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닷컴 (AMZN.NAS)주가

2023. 9. 16. 06:00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 업체와 클라우드 서비스로 대표되는 기업 아마존닷컴!!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오늘 소개할 종목은 세계 최대의 전자 상거래 기업으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1994년에 제프 베이조스가 온라인 서점으로 창업하여 

현재는 서적, 음반, 의류, 가전제품, 식품, 약품,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디지털 스트리밍 등

세계 최대의 온라인 쇼핑몰 기업인 동시에 세계 최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업이자

AI(인공지능) 알렉사를 가지고 있는 최첨단 IT기업으로 우주 사업까지 진출해 있는 '아마존닷컴'입니다.

 

 

아마존닷컴의 주요 자회사로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 알렉사, 아마존 로보틱스, 홀푸드 마켓,

자포스, 아마존 고, 필팩, 아마존 약국, 아마존 스튜디오, 아마존 에어, MGM, 아마존 퍼블리싱 등이 있습니다.

아마존닷컴은 미국을 비롯하여 캐나다, 멕시코, 영국, 아일랜드,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일본, 인도,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제 배송도 가능합니다.

 

 

 

인터넷 서점으로 시작해 현재 미국 온라인 쇼핑몰 매출 1위 기업으로

미국 전체 온라인 소매 시장의 약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위부터 10위 업체 매출을 다 합해도 아마존의 매출에 미치지 못하는

보더스, 서킷시티 등 전통 있는 오프라인 소매체인의 강자들을 줄줄이 몰락시킨 기업입니다.

 

아마존의 경영 철학은 집착에 가까울 정도로 고객 편의에 충실한 편이며,

다방면으로 성장과 사업 확장 속도가 빠르다 보니,

미국에서는 'Amazoned(아마존 된, 아마존 당한)'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이 표현은 특정 사업 분야에 아마존이 발을 들여놓는 순간,

해당 분야를 선도하던 기업들이 후발주자로 들어온 아마존의 고속 성장에 밀려 줄줄이 나락으로 떨어진다는

한 마디로 '아마존이 우리 분야에 들어와 우리 망하게 생겼다'

공포의 표현으로 사용될 정도로 보통명사화 되었습니다.

 

 

 
아마존닷컴의  물류센터
 

 

 


 

1. 기본 정보

 

 

 

 

기준일 : 23년 9월 14일 기준   (원/ USD 환율 : 1,330원) 기준
1. 아마존닷컴 (AMZN.NAS) Amazon.com, Inc.
2. 회사설립 일자 1994년 7월 6일    
3. 주식시장 상장일 1997년 5월 15일 나스닥 시장  
4. 총 발행주식 수 10,260,400,000  
5. 유통 주식 수 8,987,638,422 87.60%
6. 현재가 144.85 USD 193,110  
7. 시가 총액 14,900USD 1,9817,000억원   
8. 올해 배당금액 (배당 유무) 0.2 USD    22년 12월 배당
9. 최소 매수수량 (기준 단위)  1 주       
10. 매입 최소 단가 193,110원    

● 공식홈페이지 : https://www.amazon.com

 

 

2. 아마존닷컴의 발전역사와 사업내용

   

아마존닷컴은 1994년에 제프 베이조스가 온라인 서점으로 창업 후 

다음과 같은 발전 과정을 거쳐 세계 최대의 온라인 쇼핑몰로 성장하였습니다.

 

 

1995

아마존닷컴 웹사이트를 론칭하여 온라인 서적 판매를 시작합니다.

 

1997

나스닥 증권 거래소에 상장합니다.

 

1998

음반, DVD, 비디오, 소프트웨어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로 확장합니다.

 

2000

제삼자 판매자들이 자신의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 서비스를 도입합니다.

 

2002

의류, 신발, 액세서리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 패션몰로 확장합니다.

 

2005

무료 배송과 동영상 스트리밍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프라임 멤버십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2006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인 아마존 웹 서비스(AWS)를 개시합니다.

 

2007

전자책 리더기인 킨들(Kindle)을 출시합니다.

 

2010

태블릿 컴퓨터인 킨들 파이어(Kindle Fire)를 출시합니다.

 

2012:

스마트폰의 원조격인 킨들 파이어 폰(Kindle Fire Phone)을 출시합니다.

 

2014

인공지능 비서인 알렉사(Alexa)와 스마트 스피커인 에코(Echo)를 출시합니다.

 

2015

식품 배달 서비스인 아마존 프레시(Amazon Fresh)

온라인 식료품 스토어인 아마존 파냐(Amazon Pantry)를 시작합니다.

 

2017

유기농 식품 및 유통업체인 홀푸드 마켓(Whole Foods Market)을 인수하여

식품 소매 분야로 확장합니다.

 

2018

의료 서비스 기업인 피룸(Pharm)과 헬스 케어 회사인 헬시오(Helios)를 인수하여

의료 분야로 진출합니다.

 

2019

영화 제작 및 배급 회사인 MGM(Metro-Goldwyn-Mayer)을 인수하여 미디어 분야를 강화합니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아마존 스튜디오를 강화하였으며,

인공지능 비서 알렉사와 스마트 스피커 에코를 개선하고,

새로운 제품인 에코 쇼 5, 에코 스튜디오, 에코 버즈, 에코 프레임 등을 출시하였습니다.

 

2020

아마존닷컴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쇼핑 수요의 급증으로 이익이 확대되자,

아마존 웹 서비스(AWS)를 확장함과 동시에, 자율주행 배송 로봇인 아마존 스카우트를 도입하였습니다.

 

 

2021

제프 베이조스가 CEO에서 은퇴하고, 앤디 제시가 새로운 CEO가 되었습니다.

민간 우주 기업인 블루 오리진을 통해 제프 베이조스와 세계 최고령 우주인인 월리 펑크 등을 태워

우주여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2022

아마존닷컴은 AWS를 통해 인공지능의 민주화와 혁신을 추구하였으며,

다양한 분야와 사용 사례에 적용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고객에게 제공하였습니다.

아마존닷컴은 알렉사와 에코를 통해 고객의 음성과 자연어를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새로운 기능과 콘텐츠를 추가하였습니다.

 

2023

아마존닷컴은 매출이 7000억 달러에 근접하였으며, 순이익도 400억 달러를 돌파하였습니다.

아마존닷컴은  전자상거래와 클라우드 컴퓨팅뿐만 아니라, 미디어, 하드웨어, 오프라인 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확장하였습니다.  

 

아마존닷컴은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아마존 스튜디오를 통해 자체 제작 콘텐츠와 브랜드를 강화하였으며,

MGM을 인수한 후에는 MGM의 영화와 TV 쇼를 프라임 비디오에 추가하였습니다.

또한, 아마존닷컴은 킨들과 킨들 파이어를 통해 전자책과 태블릿 PC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였으며,

새로운 제품인 킨들 오아시스와 킨들 파이어 HDX를 출시하였습니다.

 

 

 

아마존닷컴은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 아마존 웹 서비스 (AWS)

 

AWS는 아마존닷컴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부로,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IT 리소스와 서비스를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AWS는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분석,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보안 등

200개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들 서비스는 다양한 산업과 사용 사례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AWS는 전 세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의 점유율과 매출액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마존닷컴의 수익성과 성장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세 가지 주요 유형인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Platform as a Service (PaaS), Software as a Service (SaaS)

모두 제공합니다.

 

IaaS는 클라우드 IT를 위한 기본 빌딩 블록을 제공하며,

가상 서버와 같은 리소스에 대한 최고 수준의 유연성과 관리 제어 기능을 제공합니다.

 

PaaS는 기본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애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리소스를 자동으로 프로비저닝 하고 유지 관리합니다.

 

SaaS는 완전한 제품을 제공하며,

웹 기반 이메일과 같은 최종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AWS는 전 세계에 32개의 지리적 리전 내에 102개의 가용 영역을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캐나다,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및 태국에 4개의 AWS 리전과 12개의 가용 영역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AWS 리전은 데이터 주권, 규정 준수 및 재해 복구를 위해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가용 영역은 전력, 네트워킹 및 연결성이 격리된 물리적 위치로 구성됩니다.

AWS는 또한 전 세계에 245개 이상의 엣지 로케이션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에게 콘텐츠 전송 및 컴퓨팅 서비스를 더욱 빠르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압도적으로 세계 1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Netflix, BMW Group, Epic Games 등 수많은 고객들이 AW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 아마존 프라임 (Prime)

 

아마존 프라임 (Prime)은 아마존이 제공하는 유료 구독 서비스입니다

아마존 프라임에 가입하면 다음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일 이내 무료 배송

아마존닷컴에서 구매한 상품을 2일 이내에 무료로 배송받을 수 있습니다.

일부 상품은 당일 배송이나 2시간 배송도 가능합니다.

 

프라임 비디오

영화, TV ,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비디오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스트리밍 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닷컴의 자체 제작 콘텐츠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프라임 뮤직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200만 곡 이상의 음악을 무제한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플레이리스트와 라디오 기능도 제공됩니다.

 

프라임 리딩

전자책 리더기인 킨들(Kindle)로 읽을 수 있는 도서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잡지, 만화, 오디오북 등도 포함됩니다

 

프라임 게임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로, Twitch Prime과 연동하여 인기 게임과 채널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매월 새로운 게임과 인게임 아이템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아마존 프라임은 연간 회비 $119나 월간 회비 $12.99를 내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에 2억 명 이상의 프라임 회원이 있으며, 아마존닷컴의 매출과 이익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프라임은 고객의 충성도와 구매력을 높이고,

아마존닷컴의 자체 콘텐츠와 브랜드를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현재 전 세계에 2억 명 이상의 프라임 회원이 있습니다.

 

 

3. 아마존닷컴 (Amazon.com)

 

아마존닷컴은 온라인 쇼핑몰로, 책, 의류, 가전제품, 식품, 약품, 장난감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합니다.

아마존닷컴은 자체 판매와 타 판매자의 마켓플레이스를 결합해 광범위의 상품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마존닷컴은 미국을 비롯하여 캐나다, 멕시코, 영국, 아일랜드,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일본, 인도,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제 배송도 가능합니다.

 

 

 

4. 아마존 약국 (Amazon Pharmacy)

 

아마존 약국 (Amazon Pharmacy)은 아마존이 제공하는 온라인 약국 서비스로, 

의사가 처방한 약이나 일반 감기약 등을 택배로 배송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의약품 가격을 미리 비교하거나 결제 때 보험 적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닷컴에서 상품 가격을 비교하는 것처럼, 의약품 가격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RxPass라는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면 한 달에 5달러로 80가지 이상의

일반 의약품을 정기적으로 배송받을 수 있습니다.

 

연중무휴 24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전문 약사와 상담할 수 있습니다.

약 복용 방법이나 부작용에 대한 문의 등 약에 관해 궁금하거나 알아야 할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전화만 하면 됩니다.

아마존 약국은 현재 미국 전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원 메디컬 (One Medical)이나 원격 의료 서비스인 아마존 클리닉 (Amazon Clinic) 고객은

아마존 약국에서 처방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약국으로, 의사가 처방한 약이나 일반 감기약 등을 택배로 배송해주는 서비스입니다.
 
 
 

5. 아마존 스카우트 (Amazon Scout) 

 

 

아마존 스카우트 (Amazon Scout)는 아마존닷컴이 제공하는 자율주행 배송로봇으로, 

고객의 문 앞까지 상품을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배송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아마존닷컴에서 구매한 상품을 스카우트가 집 앞까지 가져다주는 빠르고 안전하게 상품을

배송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스카우트는 전기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며,

6륜 바퀴로 보도를 따라 사람이 걷는 속도로 이동합니다.

 

스카우트는 GPS와 센서, 기계 학습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거리를 탐색하고,

애완동물이나 보행자와 같은 장애물을 피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스카우트는 무인으로 운영되므로, 배송원과의 접촉 없이 상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스카우트는 집에 도착하면 밖으로 나가 상품을 집 안으로 가져가기만 하면 됩니다

 

스카우트를 통한 배송은 이러한 혜택에 추가되어, 고객의 선택권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아마존 스카우트는 현재 미국 워싱턴주, 캘리포니아주, 조지아주, 테네시주 등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지역에서 확대될 예정입니다.

 
 
 

6. 블루 오리진 (Blue Origin) 

 

블루 오리진 (Blue Origin)은 미국의 우주 로켓 기업으로,

아마존닷컴의 창업자이자 세계 최고 부자인 제프 베이조스가 2000년에 설립하였습니다.

낮은 비용과 높은 신뢰성의 로켓을 만들어 개인이 우주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블루 오리진의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뉴 셰퍼드 (New Shepard)

재사용 가능한 하위 궤도 우주선으로, 단기간의 우주여행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뉴 셰퍼드는 6명의 승객을 태우고, 지구 대기권을 벗어나 100km 이상의 고도까지 상승한 후,

다시 지상에 착륙하는 비행을 수행합니다.

승객들은 약 10분 동안 우주를 경험하고, 무중력 상태를 즐길 수 있습니다.

뉴 셰퍼드는 2021 7 20일에 첫 유인 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제프 베이조스와 세계 최고령 우주인인 월리 펑크 등이 탑승하였습니다.

 

 

뉴 글렌 (New Glenn)

재사용 가능한 중급 궤도 우주선으로, 위성 발사와 장기간의 우주 탐사를 목표로 하는 서비스입니다.

뉴 글렌은 7개의 BE-4 엔진을 사용하는 1단과 하나의 BE-3U 엔진을 사용하는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45톤의 유용한 짐을 저궤도에, 13톤의 유용한 짐을 지구 동기궤도에 올릴 수 있습니다.

뉴 글렌은 2023년에 첫 비행을 예정하고 있으며, 나사와 미국 국방부 등과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블루 문 (Blue Moon)

재사용 가능한 달 착륙선으로, 달 표면에 인간과 화물을 운송하는 서비스입니다.

블루 문은 BE-7 엔진을 사용하며, 최대 6.5톤의 유용한 짐을 달 표면에 내릴 수 있습니다.

블루 문은 나사의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2024년까지 달 표면에 인간을 다시 착륙시키는 목표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3. 대표사업과 시장점유율 분석

 

 

1.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IT 리소스와 서비스를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의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분석,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보안 등

200개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들 서비스는 다양한 산업과 사용 사례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2020년 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매출은 3120억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24.1% 성장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공개적으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개인이나 기업이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프라스트럭처 as a Service (IaaS), 플랫폼 as a Service (PaaS),

소프트웨어 as a Service (SaaS) 등의 형태로 제공됩니다.

 

아마존닷컴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라는 이름으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20213분기 기준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의 33%를 차지했습니다.

 

뒤를 이어 마이크로소프트 Azure20%, 구글 클라우드가 10%,

알리바바가 6%, IBM4%의 점유율을 갖고 있습니다.

 

아마존닷컴은 2020년에 AWS의 매출이 455억 달러로 전년 대비 30% 증가하였으며,

영업이익도 135억 달러로 전년 대비 47% 증가하였습니다.

AWS는 아마존닷컴의 매출 중 약 14%를 차지하지만, 순이익 중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아마존닷컴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혁신적인 솔루션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닷컴은 AWS를 통해 인공지능의 민주화와 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와 사용 사례에 적용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유료구독 서비스

 

유료구독 서비스란 일정한 주기와 금액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유료구독 서비스는 고객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이고, 기업의 매출과 이익을 안정화하고,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료구독 서비스는 전통적으로 신문, 잡지, 케이블 TV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음악, 영화, 게임, , 교육, 건강, 뷰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유료구독 서비스 시장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크레디트스위스에 따르면 2010년에는 2,050억 달러에 불과했던

전 세계 유료구독 서비스 시장 규모는 2015년에는 4,200억 달러 (약 501조 원),

2020년에는 5,300억 달러 (632조 원)로 성장했습니다.

또한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2023년까지 제조기업 가운데 75%

구독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아마존은 전 세계 유료구독 서비스 시장에서 선두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아마존 프라임이라는 유료 구독 서비스를 통해 음악, 영화, TV, 게임, 전자책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마존 프라임 회원은 아마존에서 구매하는 품목 일부를 더 빠르고 저렴하게 배송받을 수 있습니다

아마존 프라임은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약 255억 달러 (30조 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아마존 프라임은 아마존의 전체 매출 중 약 7%를 차지하지만, 고객의 충성도와 구매력을 높이고,

다른 유료구독 서비스와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유료구독 서비스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혁신적인 솔루션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은 자체 제작 콘텐츠와 브랜드를 강화하기 위해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아마존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으며,

MGM을 인수한 후에는 MGM의 영화와 TV 쇼를 프라임 비디오에 추가하였습니다.

 

또한, 아마존은 킨들과 킨들 파이어를 통해 전자책과 태블릿 PC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였으며,

새로운 제품인 킨들 오아시스와 킨들 파이어 HDX를 출시하였습니다.

또한, 아마존은 홀푸드 마켓을 인수하고, 아마존 고와 아마존 프레시를 시작하였으며,

자율주행 배송 로봇인 아마존 스카우트와 민간 우주 기업인 블루 오리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 온라인 쇼핑몰

 

온라인 쇼핑몰이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웹사이트입니다.

온라인 쇼핑몰은 고객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이고, 기업의 매출과 이익을 증대하고,

시장을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은 전자상거래 (E-commerce)나 이커머스 (E-commerce)라고도 불리며,

PC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온라인 쇼핑몰 시장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eMarketer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온라인 쇼핑몰 시장 규모는 42800억 달러로,

전년 대비 27.6% 성장했습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오프라인 소비가 줄어들고,

온라인 소비가 늘어난 결과입니다.

eMarketer2024년까지 전 세계 온라인 쇼핑몰 시장 규모가 639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아마존은 전 세계 온라인 쇼핑몰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2020년 전 세계 온라인 쇼핑몰 매출액이 3천660억 달러로, 전년 대비 37.6% 증가했습니다.

아마존은 전 세계 온라인 쇼핑몰 시장 점유율의 13.5%를 차지했으며,

뒤를 이어 알리바바가 8.9%, 월마트가 5.3%, eBay3%, 애플이 2.9%의 점유율을 갖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미국, 유럽,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음악, 영화, TV, 게임, 전자책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료 구독 서비스인 아마존 프라임 4를 통해 고객의 충성도와 구매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전 세계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eMarketer에 따르면, 아마존의 미국 온라인 쇼핑 시장 점유율은 40.4%,

뒤늦게 온라인 쇼핑을 강화하고 있는 월마트 (7.1%)를 압도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미국과 캐나다를 비롯한 북미 시장은 물론이고,

영국, 독일, 프랑스와 같은 유럽 시장과 일본 시장에서도 온라인 쇼핑 시장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4. 우주 서비스 산업

 

우주 서비스 산업이란 우주를 활용하여 다양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입니다.

우주 서비스 산업은 위성, 우주선, 우주정거장, 우주탐사, 우주관광 등의 분야를 포함하며,

통신, 방송, 위치정보, 국방, 항공우주, 교육, 문화 등의 산업과 연계될 수 있습니다.

우주 서비스 산업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민간의 투자로 인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미래의 블루오션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전 세계 우주 서비스 산업 시장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크레디트스위스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우주 서비스 산업 시장 규모는

3850억 달러 (약 480조 원)로, 2015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또한 시장조사기관 모건스탠리는 2040년까지 전 세계 우주 서비스 산업 시장 규모가

1조 1000억 달러 (약 137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세에는 아마존을 비롯해 민간 우주 기업들의 활발한 도전과 혁신이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전 세계 우주 서비스 산업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의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인 제프 베이조스는

2000년에 블루 오리진이라는 우주 기업을 설립했습니다.

블루 오리진은 재사용 가능한 로켓과 우주선을 개발하여 저렴하고 안전한 우주여행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블루 오리진은 지난 720일에 자체 개발한 로켓인 뉴셰퍼드로

첫 번째 유인 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베이조스와 그의 형제, 여성 비행사 월리 펑크, 네덜란드 학생 올리버 다이먼 등 네 명의 승객이 탑승했습니다.

블루 오리진은 앞으로도 더 많은 고객들에게 우주여행을 제공할 계획이며,

달 탐사와 화성 탐사 등의 장기적인 비전도 갖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또한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프로젝트 쿠퍼라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쿠퍼는 저궤도에 3236개의 인공위성을 배치하여

전 세계 어디서나 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FCC)로부터 프로젝트 쿠퍼에 대한 승인을 받았으며,

2029년까지 모든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아마존은 프로젝트 쿠퍼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어려운 지역의 고객들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마존 웹 서비스 (AWS)와의 연계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4. 주가 및 차트정보

 
 
아마존의 주가차트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나스닥에 상장된 아마존닷컴의 일봉차트 (출처:키움증권)

 

아마존닷컴은 23년도 초반부터 9월 현재까지 무섭게 주가가 상승하면서 전고점을 경신해가고 있습니다

좀 더 장기 차트인 주봉차트를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나스닥에 상장된 아마존닷컴의 주봉차트 (출처:키움증권)

 

22년도에 액면분할을 했던 시점의 가격까지 주가를 회복하는 무서운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202239일에 주식을 201로 액면분할하고

10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아마존 닷컴이 1999년 이후 처음으로 액면분할을 한 것이었습니다.

 

당시 아마존 닷컴의 액면분할 계획은 시장에서 호재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액면분할 발표 후 시간 외 거래에서 아마존 닷컴 주가는 6.58% 올랐으며,

다음날 장에서는 5.41% 상승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액면분할로 인해 자사주와 스톡옵션을 가진 직원들의 자산 관리를 돕고,

회사에 투자하려는 사람들이 더 쉽게 접근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다우 존스 산업 평균 지수에 편입될 가능성도 높아졌습니다.

다우 존스 지수는 주가가 너무 높은 주식을 제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아마존 닷컴은 액면분할로 주가를 낮춤으로써 다우 존스 지수에 들어갈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지금부터는 차익실현을 하는 매물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혹시 모르니 공매도 상황도 확인해 보시죠

 

 

아마존닷컴 일자별 공매도 추이

 

일자별 공매도 체결 수량이 만만치가 않아 보입니다

 

아마존닷컴 공매도 미상환잔고 추이

 

기간별 공매도 미상환 잔고는 평균 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5. 재무 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아마존닷컴 22년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2022년도 말 최고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마존 닷컴은 20221분기부터 38억 4400만 달러 (약 4조 9000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5년 이후 첫 번째 분기 적자로 기록될 정도로 어닝쇼크였는데요

 

아마존 닷컴은 전기차 업체 리비안에 대한 투자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리비안에 약 100억 달러를 투자했으나,

리비안의 주가가 폭락하면서 76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리비안은 배터리 결함과 공급망 문제로 인해 전기차 생산과 배송에 차질을 겪고 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종료로 온라인 쇼핑 수요가 감소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20221분기에 온라인 판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하는 등 부진을 보였습니다.

코로나19 백신의 보급과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인해 고객들이 오프라인 쇼핑으로 회귀한 것이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인플레이션, 공급망 혼란,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거시 경제적 위기로 비용이 증가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국내 배송, 운송료, 연료비, 임금 등이 증가했습니다.

또한, AWS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일부 전력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기간 서비스 비용이 급등했습니다.

또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유럽과 중동 지역에서의 사업 활동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아마존닷컴 23년 1Q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아마존 닷컴은 23년도 1사 분기에 1조 343억 달러의 매출과 65센트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월가의 예상치인 1조 316억 3천만 달러의 매출과 35센트의 주당 순이익을 상회한 결과입니다.

아마존 닷컴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6% 성장했으며,

주당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6배 증가했습니다.

 

아마존 닷컴의 매출 구조는 크게 북미 사업부, 국제 사업부, 아마존 웹 서비스 (AWS)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북미 사업부는 아마존 닷컴의 본업인 전자상거래 관련 매출을 담당하며,

23년도 1사 분기에 834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4% 성장한 수치입니다.

국제 사업부는 아마존 닷컴이 해외에서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관련 매출을 담당하며,

23년도 1사 분기에 3236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5.5% 성장한 수치입니다.

 

AWS는 아마존 닷컴이 기업에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담당하며,

23년도 1사 분기에 2214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2% 성장한 수치입니다.

 

아마존 닷컴의 영업 이익은 23년도 1사 분기에 76억 8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했습니다.

이 중 AWS가 영업 이익의 약 절반인 37억 8천만 달러를 기여했습니다.

 

 

 

 

아마존닷컴 23년 2Q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아마존 닷컴은 23년도 2사 분기에 1조 2천억 달러의 매출과 0.35달러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월가의 예상치인 1조 1천억 달러의 매출과 0.22달러의 주당 순이익을 상회한 결과입니다.

아마존 닷컴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 성장했으며,

주당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습니다.

 

아마존 닷컴의 매출 구조는 크게 북미 사업부, 국제 사업부, 아마존 웹 서비스 (AWS)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북미 사업부는 아마존 닷컴의 본업인 전자상거래 관련 매출을 담당하며,

23년도 2사 분기에 910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8% 성장한 수치입니다.

 

국제 사업부는 아마존 닷컴이 해외에서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관련 매출을 담당하며,

23년도 2사 분기에 390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6% 성장한 수치입니다.

 

AWS는 아마존 닷컴이 기업에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담당하며,

23년도 2사 분기에 260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7% 성장한 수치입니다.

 

아마존 닷컴의 영업 이익은 23년도 2사 분기에 8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습니다.

이 중 AWS가 영업 이익의 약 절반인 42억 달러를 기여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AWS의 높은 수익성을 바탕으로 전자상거래 부문의 투자와 비용을 커버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23년도 3사 분기에도 긍정적일 것으로 보이며

1조 2천억 달러에서 1조 3천억 달러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3%에서 20%의 성장을 의미합니다.

또한, 영업 이익은 25억 달러에서 65억 달러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6. 경쟁사 분석

 

 

아마존 닷컴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므로, 경쟁 업체도 분야별로 다릅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업 분야는 온라인 쇼핑몰, 클라우드 컴퓨팅, 스트리밍 콘텐츠,

디지털 디바이스, 우주 서비스 등입니다.

 

 

1. 전자상거래 분야

 

전자상거래 분야에서는 월마트, 이베이, 알리바바, 쿠팡 등이 아마존닷컴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월마트는 미국 최대의 오프라인 유통업체로,

온라인 쇼핑몰 시장에서도 아마존 닷컴을 추격하고 있습니다.

월마트는 자체 물류 네트워크와 매장을 활용하여

고객에게 빠르고 저렴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알리바바는 중국 최대의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으로,

아시아와 유럽 시장에서 아마존 닷컴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알리바바는 소비자와 판매자를 연결하는 B2C 모델인 타오바오와

판매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B2B 모델인 알리바바닷컴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베이는 미국의 온라인 경매 및 쇼핑몰 사이트로,

아마존 닷컴과 비슷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베이는 고객들이 자신의 상품을 경매에 올리거나 직접 판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쿠팡은 한국의 대표적인 전자상거래 기업으로서,

로켓 배송이라는 빠르고 편리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IBM, 오라클 등이 아마존닷컴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zure라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마존 웹 서비스(AWS)와 가장 큰 시장 점유율을 다투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의 윈도우 운영체제와 오피스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에 통합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이라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마존 웹 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 Azure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습니다.

구글은 자사의 검색 엔진과 인공지능 기술을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이라는 이름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구글 검색과 지도와 같은 자체 서비스와의 연동성이 강합니다.

 

IBMIBM 클라우드라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마존 웹 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 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에 이어

네 번째로 큰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습니다.

IBM은 자사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IBM 클라우드라는 이름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와 같은 고급 기술을 활용합니다.

 

 

오라클은 오라클 클라우드라는 이름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와 소프트웨어 개발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3. 스트리밍 콘텐츠 분야

 

스트리밍 콘텐츠 분야에서는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 등이 아마존 닷컴의 주요 경쟁 업체입니다.

 

넷플릭스는 세계 최대의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업체로,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가장 큰 시장 점유율을 다투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다양한 장르와 언어의 영화와 TV 쇼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체 제작 콘텐츠도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디즈니는 디즈니 플러스라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넷플릭스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습니다.

디즈니는 자사의 애니메이션과 라이브 액션 영화, 마블과 스타워즈 등의

인기 프랜차이즈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애플 TV 플러스라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에 이어 네 번째로 큰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습니다.

애플은 자사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와의 연계성을 강조하며, 자체 제작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 디지털 디바이스 분야

 

디지털 디바이스 분야에서는 애플, 삼성전자, 구글 등이 아마존 닷컴의 주요 경쟁 업체입니다.

 

애플은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애플워치 등의 인기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아마존의 킨들, 킨들 파이어, 에코 등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자사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완벽한 조화와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스마트워치 등의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아마존의 킨들, 킨들 파이어, 에코 등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자사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다양성과 혁신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구글 픽셀 스마트폰, 크롬북, 넥서스 태블릿, 구글 홈 등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하면서

아마존닷컴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5. 우주 서비스 분야

 

우주 서비스 분야에서는 스페이스 X, 버진 갤럭틱, 보잉 등이 아마존 닷컴의 주요 경쟁 업체입니다.

 

스페이스 X는 테슬라의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우주 기업으로,

아마존의 블루 오리진과 가장 큰 시장 점유율을 다투고 있습니다.

스페이스 X는 재사용 가능한 로켓과 우주선을 개발하여 저렴하고 안전한

우주여행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페이스 X는 또한 스타링크라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아마존의 프로젝트 쿠퍼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스페이스 X는 달 탐사와 화성 탐사 등의 장기적인 비전도 갖고 있습니다.

 

버진 갤럭틱은 버진 그룹의 창업자이자 회장인 리처드 브랜슨이 설립한 우주 기업으로,

아마존의 블루 오리진과 비슷한 우주여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버진 갤럭틱은 지난 711일에 자체 개발한 우주선인 VSS 유니티로

첫 번째 유인 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브랜슨과 그의 동료들이 탑승했습니다.

버진 갤럭틱은 앞으로도 더 많은 고객들에게 우주여행을 제공할 계획이며,

하이퍼루프와 같은 혁신적인 교통 서비스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보잉은 미국의 대형 항공우주 기업으로,

아마존의 블루 오리진과 스페이스 X와 함께 NASA와 계약하여

국제우주정거장 (ISS)에 인력과 물자를 운송하는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보잉은 CST-100 스타라이너라는 유인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으며,

2022년에 첫 번째 유인 비행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7.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세계 최초의 온라인 서점으로 시작하여, 온라인 쇼핑몰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
저렴한 가격, 빠른 배송, 다양한 상품, 편리한 결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 높음
서적, 음반, 완구, 전자제품 등 31개의 카테고리로 약 470만 종의 제품을 판매
아마존 웹 서비스(AWS)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
아마존 프라임, 아마존 프레시, 아마존 고 등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여 고객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
아마존 닷컴은 고객들의 다양한 취향과 요구에 맞춰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등의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 추천, 배송 최적화, 고객 서비스 등을 개선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저렴한 가격과 무료 배송 등의 정책으로 인해 낮은 수익성
새로운 사업 분야로의 진출과 기술 개발을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자(2020 매출액의 11% 연구비투자)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법적·정치적·사회적 문제에 직면
세금 회피, 공정 거래 위반, 개인 정보 침해, 노동 조건 악화 등의 혐의에 대한 조사와 소송이 진행
쇼핑 수요가 급증하면서 배송 지연, 재고 부족, 가격 인상 등의 문제 발생에 대한 고객들의 불만이 증가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소비 행태가 변화
온라인 쇼핑몰, 클라우드 컴퓨팅, 스트리밍 콘텐츠 등의 시장 규모가 확대
온라인 소비 트렌드를 선도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
미국과 유럽 등의 성숙 시장에서 주로 활동, 아시아와 남미 등의 신흥 시장에서는 아직 많은 잠재력
인도와 중국 등의 신흥 시장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고객들을 유치할 수 있는 기회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프로젝트 쿠퍼와 우주 여행 서비스인 블루 오리진 등의 혁신적인 사업을 진행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경쟁 업체들은 아마존 닷컴의 시장 점유율을 압박과 앞으로도 더 많은 고객들을 빼앗을 수 있는 위협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법적·정치적·사회적 문제에 직면
온라인 쇼핑 수요가 급증으로 배송 지연, 재고 부족, 가격 인상 등의 문제로 고객들의 불만이 증가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나무위키, 위키백과, 키움증권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8. 결론

 

아마존닷컴이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경영 전략이 주효했다고 알려집니다.  

 

1. 이익보다 시장을 지배하라

아마존 닷컴은 저렴한 가격과 무료 배송 등의 정책으로 고객들에게 매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단기적인 이익보다는 장기적인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것을 우선시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시장 선점으로 인한 1등 효과를 활용하여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2.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보유함으로써 고객 만족 실현하라

아마존 닷컴은 서적, 음반, 완구, 전자제품 등 31개의 카테고리로 약 470만 종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마존 웹 서비스(AWS)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아마존 뮤직을 통해 스트리밍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고객들의 다양한 취향과 요구에 맞춰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혁신적인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로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라

아마존 닷컴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등의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 추천, 배송 최적화, 고객 서비스 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마존 프라임, 아마존 프레시, 아마존 고 등의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여

고객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 사업을 무한 확장하라

아마존 닷컴은 현재 미국과 유럽 등의 성숙 시장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으나,

아시아와 남미 등의 신흥 시장에서는 아직 많은 잠재력이 남아 있습니다.

아마존 닷컴은 이미 인도와 중국 등의 신흥 시장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고객들을 유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아마존 닷컴은 기존의 사업 분야 외에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프로젝트 쿠퍼와

우주여행 서비스인 블루 오리진 등의 혁신적인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네 가지 경영 전략들이 제대로 먹혔기 때문에 성공했다고 보는데,

그래서 앞으로의 미래 가치는 어떠할 것인가?

공장장의 견해로는 여전히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크다고 보는 견해입니다.

  

전자 상거래 분야에서는 2등부터 10등까지의 점유율이 아마존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차이가 큰 만큼 아마존의 당분간의 우세가 계속될 것이며,

클라우드 시장 역시 마찬가지로 넉넉하게 시장을 선도해 나가는 위치에 있는 만큼

아마존의 우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우주 사업 역시 다른 기업들이 경쟁을 하기에는 진입 장벽이 높아 독점 사업에 가깝습니다.

 

스트리밍 콘텐츠 분야는 넷플릭스에 크게 뒤지기는 하지만 보다 다양함으로 승부함으로써 

충성도가 높은 만큼 기존의 시장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아시아권의 신흥시장을 개척해 나간다면

후발 주자들의 추격과 경쟁으로 뺏기는 점유율 이상으로 아마존닷컴의 인지도를 이용한

신규 시장의 파이가 더 커질 수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마존닷컴이 최근 인도시장에 공을 들이는 이유로 충분히 대변될 만합니다.

 

다만 2014619일에는 결국 아마존 파이어폰 같이 신규로 스마트 폰을 만든다던가

2019년 완전자율주행 택시인 죽스 개발과 같이 무리하게 투자했다가 실패했던 경험을 반면교사로 삼아

무리한 신규 투자만 하지 않는다면, 기존의 충성도 높은 고객층은 더욱 두터워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현재 주가가 너무 높다는 점과 배당이 거의 없다는 점, 그리고 주식분할을 실시했었던 가격대에

근접해 있다는 점은 기술적 분석상으로 봤을 때는 아무리 메리트 있고 좋은 종목이지만 

지금 매수할 때는 아니라고 보는 견해입니다.

 

이 종목 또한 관심 종목에 추가해 뒀다가  100달러 아랫부분이 온다거나 할 경우가 오면 모를까

비싼 가격에 고점에서 살 이유는 없다고 생각되니 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  끝  -

 

 

 

반응형

'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파벳 A (GOOGL.NAS)주가  (96) 2023.09.11
마이크로소프트 (MSFT.NAS)주가  (82) 2023.09.10
애플 (AAPL.NAS)주가  (84) 2023.09.06
AMD (AMD.NAS) 주가  (68) 2023.09.03
TSMC(ADR) (TSM.NYS) 주가  (59) 2023.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