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TE (0763.HKS)주가

2023. 9. 8. 00:06중국&홍콩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민간 기업으로 위장한 국영 기업 ZTE!!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오늘 소개할 종목은 중국의 다국적 전기통신 장비 및 시스템 기업으로

에릭슨, 화웨이, 알카텔-루슨트,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에 이어 세계 5번째의 텔레컴 장비 메이커이며,

중국의 대표적 통신 장비 및 휴대폰 업체로 멀티미디어 통신시스템, 광통신 장치,

화상회의시스템 등을 생산하고 최근 인도에 스마트시티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유명해진

한때는 화웨이와 쌍벽을 이룰 만큼 통신장비 제조사로 명성을 떨구던 'ZTE(중흥통신)'입니다.

 

ZTE의 핵심 제품으로는 무선, 전화 교환기, 접속, 광전송, 데이터 전기통신 전동 장치, 휴대전화,

전기통신 소프트웨어이고, 주문형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와 같은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품도 있습니다.

ZTE는 주로 자체 이름으로 제품을 판매하지만

일부 제품은 다른 브랜드 이름으로 제조하는 OEM 전문입니다.

 

우리가 필리핀이나 태국 등 동남아를 여행하다 보면 ZTE 휴대폰을 참 많이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ZTE는 전화, 인터넷, 케이블 TV, 클라우드 컴퓨팅, 빅 데이터, 인공지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세계 16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네트워크 통신장비 제조업체로 중국 B2B용 시장에서는

화웨이와 쌍벽을 이루는 통신장비 제조사였으나 

B2C용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에서는 샤오미와 BBK전자 산하의 vivo, OPPO와의 경쟁에서

저만큼 밀려버린 상태이며, 주요 사업 영역은 통신 장비의 제조, 판매이고

스마트폰, 태블릿등 휴대전화도 제조하고 있습니다.

 
 
 
 

 

 


 

1. 기본 정보

 

 

 

 

기준일 : 23년 9월 6일 기준   (원/HKD 환율 :  170원) (원/RMB 환율: 182원) 기준
1. 중흥통신(ZTE)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ZTE Corporation
2. 회사설립 일자 1985   심천주식시장 (000063.SHE)
3. 주식시장 상장일 2004년 12월 9일 홍콩주식 시장  
4. 총 발행주식 수 755,503,000 주  
5. 유통 주식 수 753,201,738 99.70%
6. 현재가 24.60 HKD 4,185 33.80RMB (6,185원)
7. 시가 총액 185HKD 31,450억원 248,430억원 (심천)
8. 올해 배당금액 0.4566HKD (4월) (배당 수익률 2.65 %)   
9. 최소 매수수량  200       
10. 매입 최소 단가 837,000원    

● 공식홈페이지 : https://www.zte.com.cn/global

 

ZTE - ZTE Offical Website | Leading 5G Innovations The world's leading 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

With innovative technologies and product solutions, ZTE serves global telecom operators, government and enterprise customers, and consumers. Covering more than 160 countries and regions, ZTE serves over 1/4 people worldwide, and is committed to achieving a

www.zte.com.cn

 

 

2. ZTE 발전 역사

   

ZTE1985년에 중국 항공우주부 소속 국유기업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ZTE는 명목상 민간기업이고 상장까지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중국 정부의 지배를 받고 있는 국영기업입니다.

 

ZTE의 최대주주는 지분 29.8%를 보유한 중싱신이라는 기업이고,

나머지 주식은 각종 펀드와 소액주주들에게 분산되어 있습니다. 

사실상 경영에 개입하는 주주는 중싱신밖에 없다고 보면 됩니다.

 

중싱신의 최대주주는 허우웨이구이(侯为贵) 설립자의 개인사업체인 중싱웨이셴퉁(中兴维先通)으로

주식의 49%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안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34%,

항톈광위(航天广宇)17%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렇게만 보면 최대주주인 허우웨이구이가 ZTE의 오너처럼 보이지만,

시안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와 항톈광위는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의 감독을 받는 국영기업입니다.

 

중국 정부가 국영기업을 통해 중싱신 지분 51%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ZTE의 실소유주는 중국 정부임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중국에서 무선통신장비를 만드는 회사는 ZTE와 화웨이, 다탕텔레콤 세 곳인데,

ZTE는 위와 같이 수직계열화를 통해 정부 통제를 받고,

화웨이는 직원들에게 주식이 아닌 배당권을 주고 사원주주제라고 우기는 등 지배구조가 불투명하며,

다탕은 아예 정식 국유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모든 중국 통신장비 제조사가 중국공산당의 직접적인 통제 하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반면 같은 중국 기업일지라도 샤오미와 부부가오 그룹 같은 유명 스마트폰 업체들은 순수 민간기업이며

정부와의 사이가 좋지 않은데, 이들이 기간망 설비가 아닌 일반 소비자용 기기만을 만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ZTE는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성장한 업체로,

첨단기술 기업 및 수출 기업으로 지정되어 각종 세제혜택을 받아왔습니다 

국영기업 항톈광위는ZTE에ZTE에 8,000만 위안을 투자하면서 배당금을 받지 않기도 했는데,

사실상 중국 정부가 우회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래서 민간 기업으로 위장한 국영기업이라고 공공연하게 불려지고 있습니다.

 

화웨이와 KONKA와 마찬가지로 이 회사도 중국 인민해방군과 유착해 중국 정부를 위한

스파이 활동을 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아왔고, 제품에 백도어를 탑재했다는 의혹은

어느 정도 사실로 드러나기도 했습니다.

지배구조에 관한 비판을 제외하면 화웨이에 대한 비판 대부분이 ZTE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2012, 아프리카 진출을 가속화하던 중국은 '우호의 상징'이라는 명목으로

아디스아바바에 우주선 모양 건물을 지어 아프리카 연합에 기증했는데  

2017, 중국이 이 건물을 도청하고, 건물에 설치된 통신망을 이용해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간의 통신을 감청해 왔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건물 완공 직후부터 2017년까지 해킹은 계속되어 온 것으로 밝혀졌는데

아프리카 연합 측은 건물을 샅샅이 수색하여 책상과 벽에 설치되어 있던 도청용 마이크를 찾아 제거했고,

비밀리에 서버를 교체했으며, 중국의 전자통신 관련 지원을 거절하게 됩니다.

 

이와 동시에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간의 암호화 체계를 재정비하고,

회원국 간 전기통신이 해당 건물이 위치한 에티오피아를 경유하지 않도록 조치했습니다.

 

중국이 이렇게 대놓고 해킹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건물을 중국 국영기업인 중국건축공정총공사(CSCEC)에서 지었고,

아프리카 통신망의 대다수를 화웨이와 ZTE가 설치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해킹 사실을 부인했으며,

아프리카 연합과 회원국들은 이에 대해 제대로 항의하지 못하면서 급속히 마무리되었습니다.

 

201611, 중국 기업들이 미국에 판매한 수백만 대의 스마트폰에서 백도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백도어는 스마트폰에 선탑재되어 있었고, 사용자가 눈치채지 못하게 만들어졌으며,

전체 문자메시지 내용, 연락처 목록, 통화 로그, 위치정보 등을 72시간마다 수집하여

중국에 있는 서버로 전송하였습니다.

보안 전문가들은 이 백도어가 취약점이나 버그가 아닌 제조사가 의도적으로 개발한 코드라고 추정했으며, 

이렇게 백도어가 발각된 스마트폰의 대다수는 화웨이와 ZTE에서 제조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018, 미국 3대 정보기관인 FBI, CIA, NSA

미국 국민에게 화웨이와 ZTE 스마트폰을 쓰지 말라는 공식 성명을 발표하기에 이릅니다.

2018년 개정 국방수권법에는 미국 국가기관이 중국공산당의 정보기관과 연계된

화웨이와 ZTE의 위험한 기술(risky technology)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이 담겼으며,

사실상 미국 정부가 화웨이와 ZTE를 중국의 군산복합체로 취급하기 시작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20184, 미국 상무부는 북한·이란과 불법 거래를 하고 제재를 위반한 중국 통신업체 ZTE에 대해

향후 7년간 미국 기업과 거래를 할 수 없도록 하는 추가 제재를 단행했으며, 

ZTE는 이미 관련 제재 위반으로 상무부로부터 벌금을 부과받았지만,

조사 과정에서 허위 진술을 한 것이 드러나면서 추가 제재를 받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같은 해 5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과 접촉하면서 ZTE의 정상화를 약속했고,

이를 상무부에 지시했다는 트윗을 게시하면서 시장에서는 중국의 미국 농산물 관세 철폐와 ZTE 제재 해제를

거래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았습니다.

 

며칠 후 ZTE의 조건부 제재 해제 안이 발표되었고,

ZTE는 미국 정부에 벌금 100,000 달러를 추가로 납부하고, 보증금 40,000 달러를 예치하여

향후 UN 제재를 재위반시 미국 정부가 몰수하기로 하였습니다.

또한 ZTE의 이사를 전원 교체하고, 미국 정부에서 ZTE에 준법감시팀을 조직해 파견하기로 하였지만

상원에서 ZTE 제재 해제에 반대하는 법안이 발의되어 찬성 85로 통과되면서 제재가 이어지게 됩니다.

 

같은 해 7월 공화당 상원의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을 수용하면서 ZTE에 관한 제재가 해제됩니다.

 

 

 

 

 

3. ZTE 대표상품과 시장점유율 분석

 

ZTE 기업이 속한 산업과 시장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통신사업자 네트워크 산업

 

무선 및 유선 접속, 전송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그리고 통신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서비스를 포함하며,

2G, 3G, 4G, 5G 등의 통신 기술과 솔루션을 공급하는 업체들로 구성됩니다.

 

이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약 18천억 달러의 규모를 달성했습니다.

이 산업의 주요 경쟁사는 ZTE 외에도 Nokia, Ericsson, Huawei, Samsung 이 있습니다.

ZTE는 이 산업에서 10%의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Open RAN 기반의 SA(스탠드얼론) 형 5G 네트워크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정부 및 기업 산업

 

스마트 시티, 교통, 에너지, 교육,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공공 및 민간 기관에게

정보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들로 구성됩니다.

이 산업은 클라우드 컴퓨팅, 빅 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보안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합니다.

이 산업의 규모는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지만, 예상되는 성장률은 매년 약 10% 정도입니다.

 

이 산업의 주요 경쟁사는 ZTE 외에도 IBM, Cisco, Microsoft, Oracle 이 있습니다.

ZTE는 이 산업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의 스마트 시티 건설에 참여하였습니다.

 

 

소비자 산업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워치 등의 단말기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로 구성됩니다.

이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경쟁력이 높으며, 2020년에는 약 3천억 달러의 규모를 달성했습니다.

 

이 산업의 주요 경쟁사는 ZTE 외에도 Apple, Samsung, Huawei, Xiaomi, Oppo 등이 있습니다.

ZTE는 이 산업에서 약 1%의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Under Display Camera)를 탑재한

ZTE Axon 20 5G를 출시하였습니다

 

 

ZTE 2023 3 1일에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2(MWC 2022)에서

제로 트러스트 엣지 (ZTE) 솔루션의 4세대 제품군을 공개하였습니다.

 

이 제품군은 실내용 5G CPE MC888 시리즈, 실외용 5G CPE MC889 시리즈,

그리고 새로운 세대의 휴대용 5G MiFi MU5120을 포함하고 있으며,

개인, 가정, 여행, 사무실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제품군은 세계 최고의 스냅드래곤 X65 X62 5G 모뎀-RF 플랫폼을 채택하였으며,

최신의 Wi-Fi 6E 기술 표준과 3GPP R16 기술 표준을 완벽하게 지원합니다.

 

 

 

4. 주가 및 차트정보

 

ZTE의 주가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주봉차트가 아닌 일봉차트를 먼저 보도록 하겠습니다

 

 

홍콩주식 시장에 상장된 ZTE 일봉차트(출처:키움증권)

 

주가는 7월에 최고점 32.3 홍콩달러를 찍고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고가 대비 30% 하락했는데 하락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홍콩주식 시장에 상장된 ZTE 주봉차트(출처:키움증권)

 

주가는 꾸준하게 관리되면서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종목들이 단타 치기는 아주 좋은 종목이기는 한데 해외 종목이라서 부담스럽기는 하네요

별로 특별할 것은 없어 보입니다.

그러면 장사는 얼마나 잘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5. 재무 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ZTE 2022년도 연간 손익계산서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ZTE 2022년도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매출이 팍팍 성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정한 비율로 해마다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최근 미국의 기업들을 분석하다 보니 눈이 높아진 것도 있겠지만

한 달에 2 조원씩 벌어들이는 회사이고, 꾸준히 한 달에 천억 원 이상씩 남기는 회사입니다. 

그런 회사의 주가가 현재 4,185원에 거래되고 있는 것입니다.

 

올해 1사 분기와 2사 분기 매출도 한번 보겠습니다

   

ZTE 2023년도 1Q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1사 분기도 나쁘진 않습니다.

이 정도면 선방했다고 봐주자고요

 

ZTE 2023년도 2Q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작년 2사 분기 매출이 많이 치고 올라와서 그렇지 1사 분기보다 매출도 높고 이 정도면 선방했다고 봅니다.

전체적으로 장사는 잘하고 있는 편이고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왜 주가는 빠지고 있을까요?

그것이 알고 싶네요 

 

 

6. 경쟁사 분석

 

ZTE는 통신사업자 네트워크 부문에서 가장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Open RAN 기반의 SA(스탠드얼론)형 5G 네트워크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ZTE는 이 부문에서 약 10%의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Nokia, Ericsson, Huawei, Samsung 등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ZTE는 정부 및 기업 부문에서 다양한 분야의 공공 및 민간 기관에게 정보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빅 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보안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ZTE는 이 부문에서 정확한 시장 점유율을 파악하기 어렵지만,

IBM, Cisco, Microsoft, Oracle 등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ZTE는 소비자 부문에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워치 등의 단말기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ZTE 브랜드와 Nubia 브랜드를 통해 세계의 소비자들에게 혁신적이고 고품질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ZTE는 이 부문에서 약 1%의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Apple, Samsung, Huawei, Xiaomi, Oppo 등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ZTE의 경쟁사는 다음과 같은 회사들입니다

 

Cisco

Cisco는 미국의 정보통신기술(ITC) 솔루션 제공업체로,

네트워킹, 보안, 협업,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등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CiscoZTE와 통신사업자 네트워크와 정부 및 기업 부문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2020년 매출액은 4,930억 달러로 ZTE1,600억 달러보다 훨씬 높습니다.

 

Motorola Solutions

Motorola Solutions는 미국의 데이터 통신과 통신 장비 제공업체로,

공공 안전, 산업 및 상업 분야의 고객들에게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Motorola SolutionsZTE와 통신사업자 네트워크 부문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2020년 매출액은 77억 달러로 ZTE보다 낮습니다.

 

Nokia

Nokia는 핀란드의 모바일, 고정, 클라우드 네트워크 솔루션 제공업체로,

통신 서비스 제공자, 산업, 소비자, 공공 부문의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NokiaZTE와 통신사업자 네트워크와 소비자 부문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2020년 매출액은 233억 유로로 ZTE보다 높습니다.

 

Avaya

Avaya는 미국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제품, 솔루션, 서비스 전문업체로,

콜센터, 유니파이드 커뮤니케이션, 컨택트 센터 등을 제공합니다.

AvayaZTE와 정부 및 기업 부문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2020년 매출액은 28억 달러로 ZTE보다 낮습니다.

 

Ericsson

Ericsson은 스웨덴의 정보통신기술(ITC) 솔루션 제공업체로,

통신사업자들에게 무선 및 유선 접속, 전송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등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EricssonZTE와 통신사업자 네트워크 부문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2020년 매출액은 2329억 스웨덴 크로나로 ZTE보다 높습니다.

 

 

ZTE 경쟁사 비교

 

 

화웨이는 비상장 기업이라 데이터를 비교할 수 없었습니다

 

 

 

7.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통신사업자 네트워크, 정부 및 기업, 소비자 부문에서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TC) 솔루션을 제공
80,00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16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서 사업을 운영
가격 경쟁력이 높으며, 다양한 턴키 프로젝트 경험을 보유
세계 최초로 Open RAN 기반의 SA(스탠드얼론)5G 네트워크를 상용화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기술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측면이 있음
ZTE의 시스템은 바이러스 공격에 취약하며, 품질과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평가
미국과 같은 주요 시장에서 제재와 제한을 받고 있으며, 국제적인 신뢰도가 낮음
소비자 부문에서 시장 점유율이 매우 낮으며, 브랜드 인지도가 부족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ZTE5G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
Open RAN 기술을 통해 통신사업자들에게 더 유연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운영이 가능
클라우드 컴퓨팅, 빅 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보안 등의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전환을 지원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와 같은 신흥 시장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음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정치적 불안정성과 경제적 불확실성은 ZTE의 사업에 영향
환율 변동성도 ZTE의 수익에 영향
통신사업자 네트워크 산업은 경쟁력이 높으며, Nokia, Ericsson, Huawei, Samsung 등의 강력한 경쟁사
소비자 산업에서도 Apple, Samsung, Huawei, Xiaomi, Oppo 등의 경쟁사와 경쟁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百度百科, 나무위키, 키움증권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8. 결론

 

 

ZTE2023824일에 유럽연합(EU)에서 화웨이와 ZTE가 대표를 위해 자금 조달을 받는 것을

제한할 것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EU는 화웨이와 ZTE위험한벤더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들이 EU의 디지털 인프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EU는 화웨이와 ZTE가 중국 정부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중국 법률에 따라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화웨이와 ZTE는 이러한 주장을 부인하고 있습니다.

 

중국 국영 기업은 중국 정부가 소유하거나 지배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중국 국영 기업은 다음과 같은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점

중국 국영 기업은 정부의 지원과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자금 조달, 세금 혜택, 규제 완화, 우선순위 부여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국 국영 기업은 또한, 정부의 정책 방향과 일치하는 사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국가의 전략적 목표와 이익을 위해 활동할 수 있습니다.

중국 국영 기업은 규모가 크고 안정적이며, 장기적인 비전과 계획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단점

중국 국영 기업은 정부의 간섭과 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정치적 압력, 인사 관리, 사업 결정, 투명성 부족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국 국영 기업은 또한, 경쟁력이 낮고 비효율적이며, 혁신과 개선에 둔감할 수 있습니다.

중국 국영 기업은 해외 시장에서 제재와 제한을 받을 수 있으며, 국제적인 신뢰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http://kidd.co.kr/prnews/prview.php?seq=698&link=4025643_KO25643_9 

 

ZTE, 새로운 소비자 기기와 풀 시나리오 지능형 생태계 2.0 공개

ZTE Mobile Devices, 소비자에게 새로운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기 위해 새롭게 업그레이드된 '1+2+N' 풀 시나리오 지능형 생태계 2.0 구축 ZTE Mobile Devices, 세계 최초의 AI 기반 무안경 3D 태블릿 'nu

kidd.co.kr

 

https://www.kipost.net/news/articleView.html?idxno=307716 

 

ZTE, 더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첨단 제품 및 솔루션 공개 - KIPOST(키포스트)

ZTE, MWC 2023에서 더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첨단 제품 및 솔루션에 대한 광범위한 라인업 공개 ZTE, 초고효율 네트워크, 디지털 확장, 무한한 미래, 스마트 라이프 분야에서 달성한 최근 발전 선보

www.kipost.net

 

그러면 과연 ZTE에 대한 공장장의 생각을 한 마디로 말하자면 쏘쏘입니다.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기업이라 생각되는데, 그래서 너라면 사겠냐?라고 물으신다면 

굳이요?라고 대답할 것 같습니다. 

 

많은 종목들이 있는데 앞으로 이 기업에 어떤 호재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이 종목 살 돈이 있으면, 앞서 지난 시간에 분석한 AMIC 같은 기업에 힘을 더 실을 것 같습니다.

 

시간 낭비했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많은 종목들을 알아가면서 이런 종목들도 있구나 생각하시면 좋겠고요

종목이 좋다고 해서 다 가질 수도 없는 만큼 나에게 맞는 종목을 찾으시면 되는 겁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  끝  -

 

 

 

반응형

'중국&홍콩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M (IBM.NYS)주가  (52) 2023.09.14
YUM CHINA (9987.HKS)주가  (71) 2023.09.09
SMIC (0981.HKS)주가  (83) 2023.09.07
퀄컴 (QCOM.NAS)주가  (97) 2023.09.05
브로드컴 (AVGO.NAS)주가  (75) 2023.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