에서도 사업을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퀄컴의 강점 중에서 가장 큰 것은 5GAI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mmWave 대역을 지원하는 유일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AI 기술은 스마트폰의 성능과 기능을 향상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퀄컴은 AI 엔진이라는 자체 개발한 AI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CPU, GPU, DSP, NPU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최적화하여 AI 작업을 수행합니다.

퀄컴은 최근에 6세대 AI 엔진을 탑재한 스냅드래곤 888 칩을 출시하였으며,

이는 AI 작업에서 26 TOPS (Tera Operations Per Second)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퀄컴은 앞으로도 AI 기술의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면면들을 따져보면 현재 주가는 어느 정도는 메리트가 있어 보입니다

저평가되어 있다고 보지는 않지만 적당히 빠져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105~106달러 정도면 공격적으로 매수할 만한 가격대라고 보입니다.

길게 보유하는 것보다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 연말 내년 초 정도에 

180~200달러 근처에 접근하면 매도하는 전략으로 짧게 보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5GAI 기술은 자율주행차와 의료와 교육을 비롯해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금융, 보안, 환경,

에너지 등의 산업에 미칠 영양은 여전히 유효하며, 5GAI 기술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가치 창출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 만큼 짧게 보는 전략에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공장장은 생각합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중국&홍콩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ZTE (0763.HKS)주가  (84) 2023.09.08
SMIC (0981.HKS)주가  (83) 2023.09.07
브로드컴 (AVGO.NAS)주가  (75) 2023.09.04
삼성전자 (005930)주가  (88) 2023.09.01
하이디라오 (6862.HKS)주가  (139) 2023.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