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페트롤(ADR) (EC.NYS)주가

2023. 7. 31. 00:05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배당에 대해서 고려 중이라면 에코페트롤...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오늘 소개할 종목은 미국 뉴욕증권시장에 상장된 콜롬비아 국영석유기업 '에코페트롤'이라는 기업입니다

뭐라고? 콜롬비아까지 투자하라고? 이런 분들 흥분하지 마시고요...

 

제가 그래서 일부러 지난 시간에 ADR을 설명드렸습니다.

콜롬비아 국영 회사이지만 미국 뉴욕증권시장에 상장된 회사이니 우린 그냥 미국회사로 보시자고요

 

1930년대에 설립되어 1970년대에 콜롬비아 국영 기업인 Ecopetrol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콜롬비아에서 가장 큰  회사입니다..

 

콜롬비아 기업이라고 해서 무시할 것이 못 되는 게 

해마다 세계에서 가장 매출액이 큰 500개 기업의 순위를 매년 발표하는

Fortune Global 500에서 2023년 기준으로,

Ecopetrol은 전년도 대비 2 계단 상승하여 29에 랭크되었습니다.

Ecopetrol의 매출액은 2022년 기준 37조 원이며, 순이익은 9조 4천억 원의 규모입니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감이 잘 안 오니까 우리나라 삼성전자와 비교를 해보면

2023년 기준으로, 삼성전자는 전년도 대비 4 계단 하락하여 18위에 랭크되었습니다.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211조 원이며, 순이익은 25조 원의 규모입니다.

 

삼성전자와는 격차가 좀 크니 2022년도 우리나라 기업들을 줄 세워보면

매출액은 7위 하이닉스급이고, 순이익으로 치면 삼성전자와 HMM 다음으로 3위에 랭크됩니다.

 

2022년도 상장기업 매출액 순위

 

 

Ecopetrol세계 25대 석유 회사 그룹에 속하며 라틴 아메리카 4대 석유 회사 중 하나입니다

석유 및 가스 통합 업종에서 브라질의 Petrobras ON (17)

미국의 Kimbell Royalty Partners (21)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  기본정보 

기준일 : 23년 7월  29일 기준   (원/ USD 환율 : 1,300원) 기준
1. 에코페트롤(ADR) (EC.NYS) Ecopetrol SA Sponsored ADR
2. 회사설립 일자 1948 년      
3. 주식시장 상장일 2008 년 9 월 18 일 뉴욕증권시장  
4. 총 발행주식 수 2,055,835,000 주  
5. 유통 발행주식 수 2,055,835,000 주  ( 100 %)
6. 현재가 11.2900 USD 14,500 원  
7. 시가 총액 23,210,377,000 USD 약 30조원  
8. 올해 배당금액 (배당 유무) 0.8350 USD 배당지급 9월, 12월 각 0.8276 USD
2차례 배당결정
(배당 수익률 22 %)
석유 가스 기업 평균 5.36% 
9. 최소 매수수량 (기준 단위)   1 주    
10. 매입 최소 단가   14,500 원    

● 공식홈페이지 :  https://www.ecopetrol-usa.com/

 

Ecopetrol | Welcome to our website

Ecopetrol Trading Ecopetrol US Trading is responsible for the trading of crude oil, refined products, petrochemicals, and natural gas, from affiliates and third parties, mainly in the Americas and Europe, contributing to the corporate goals set by the Ecop

www.ecopetrol-usa.com

 

 

 

2. 사업 내용

Ecopetrol의 주요 사업은 석유 및 가스의 탐사, 개발, 생산, 운송, 정제,

석유화학 및 바이오 연료를 포함한 기타 정제된 제품의 운송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에코페트롤은 현재 콜롬비아에서 약 60%의 석유 및 가스 생산을 담당하고 있으며,

원유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운영용량(BPD)은 1일 134만 배럴에 달하며,

1,800만 배럴의 입증된 원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Ecopetrol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에코페트롤은 2045년까지 채취된 담수의 66%를 줄이고

지표수 배출을 제로화하는 목표를 세워서 진행하고 있으며

또한,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콜롬비아에서 가장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다우 존스 지속가능성 지수에도 포함되면서

환경보호와 사회적 책임을 중요시하는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3. 산업 및 유가분석

아무래도 석유 관련 기업이다 보니 유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현재 유가는 배럴당 80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는데 ,

세계 경제가 살아나면서 계속해서 유가는 상승 중에 있습니다

 

아래는 9월에 만기인 유가 선물차트를 보시면.. 

크루드오일 9월만기 선물 주봉차트

 

각설하고 앞으로 유가는 더 오르겠느냐?라고 물어보신다면

 

9월 만기인 유가가 상승으로 바라보는 거래량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은 

앞으로 유가가 오를 것이라고 보는 사람들이 많다고 예상할 수가 있습니다. 

향후 유가는 배럴당 90불~95불대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따라서 에코 페트롤에도 긍정적이라고 보는 견해입니다.

어익후~ 결론이 미리 나와버렸네요.. 이러면 안 되는데..

 

 

 

4. 주가 및 주봉차트

주봉차트를 한 번 보겠습니다

에코페트롤 주봉 차트( 출처: 키움증권)

9달러 대에서 바닥을 찍고 거침없이 올라오고 있는 것은 유가가 그만큼 상승을 했기 때문입니다

바닥 대비 30% 정도 상승을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바닥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한 발짝 떨어져서 볼 월봉 차트를 보면, 알 수 있는데요

 

에코 페트롤 월봉차트 (출처:키움증권)

한 발짝 떨어져서 보니 중장기 추세는 이제부터 시작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단기적 관점에서는 올랐을지 모르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여전히 발목 정도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 회사가 장사를 얼마나 잘하는 회사인지 알아보겠습니다.

 

 

5. 재무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에코페트롤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1.매출액 약 37조원 (전년도 대비 45% 상승)  
2. 영업이익 약 7조6,400억원 (전년도 대비 35.7% 상승)  
3. 순이익 약 9조4천억원 (전년도 대비 77.4% 상승)  
4. 현금흐름(재무건전성) 당연히 현금이 너무 많음  
5.부채비율 290%로 대체로 양호함  
6.목표주가 : 15.76 USD
 

 

6. 투자지표 분석

 

1. 에코페트롤의 PER은 3.30배로 석유 및 가스 통합 업종의 평균값인 12.77배 보다 현저히 낮습니다

PER은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드디어 나왔지요? 보조지표들은 때가 되면 자세히 설명합니다)

 

공장장이 설명하는 주가수익비율 개념 (PER)  
이 회사가 돈을 작년처럼 번다고 가정할 때, 3.3년이면 이 회사를 통째로 살 수 있다는 지표로
PER이 낮을수록 주가는 저평가로, 같은 업종과 비교할 때 유용합니다.
단, IT나 반도체, 미래먹거리 사업등, 첨단 기술 사업에는 무쓸모,
전통제조업이나 굴뚝주엔 잘 먹히는 지표입니다.

                                      

2. 에코페트롤의 ROE 40.90% , 석유 및 가스 통합 업종의 평균인 8.01% 보다 훨씬 높습니다. 

이는 에코페트롤이 효율적으로 자본을 운용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공장장이 설명하는 자기 자본이익률 개념 (ROE)
기업이 회삿돈으로 이익을 얼마나 많이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러니 수치가 높을수록 자기돈을 잘 활용해서 돈을 벌었다는 말이겠지요? 
 

3. 에코페트롤의 PBR 1.20 배로, 석유 및 가스 통합 업종의 평균인 1.32 배보다 약간 낮습니다. 

이는 에코페트롤이 적정한 자산규모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공장장이 알려주는 주가순자산비율 (PBR)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산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은 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기업의 재무건전성과 주가의 고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PBR이 낮으면, 기업이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합니다.

PBR은 보통 동일 업종의 기업끼리 비교하고, 그 기업의 과거 수치와 비교할 때 효과가 좋습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에코페트롤의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으면서, 장사는 효율적으로 잘하고 있다는 말입니다.  

 

 

7. 배당내역

 

공장장이 알려주는 배당률
배당률= 주당 배당금 / 배당기준일 주가 X 100

이건 예를 들어 계산하는 게 더 빠릅니다
주가가 일만원일때 100원을 배당하면 1%, 500원을 배당하면 5%입니다
연간 배당률은 1년간 배당한 금액을 다 합쳐서 주가로 나누면 되겠지요?  

 

2023년 배당 금액의 합이 0.828 + 0.8276 + 0.8276이니 모두 합하면 2.4832달러

2023년 현재 주가는 11.29 달러

배당률은 2.4832 / 11.29 X 100 = 21.994 로

현재 주가 기준으로 22%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에코페트롤의 배당내역

 

 

 

8.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콜롬비아의 국영 기업으로 비교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
높은 수익성과 현금이 많아서 재무가 건전함.
높은 배당을 지급함(배당률 22%)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콜롬비아 내수시장에 과도한 의존성 (매출액의 90%가 콜롬비아에서 발생)
정치적으로 기업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음.(모든 국영기업의 한계)
타국가에서의 탐사 및 개발활동이 부진함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탄소중립을 위해 재생에너지 사업에 투자
환경보호와 사회적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음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에 포함됨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관계와 같은 국제정세에 민감
미국의 전략 비축유 방출등에 따라서 유가변동에 민감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 정부의 눈치를 보게 됨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뉴욕증권시장 홈페이지, 나무위키, 초이스스탁

                     유안타증권, 키움증권, 굿모닝신한증권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9. 결론

 

에코페트롤(ADR) (EC.NYS)은 동일 산업, 동일 업종에서 저평가되어 있고,

높은 수익성과 재무건전성을 보여주는 기업이며, 배당 메리트까지 훌륭한 기업입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재생에너지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으며,

환경보호와 사회적 책임을 중요시하는 기업으로 이미지 또한 좋은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에코페트롤은 석유 및 가스 통합 업종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콜롬비아 국영기업으로, 투자가치가 높은 종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염려스러운 점 하나는 원유의 생산량이나 국제 분쟁 등의 

싸움이나 전쟁 같은 국가 간 힘겨루기에 따라 훌륭한 실적을 가지고 있음에도

외부요인으로 인한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주식 가격은 너무나도 메리트가 있는 종목입니다.

 

이에 두 가지 전략으로 접근이 가능할 것 같은데

 

첫 번째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배당 전까지만 보유하고 있다가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에 매도하여

시세차익만 취하는 관점이 하나인데, 국내주식도 아니고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두 번째는 고배당의 메리트를 포기할 수는 없으니 1년 6개월 정도 보유한다는 생각으로

맘 편히  배당도 받고, 시세차익도 얻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  끝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