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모바일(0941.HKS)주가

2023. 8. 7. 00:04중국&홍콩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오늘 소개할 종목은 공장장의 최애 종목이라 할 수 있는 중국 최대이자 세계 최대

10억 명의 가입자수를 보유하고 있는 이동통신회사 '차이나모바일'이라는 회사입니다.

우리나라의 SK텔레콤과 같은 기업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미국의 대표 선수가 애플이고, 한국의 대표선수가 삼성이라면

중국 주식을 추천할 때 가장 먼저 나오는 종목이기도 한데..

이제야 이 종목을 설명하려니 흥분을 감출 수가 없습니다 

 

 

중국의 국영통신사로 1997년에 설립된 차이나텔레콤이 전신입니다

(한국의 SK텔레콤도 원래는 한국이동통신이라는 공기업이었다가

SK로 매각되어 민영화된 것처럼 같은 사례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998년 중국정부의 통신구조조정에 따라 이동통신을 독식하던 차이나텔레콤이

차이나모바일과 차이나유니콤으로 분리되어 시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후 홍콩과 뉴욕증시에 각각 상장하였고,

2008년 유선통신업체 차이나티에통(China Tietong)을 인수하여

,무선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통은 유선 통신 서비스를 하다가 무선통신 사업을 하게 되는데

거꾸로 무선 통신 사업을 한참 하다가 기존의 유선통신 사업자를 먹어버립니다.

 

현재 중국뿐만 아니라,, 홍콩 및 파키스탄(2007Paktel 인수)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수 기준으로 전 세계 1위 통신업체입니다.

 

차이나 모바일은 1997년에 홍콩 주식시장, 1999년에 뉴욕 주식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하지만, 202011,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도널드 트럼프는

중국의 군사와 연관된 기업들에 대한 미국인의 투자를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고,

뉴욕 주식시장은 20211, 차이나 모바일과 차이나 유니콤, 차이나 텔레콤의 상장을 폐지시켜 버립니다.

 

이에 차이나 모바일은 202215일 자신의 본토인 상하이 주식시장에 정식으로 상장하였으며,

7.7조 원 (56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하였습니다.

이는 중국에서 최근 십 년간 가장 큰 공모주 (IPO)로 기록을 남겼습니다.

현재는 홍콩과 상하이 주식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습니다.

 

 


1.  기본정보 

기준일 : 23년 8월  6일 기준  (원/HKD 환율 :  165원)  기준
총 발행주식수 & 유통발행 주식수
보통 중국 주식들은 중국과 홍콩으로 두 군데 상장합니다.
총 발행주식수는 두 군데 모두 합한 주식수이고,
유통 주식수는 실제 그 시장에서 유통되는 주식수를 나타내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1. 중국이동통신 차이나 모바일 中國移動有限公司 China Mobile Limited
2. 회사설립 일자 1997    
3. 주식시장 상장일 1997년 10월 23일 홍콩주식시장  
4. 총 발행주식 수 21,376,868,000  (상해)SHS:600941 :  59.850(RMB) (10,900원)
5. 실제 유통 주식 수   5,580,686,859 주   27.26 %)
6. 현재가 64.8 HKD 10,850 원  
7. 시가 총액 1,225,231,245,000 HKD 202 조원   
8. 올해 배당금액 (배당 유무) 2.1 HKD (6월) (배당 수익률 4.27 %)  5월, 8월 2회배당
9. 최소 매수수량 (기준 단위)  500 주       
10. 매입 최소 단가  5,425,000 원    

● 공식홈페이지 : http://www.chinamobileltd.com

 

China Mobile Limited

There is no upcoming event.

www.chinamobileltd.com

 

2. 사업 내용

 

중국이동통신은 중국의 이동통신사로, 중국, 홍콩 내 휴대전화 망을 통하여

음성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중국이동통신은 2022년 기준으로 98천만 명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계 최대의 휴대전화 가입자 기지국 가운데 하나로 되어 있습니다.

 

중국이동통신은 유럽의 GSM 방식이나 북미의 CDMA 방식을 도입하지 않고

자체적인 기술 표준인 TD-SCDMATD-LTE를 상용화했습니다.

 

1. 모바일 사업

중국이동통신은 2G, 3G, 4G, 5G 등 다양한 세대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모바일 사업 부문은 중국이동통신의 전체 매출액 중 약 80%를 차지하며, 가장 핵심적인 사업입니다.

 

중국이동통신은 5G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개시하였으며,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5G 요금제 가입자와 기지국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유선 광대역 통신망 사업

중국이동통신은 유선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유선 광대역 통신망 사업 부문은 중국이동통신의 전체 매출액 중 약 10%를 차지하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업무, 교육, 엔터테인먼트의 수요 증대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습니다

 

 

3. DICT (Data,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사업

DICT 사업은 B2B (Business To Business) 시장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 정보,

통신 기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DICT 사업 부문은 중국이동통신의 전체 매출액 중 약 5%를 차지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IoT (internet of things), AI (artificial intelligence) 등의

신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4. 기타 사업

기타 사업 부문은 인터넷 셋톱박스, 신규 콘텐츠,, 제품 판매 등의 서비스를 포함합니다.

기타 사업 부문은 중국이동통신의 전체 매출액 중 약 5%를 차지하며,

5G 요금제 가입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3. 산업 및 시장분석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이동통신 시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0년 말 기준으로 중국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약 16억 명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20%에 해당합니다.

 

중국의 이동통신 시장은 4개의 통신사업자가 경쟁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차이나 모바일이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5G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개시하였으며,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5G 요금제 가입자와 기지국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0년 말 기준으로 중국의 5G 요금제 가입자 수는 약 2억 명으로,

전 세계 5G 요금제 가입자 수의 약 87%를 차지합니다.

또한, 중국의 5G 기지국 수는 약 71만 개로, 전 세계 5G 기지국 수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중국의 이동통신 산업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투자를 받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중국제조 2025’와 ‘14·5 계획’ 등의 국가 발전 계획에서 5G 기술을

공업 및 기타 산업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해 국정과제로 편입시켰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는 5G 서비스망을 구축하고 확대하기 위해

주파수 할당, 인프라 건설, 허가 절차 등에 관한 행정적 장애물을 앞장서 제거해 주고 있습니다.

 

중국의 이동통신 산업은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은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IoT (internet of things),

AI (artificial intelligence) 등의 신기술을 활용하여

산업 인터넷, 스마트 시티,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헬스케어 등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은 초고화질 (4K/8K) 영상과 VR, AR 등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통하는

방송 산업에도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4. 주요 사업과 시장 점유율

 

차이나모바일의 미래먹거리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M클라우드

 

m클라우드는 차이나모바일이 20205월 국내 시장에 정식 출시한 클라우드 솔루션입니다.

m클라우드는 2000개 글로벌 기업에 제공한 안정성을 바탕으로

아마존웹서비스 (AWS), MS 애저 등 플랫폼과 생산성도구를 제공합니다.

 

기업이 사설 클라우드와 공용 클라우드 등 수요에 맞는

다양한 클라우드 솔루션을 혼합해 활용하도록 지원합니다.

 

기업이 이틀 내 제반 시설을 투입해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스톱 솔루션’을 강점으로 내세웠습니다.

 

2. DICT (Data,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DICTB2B (business to business) 시장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 정보, 통신 기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DICT는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IoT (internet of things), AI (artificial intelligence) 등의

신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DICT2019년 말에 5G와 클라우드, 네트워크·서비스 기능을 통합해 다양한 사업 분야가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도록 하는 기술 컨설팅과 시스템 통합 (SI)을 제공하는 상품도 출시했습니다.

 

차이나모바일의 시장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동통신 시장

 

차이나모바일은 중국의 이동통신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0년 말 기준으로 차이나모바일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약 98천만 명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20%에 해당합니다.

차이나모바일은 중국의 이동통신 시장에서 약 60%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차이나 유니콤 (21%), 차이나 텔레콤 (19%)을 크게 앞서고 있습니다.

 

2. 5G 시장

 

차이나모바일은 5G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개시하였으며,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5G 요금제 가입자와 기지국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0년 말 기준으로 차이나모바일의 5G 요금제 가입자 수는 약 2억 명으로,

전 세계 5G 요금제 가입자 수의 약 87%를 차지합니다.

 

또한, 중국5G 기지국 수는 약 71만 개로, 전 세계 5G 기지국 수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5. 주가 및 주봉차트

 

그러면 차이나 모바일의 일봉차트로 현재의 주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홍콩주식시장에 상장된 차이나 모바일의 일봉차트 (출처: 키움증권)

주가는 작년 10월 말 바닥을 확인하고, 6개월간 거침없이 상승하다 잠시 쉬어가는 분위기입니다.

저가 대비 80% 가까이 상승했다가 조정 국면입니다

상하이 주식시장에 상장해 약 1년 동안 물량을 소화하며 손바뀜이 있은 후

1차 상승 후 쉬어가는 타이밍이라 해석하고 싶습니다.

 

그럼 중기적인 관점에서는 어떤지 주봉차트를 한번 보겠습니다

 

홍콩주식시장에 상장된 차이나 모바일의 주봉차트 (출처: 키움증권)

상승이 끝나고 하락으로 보기엔 이르다고 판단됩니다. 

단기 급등에 대한 쉬어가는 눌림목 정도라고 보는 견해입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보겠습니다

 

홍콩주식시장에 상장된 차이나 모바일의 월봉차트 (출처: 키움증권)

월 단위로 본 월봉차트인데요

장기적인 안목으로 봤을 때는 지금은 충분히 무릎지점이라 생각되지 않나요?

저만 그런 걸까요?  

 

6. 재무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그럼 이 회사가 얼마나 돈을 많이 버는 회사인지 한번 보겠습니다

가입자수가 10억 명.. 그렇다고 우리나라처럼 계산을 하면 큰일 납니다.

 

중국은 대부분의 요금이 선불제로 운영되고 있다 보니,

SKT, KT, LGT처럼 기본요금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충전해서 사용하는 선불폰의 개념으로 보셔야 할 겁니다.

 

그래서  지금이야 문자서비스가 전체 무료이지만 90년대 후반에만 하더라도 

이 기업의 수입 항목엔 SMS서비스가 10% 씩 차지하고 그랬던 적도 있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문자서비스 한통에 1원 당시 가입자 수 6억 명이었으니... 

하루에 문자메시지 한 건만 보내도 6억 원 한 달이면 180억 원이었습니다

그런데 문자 메시지를 하루에 한 건식만 보내나요?

그 당시 이야기입니다.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요  

 

차이나 모바일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엄청난 규모가 아닐 수가 없습니다

그럼 올해 1사 분기 매출은 얼마나 되는지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저 정도로 큰 회사면 매출이 확확 올라줘야 맞는 거 아니냐고 하지만 

이 정도 규모의 회사가 꾸준히 성장을 하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2023년 1Q 차이나 모바일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이 보다 좋을 수는 없으나 앞으로도 좋겠느냐? 결국엔 이것이 관건이겠네요

 

  2022년도 2023년 1Q  
1.매출액 약 177 조원 47조 7천억원  
2. 영업이익 약 24조 5천억원 7조 3,749억원  
3. 순이익 약 23조 7천억원 5조 3,404억원  
4. 재무건정성 좋음 좋음  
5. 부채비율 48.88 % 50.08 %  
6. 목표주가 : 84.41 HKD
7. 부채 래버리지는 2022년에 4.24배로, 업계 평균인 5.53배보다도 낮습니다

 

7. 경쟁사 분석

 

경쟁사들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자국 내 통신사와의 경쟁

 

중국내 통신사들과의 비교

2,3,4위 다 합쳐도 절반을 겨우 넘는 정도이니 별도의 코멘트는 달지 않겠습니다 

 

 

2. 글로벌 경쟁사와 비교

 

차이나 모바일 글로벌 경쟁사와 비교

글로벌 경쟁사와의 비교 또한 말해서 무엇하겠습니까? 

난다 긴다 하는 미국과 독일 일본의 글로벌 통신사들도 압도하는 규모입니다. 

 

다만 아쉬운 한 가지.. 오른쪽 제일 끝에 있는 SK텔레콤은 한 때

우리나라에서 황제주로 불리며 2000년도 3월 6일 기준으로 

한주에 무려 481만 원을 호가하며 한가락하며 잘 나가던 종목이었는데

시가 총액이 겨우 10조 원 규모라니 거인들 앞에 아기 같은 모습입니다

 

단순 비교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우리나라 무선 통신인구를 6천만으로 높게 잡더라도

SKT의 최대 통신이용 인구는 3,000만 명이 맥시멈이라고 보면,

규모는 약 33분의 1 규모인데 시가 총액은 22분의 1이니 선방하고 있다고 봐야 할까요? 

 

3. 2022년 매출액 기준 전 세계 글로벌 통신사 TOP 10 

 

재미로 알아보고 갑니다

기업명 (국가) 2022년 매출액 (USD 기준) 고객수
AT&T (미국) 1,712 1억 6천만명
Verizon (미국) 1.286억 1억 2천만명
China Mobile (중국) 1.068억 94천만 명
Deutsche Telekom (독일) 1.010억 24천만 명
Vodafone (영국) 590억 3억 명
Telefónica (스페인) 540억 34천만 명
Orange (프랑스) 510억 26천만 명
NTT Docomo (일본) 480억 8천만 명
China Telecom (중국) 470억 35천만 명
SoftBank (일본)

460억 6천만 명

 

 

 

8.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가입자 수는 약 98천만 명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20%에 해당
중국의 이동통신 시장에서 약 60%의 점유율로 5G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개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5G 요금제 가입자와 기지국을 보유
자체적인 기술 표준인 TD-SCDMATD-LTE를 상용화로 특허료를 절감
(다른 통신사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고객의 이탈을 막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투자
(정부망 구축위해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주
파수 할당, 인프라 건설, 허가 절차 등 행정적 장애물을 제거)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중국 시장에 과도하게 의존(중국 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에 취약)
자체적인 기술 표준인 TD-SCDMATD-LTE는 국제적으로 호환이 안됨
(해외로 로밍할 때 다른 통신사와 협력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
과도한 요금 청구, 잘못된 계약 조건, 신호 간섭, 통화 끊김 등의 문제로 고객들로부터 불만
고객 서비스와 품질에 대한 불만 (고객 서비스 센터의 부족, 응대 시간의 지연, 상담원의 무관심)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5G 서비스를 확대하고 다양화
초고화질 (4K/8K) 영상과 VR, AR 등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통하는 방송 산업에도 진출
해외 시장으로 진출 타진 (유럽, 북미 등의 성숙한 시장에서 협력 관계를 구축 중)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등의 개발도상국에서 저가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장 점유율을 확보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경쟁사의 공격적인 전략에 직면(유니콤과 타이나텔레콤의 편먹고 다구리 공격중)
국제적인 정치적 긴장과 제재에 노출(미국 내에서의 사업 활동을 금지시킴)
일본, 호주, 영국 등의 국가들도 중국의 통신사들을 5G 네트워크 구축에서 배제하거나 제한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홍콩거래소, 百度百科,360百科, 나무위키,

                     유안타증권, 키움증권, 삼성 POP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9. 결론

차이나 모바일은 세계에서 가장 큰 이동통신 시장인 중국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5G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자체 개발하였습니다.

그게 우리나라처럼 진짜 5G 속도를 내는지 안 내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차이나 모바일이 가는 길이 중국의 표준처럼 되어버렸습니다.

 

차이나 모바일은 자체적인 기술 표준인 TD-SCDMATD-LTE를 상용화했으며,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투자를 받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도 빠른 일처리를 위해 5G 망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차이나 모바일은 중국 시장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어

자체적인 기술 표준은 국제적으로 호환되지 않지만 그것이 고객들의 충성도를 높여

애국심 마케팅처럼 매출액과 순이익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시가총액도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이나 모바일은 중국의 이동통신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지만,

최근에 다양한 신제품과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5G 기술과 바이두의 고정밀 위치 측정 시스템을 결합하여

T-MAP처럼 새로운 세대의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스마트폰 브랜드인 텐이(TENYEE)도 출시하였습니다.

아직은 초기 단계라서 시간이 필요한 미래 먹거리 사업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분야에도 많은 돈을 투자하여 진출하고 있습니다

 

차이나모바일은 또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환경 보호, 공공복지,

재난 구호 등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런 요소들을 차치해 두고서라도 향후 생겨날 중국 관련 펀드나 각종 ETF

중국에 투자하는 모든 금융 상품에 이 종목이 안 들어갈 수가 없는 종목입니다.

우리나라와 관련된 상품들 중에 삼성전자가 1순위 고려대상이듯

중국 관련 포트폴리오의 1순위로 챙겨지는 종목이라고 생각하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현재는 귀주모태와 텐센트, 알리바바에 밀려 시가총액 4위에 머물러 있지만 

그 격차가 크지 않기에 다시 명성을 찾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내 아이에게 물려주고 싶은 주식으로 이만한 주식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도 2020년 말 기준으로 차이나모바일의 주식을 약 2 6천 주,

 3 5천만 달러 가치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20211, 미국 정부가

중국의 군사와 연관된 기업들에 대한 투자를 금지하는 명령을 내린 후,

차이나모바일과 차이나 유니콤, 차이나 텔레콤 등의

중국의 통신사들의 주식을 전량 매도하였습니다

 

현재는 대한민국 국민연금은 콰이서우, 바이두, 메이투안 디앤핑 등의

인기 있는 기업들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 수량은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  끝  -

 

 

반응형

'중국&홍콩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라다 (1913.HKS)주가  (116) 2023.08.09
BUD APAC(1876.HKS)주가  (108) 2023.08.08
메이투안디앤핑 (3690.HKS)주가  (151) 2023.08.04
핑안보험 (2318.HKS)주가  (137) 2023.08.02
해라시멘트 (0914.HKS)주가  (159) 202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