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비싼 주식 ₩726,986,400원

2023. 8. 8. 21:32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버크셔 해서웨이 A (BRK.A.NYS) 주가.... 최고가 경신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오늘 소개할 종목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주식으로 알려진

한 주의 가격이 무려 726,986,400에 달하는 

워런버핏이 회장으로 있어 더욱 유명한 '버크셔 해서웨이 Class A'라는 기업입니다.

 

지난번 6월 27일 자 블로그 내용에도 소개되어 있지만,

그때는 블로그 초창기에 두서없이 막 적었던 글이라 

다시 새롭게 정리하는 편으로 다시 제가 만든 형식으로 제대로 소개를 하기 위함이니 

그때 적었던 글이랑 지금 적는 글과는 내용의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불과 40여 일 전 글임에도 촌스러워서 못 봐주겠네요

그래도 혹시 못 본 분들을 위해 링크를 남깁니다.

  

https://investfactory.tistory.com/29

 

한 주에 7억 원... 세계에서 가장 비싼 주식

전 세계에서 거래되는 주식 중에 가장 비싼 주식은 얼마일까? 버크셔 해서웨이 A주 Berkshire Hathaway Inc Class A는 워런 버핏이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미국의 투자 회사로 보험, 철도, 유틸리티, 에너

investfactory.tistory.com

 

 

버크셔 해서웨이는 여러 산업에 관련된 투자 지주회사로

워런 버핏이 회장 겸 CEO를 맡아 이끌고 있습니다.

 

1839년 섬유 제조회사로 출발한 기업을 1962년부터 워런 버핏이

버크셔 해서웨이의 지분을 인수하면서 경영권을 갖게 됩니다.

1967년에는 보험 관련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기업 인수합병(M&A)을 시작으로

점차 섬유 회사에서 투자회사로 덩치를 키워갑니다  

 

몸집이 급격히 커짐에 따라 본의 아니게 기업 지배구조가 꼬이기 시작했는데

IRS에서 이를 보고 탈세 목적이 아니냐고 태클을 걸어오자  

버핏은 투명하게 다 까고 보여주겠다며 버크셔 해서웨이를 정점으로 하는 지주회사 구조로 개편

이를 계기로 세계 최대의 종합 투자 회사인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찰스 멍거가 합병에 따른 주식 교환 절차를 밟아 정식으로 버크셔 해서웨이에

합류하게 되면서 버핏의 오른팔 노릇을 톡톡히 하게 됩니다.

찰스 멍거가 투입되면서 주식 투자 비율을 줄이고

기업을 통째로 인수하여 자회사로 만드는 방식으로 체질 개선을 하게 되며 성장해 나갑니다.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시 키위트플라자 15층 건물 중 14층 한 개 층만을 본사로 사용할 정도로

불필요한 돈이 나가는 것을 싫어합니다

 

또한 버핏은 자회사들의 경영에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본사의 규모 자체는 대단히 작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본사에 근무하는 직원 수는 단 25명에 불과하지만,

자회사 직원 수를 모두 합치면 약 37만 명이 넘습니다.

 

A주는 창립 이후 주식분할을 단 한 번도 하지 않은 주식으로,

이는 버핏을 포함한 경영진의 신념에 따른 것으로,

주식분할을 통해 주당 가격을 낮추면 시도 때도 없이 사고파는 단타 매매꾼들이

지나치게 많이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를 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삼성전자나 SK텔레콤이 액면분할을 안 했더라면.. 어땠을까? 생각해 보게 됩니다)

 

A주가 너무 비싸서 웬만한 투자자들조차 사기 어려울 정도로 문제가 되자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을 사고 싶은 사람들을 겨냥한

소수점 투자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위투자신탁(UIT)들이 등장하자

버핏은 자기 회사 이름을 팔아 이득을 챙기는 투자신탁 회사들에게

투자자들이 수수료를 뜯기지 않고 이들에게 주식 매수의 진입 장벽을 완화해 주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주식의 일부를 잘게 쪼개었고, 상대적으로 주당 가격이 낮은 B주를 만들게 됩니다.

 

A주는 진짜 돈 많고 생각 있고 장기 투자할 사람들만 사는 개념의 주식이라면

B주는 일반 투자자들도 보유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춰 탄생한 종목이라고 보면 됩니다.

 

 


1.  기본정보 

기준일 : 23년 8월 8일 기준   (원/ USD 환율 : 1,306원) 기준
1. 버크셔 해서웨이 A주식회사 Berkshire Hathaway Inc.Class A
2. 회사설립 일자 1839    
3. 주식시장 상장일 1970529 BRK.A  시초가는 290 USD  
뉴욕증권거래소(NYSE) 199659 BRK.B 시초가는 1,000 USD  
4. 발행주식 수 576,700 주 BRK.B 주식 발행수 : 2,184,650,900
5. 현재가 555,800 USD 726,986,400
364.6223 USD 476,926 원  
6. 시가 총액 7661억 USD 1,036조원   
7. 올해 배당금액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보다는 재투자를 통해 주주들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 
매년 연례 보고서를 통해 주주들에게 편지를 보내며
, 그의 투자 전략과 시사점을 공유
8. 최소 매수수량 (기준 단위)  1 주       
9. 매입 최소 단가 726,986,400 원(A주) 476,926원(B주)  

● 공식홈페이지 : https://www.berkshirehathaway.com/

 

BERKSHIRE HATHAWAY INC.

FOR A FREE CAR INSURANCE RATE QUOTE THAT COULD SAVE YOU SUBSTANTIAL MONEYWWW.GEICO.COM OR CALL 1-888-395-6349, 24 HOURS A DAY If you have any comments about our WEB page, you can write us at the address shown above. However,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pe

www.berkshirehathaway.com

 

굉장히 오랜 역사를 가졌음에도 배당을 안 하고

앞으로도 워런 버핏이 살아있는 한 배당 계획이 없는 기업으로 유명합니다.

 

버핏과 멍거는 기업이 유보 이익(retained earnings) 1달러 당 최소 1달러를 더 벌 수 있도록

주주들에게 굳이 배분할 필요가 없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2013년 연례 서한에서 버핏은 회사가 벌어들이는 돈으로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대신 마지막 한 푼까지 다른 기업의 인수합병에 써온 것이

주주들을 더 부자로 만들어줬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2014년 주주총회에서도 한 주주가 버크셔 해서웨이 배당을 지급해야 된다는 의견을 비치자

버핏의 34%의 지분AB주 주주들과 힘을 합쳐 

97%의 주주들이 반대 의사를 밝혀서 그 자리에서 부결되었던 사건은 아직도 유명합니다.

 

엄청난 대기업이지만 A주는 수 억대의 고가주라서

A주를 직접 보유한 사람 또는 법인은 2,700명 정도입니다.

(참고로 애플의 주주는 1000만 명정도이고, 삼성전자의 주주는 454만 명 정도입니다.)

 

한편, 마이크로소프트는 빌 게이츠와 친하기 때문에 내부자거래로 오해받을 여지가 있어

투자하지 않는다고 워런 버핏이 주주총회에서 밝히기도 했으나

나중에 주식을 안 샀던 것이바보 같은 짓이었다는 솔직한 소회를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2. A주와 B주의 차이

 

버크셔 해서웨이 회사의 주식이 처음으로 상장된 날짜는 1970529입니다.

이때 BRK.A 주식의 시초가는 290달러였습니다.

BRK.B 주식은 199659일에 처음으로 상장되었으며, 이때 시초가는 1,000달러였습니다.

 

이후에 BRK.B 주식은 2010121일에 501로 분할되어

현재는 BRK.A 주식의 1500분의 1의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 종류의 주식은 가격, 유동성, 세금, 투표권 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하지만 두 종류의 주식은 모두 Berkshire Hathaway 회사의 소유권과 배당권을

동일하게 가지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비슷한 수익률을 보여줍니다

 

1. 가격

BRK.A 주식은 한 주당 수십만 달러에 거래되는 매우 비싼 주식입니다.

반면, BRK.B 주식은 한 주당 수백 달러에 거래되는 비교적 저렴한 주식입니다.

 

이 차이는 원래 BRK.A 주식을 보다 접근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

1996년에 BRK.B 주식이 1/30의 비율로 발행된 것에서 기인합니다.

 

2010년에는 501로 분할되어 현재는 BRK.A 주식이 BRK.B 주식의 1500배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유동성

BRK.A 주식은 가격이 너무 비싸서 많은 사람들이 구매할 수 없으므로 유동성이 낮습니다.

, 거래량이 적고 매수매도가 어렵습니다.

반면, BRK.B 주식은 가격이 저렴하고 많은 사람들이 구매할 수 있으므로 유동성이 높습니다.

, 거래량이 많고 매수매도가 쉽습니다.

 

3. 세금

BRK.A 주식은 세금상의 이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만약 BRK.A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가 BRK.B 주식으로 전환하면,

이는 세금을 내야 하는 이벤트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반면, BRK.B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가 BRK.A 주식으로 전환하려면,

이는 세금을 내야 하는 이벤트로 간주됩니다.

,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4. 투표권

BRK.A 주식은 투표권이 더 많습니다.

한 주당 10,000표의 투표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BRK.B 주식은 투표권이 더 적습니다.

한 주당 1표의 투표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차이는 회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사업 내용

 

Berkshire Hathaway 회사는 미국의 대형 투자 기업으로, 워런 버핏이 이끄는 회사입니다.

1839년에 섬유 제조회사로 출발했으나 1965년 워런 버핏이 경영권을 인수한 후

현재는 보험업과 투자업을 중심으로 한 복합 산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 매출액은 2455억 달러, 순이익은 425억 달러,

자산총액은 8737억 달러로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 중 하나로 꼽힙니다.

 

Berkshire Hathaway 회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주요 투자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보험

GEICO, National Indemnity, General Re 등의 보험 및 재보험 회사를 소유하고 있으며,

보험료를 먼저 받고 나중에 보험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플로트라는 저렴하고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하여 다른 투자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2. 에너지

Berkshire Hathaway Energy라는 자회사를 통해 전기, 천연가스, 원자력, 태양광, 풍력 등의

에너지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전 세계에서 10번째로 큰 유틸리티 회사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3. 철도

BNSF Railway라는 자회사를 통해 북미에서 가장 큰 철도 운송 회사 중 하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매년 약 2억 톤의 화물을 운송하며,

석탄, 석유, 농산물 등의 수요가 높은 상품을 주로 취급합니다.

 

4. 소비재

Dairy Queen, See’s Candies, Fruit of the Loom 등의 유명한 소비재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들 브랜드는 각각 아이스크림, 캔디, 의류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며,

고품질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버핏이 주주총회 때 코카콜라를 마시고, 아이스크림을 먹는 장면은 아직도 회자되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 참고)

 

5. 주식

Apple, Bank of America, Coca-Cola 의 대형 기업들에 대규모로 주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단의 버핏의 포트폴리오 사진 참고)

이들 주식은 Berkshire Hathaway의 주요 수익원 중 하나이며,

워런 버핏의 탁월한 투자 실력을 반영합니다.

 

Berkshire Hathaway 회사는 워런 버핏의 철학과 가치관에 따라 운영됩니다.

워렌 버핏은 장기적인 가치 창출과 신뢰성 있는 경영을 중시하며,

자신의 지분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주주들에게 정직하고 친절하게 대합니다.

 

그는 매년 연례 보고서를 통해 주주들에게 편지를 보내며,

그의 투자 전략과 시사점을 공유합니다.

그의 편지는 많은 사람들에게 인용되고 참고되며,

그가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경영자 중 하나임을 보여줍니다.

 

 

주주총회때 자신의 회사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홍보한 덕에 그해 매출은 기록을 세웠다

 

 

 

4. 주가 및 주봉차트

버크셔 해서웨이 A주 년봉차트 (출처:키움증권)

 

이런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행복 그 자체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현지 시간 8월 7일 이 종목이 최고가를 찍은 이유는 2사 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때문인데요

아래 재무분석에서 따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버크셔 해서웨이 B주 Q봉차트 (출처:키움증권)

 

이 차트는 버크셔 해서웨이 B주의 Q봉(분기) 차트입니다 

A주와 흐름은 똑같습니다.

 

 

5. 재무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버크셔 해서웨이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증가하였음에도 투자 손실로 인해 당기 순이익은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2년 재무분석은 참고만 하시고 오늘자 미국발 어닝 서프라이즈 기사를 요약해서 설명드리자면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는 투자 포트폴리오와 보험 사업부문 덕분에 2분기에 이익이 증가했습니다.

 

 

7(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보험사인 게이코와 BNSF철도, 데어리 퀸 레스토랑 등

다양한 사업을 보유한 버크셔 해서웨이는 2분기에 359억 달러(46조 9,600억 원)의 이익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 100억 4300만 달러(약 13조 1,000억 원)를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6.6증가한 것이며,

순이익은 359억 1000만 달러(약 46조 9,000억 원)였다고 전했습니다

투자회사이다 보니 영업이익보다 순이익이 큰 것도 하나의 특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전년도에는 영업이익은 큰 이익이 났음에도 순이익이 마이너스였던 것과 대조적입니다. 

전년동기에 438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한 것과 크게 비교되는 실적이어서

오늘 주식 가격이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버크셔해서웨이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증가한 이유로

산하 보험회사인 가이코의 실적 개선과 보유 주식들의 주가 상승을 꼽았습니다.

 

특히 투자 포트폴리오의 과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애플 주식이 20232분기에 18%가량 오르면서

버크셔해서웨이의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애플 지분을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애플 투자로만 약 260억 달러 규모 미실현 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애플 주가는 2분기 약 18급등했고 이에 버크셔 해서웨이의 애플 보유 주식 가치는

약 1,776억 달러(약 232조 3,000억 원)를 보유하게 됐다고 CNBC는 전했습니다

 

애플과 함께 아메리칸익스프레스(264억 달러), 뱅크오브아메리카(296억 달러),

코카콜라(241억 달러), 쉐브론(194억 달러)이 버크셔의 지분가치 상위 5위를 차지했습니다.

 

버핏의 포트폴리오에서 투자 비중이 높았던 두 번째 종목은 뱅크오브아메리카입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보유지분 가치는 약 296억 달러로

지난 3월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에도 불구하고

미국 은행주에 대한 버핏 회장의 굳건한 믿음을 보여줬다고 밝혔습니다.

 

현금 보유액은 6월 말 기준 1,473억 7,700만 달러(약 192조 7,000억 원)로,

1분기 1,306억 1,600만 달러(약 170조 8,000억 원)보다 약 13늘어

지난 2014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2분기 말 기준 버크셔는 보유한 현금 중 1204억 달러를 미국 국채에 투자했는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으로 큰 수익을 거둔 것으로 풀이됩니다.

 

버핏은 3일 <씨엔비씨(CNBC)>와의 인터뷰에서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강등했지만 미 단기 국채를 사들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달러는 세계의 준비 통화이며 모든 사람들이 이것을 알고 있다”며

버크셔가 2주 연속 미 국채를 사들였으며 이번 주에도 추가 매입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버핏 회장의 포트폴리오는 세계 각지 투자자들이 결정 때 참고하는 기준으로 통하는데
그는 최근 신용평가사 피치의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에 대해
걱정할 일이 아니라면서 미국 국채를 계속 사들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버크셔해서웨이 포트폴리오 (출처:나무위키)

 
 

6. 경쟁사 분석

 

Berkshire Hathaway는 워런 버핏이 이끄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투자하는 대형 투자 기업입니다.

따라서 이 회사의 경쟁회사는 여러 가지 산업 분야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 거대한 네 개의 회사가 한 회사에 압축되어 있다고 보면,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투자 은행 : Jefferies Financial Group

Jefferies Financial GroupBerkshire Hathaway와 비슷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투자 은행으로,

저렴하고 장기적인 가치를 가진 자산들을 구매하고 성장시키는 전략을 취합니다.

이 회사는 부동산, 소매, 에너지, 통신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보험 : Allstate Corporation

Allstate CorporationBerkshire Hathaway의 보험 자회사인 Geico와 같은

개인 보험 분야에서 경쟁하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자동차, 재산, 생명 등의 보험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리 투자 : BlackRock, Inc

BlackRock, Inc. 은 Berkshire Hathaway를 관리 투자 회사로 간주하는 경우의 경쟁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ETF, 채권, 주식 등의 다양한 자산을 운영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큰 자산 관리 회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모 펀드 : KKR & Co., Inc

KKR & Co., Inc. 은 Berkshire Hathaway를 사모 펀드로 간주하는 경우의 경쟁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사모 자본, 부동산, 인프라, 신용 등의 분야에서 투자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큰 사모 펀드 중 하나로 꼽힙니다

 

 

 

7.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시장 변동에 대한 내성이 높음
강력한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거의 무부채 상태로 운영되고 있어, 재무적 안정성이 좋음
워렌 버핏과 찰리 멍거의 탁월한 투자 결정과 자본 배분 능력으로, 장기적인 가치 창출을 실현
5년간 연속적으로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을 유지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주가 변동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신뢰도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음
주요 결정은 워렌 버핏과 찰리 멍거 등 소수 인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리더십의 연속성과 계승 문제
일부 자회사들의 성과가 부진하거나 손실을 보고 있어, 전체적인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경기 침체로 인해 저평가된 자산들을 저렴하게 매입할 수 있는 기회
인도, 중국 등의 신흥 시장에 투자하여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
디지털화, 지속가능성, 사회적 책임 등에 맞춰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고 다양화할 수 있는 기회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보유주식들이 대상 기업들의 경영 위기나 규제 변화 등에 영향
보험, 철도, 에너지 등의 산업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기업들과의 경쟁이 치열
사이버 공격, 자연 재해, 전염병 등의 비상 사태로 인해 비즈니스 운영에 장애 발생 가능성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나스닥 홈페이지, 나무위키, CNBC, 마켓워치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8. 결론

앞으로 또 이런 주식이 나올 수 있을까? 싶지만 워런 버핏이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해 봅니다.

원칙을 지키는 투자와 한 종목을 고르면 최소 10년~30년까지 가져가는 장기 투자스타일로

쓸데없는 돈이 지출되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면서도 자신의 재산을 500억 달러 이상이나

통 큰 기부를 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내일 뉴스에 부고가 떠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인

92세의 버핏과 99세의 멍거의 시대가 가고 나서도 계속 이런 명성을 유지할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

 

또다시 이런 종목이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제2, 제3의 버크셔 해서웨이 같은 기업을 찾아내

천만 원이 넘고, 일억 원이 되더라도 팔지 않고 버틸 수 있는 확신이 없다면

우린 또다시 우와~~ 하고 쳐다만 보는 구경꾼의 입장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입니다.

 

똑같은 투자를 하더라도 조급해하지 않고 기다릴 수 있는 마음가짐과

그런 종목을 고르고 선택할 수 있는 안목을 가질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로또를 사지 않고서는 로또에 당첨될 확률이 없듯이

주식이란 것을 마냥 무서워만 하고 두려워만 할 대상은 아닙니다. 

앞으로 30년~50년을 살아가야 할  100세 시대에 부동산에만 의존할 수는 없는 일.

결국엔 금융상품에 투자 비중을 높여야 할 것입니다.

 

자주 방문하셔서 세계의 훌륭한 종목들과 익숙해지시기 바랍니다

그러다 보면 나와 궁합이 맞는 그런 종목을 만나게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  끝  -

 

한가지 더

 

버크셔해서웨이라는 회사는 금요일 오후나 토요일에 실적 공시를 하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대부분의 상장사는 증시 개장 전후로 실적을 공시하는데

2018년 주주들에게 보낸 연례 서한에서

 

"언론 보도는 때때로 수치에 집중한 나머지 불필요하게 독자들이나 시청자들을

겁먹게 하거나 고무시킨다"

"우리는 이 같은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실적을 금요일 장 마감 이후나 토요일 오전에 발표하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버핏은 ""이 같은 조치로 투자 전문가들은 월요일 개장 전까지 정보를 충분히 담은

논평을 낼 기회가 생기고 여러분들도 분석할 수 있는 시간도 최대한 보장해 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성대한 버크셔해서웨이의 주주총회에 참석하는 것만으로도

큰소리치고 싸움질하고 소액주주들을 개무시하는 어떤 나라와는 다른  

평생에 잊지 못할 가문의 영광처럼 대표된다는 문화가 부러울 따름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