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벳 A (GOOGL.NAS)주가

2023. 9. 11. 05:00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알파벳이라는 지주회사의 대표 기업 중 하나가 구글이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오늘 소개할 종목은 인터넷 서비스가 핵심 사업이나, 생명공학(Calico·Verily), 인공지능(Deepmind), 

자율주행(Waymo), 피트니스 기기(Fitbit)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우리에게는 구글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입니다.

 

2015 기업구조 개편으로 설립된 지주회사로 Google 및 산하 사업부들을 자회사로 편입시켰으며,

보통주 Class A(GOOGL)와 무의결권주식 Class C(GOOG)로 나누어 발행하였습니다.

 

 

알파벳의 매출 구조는 굵직하게 네 가지 사업분야로

1) 글로벌 1위 검색 엔진인 Google과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Youtube를 활용한 디지털 광고 매출

2) 글로벌 점유율 3위인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

3)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인 Google Play 수수료·Youtube 구독료·Google Nest 등의 전자기기 판매 

4) Google 외 자회사 매출(Other Bets)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2020년 기준 사업별 매출 비중은

광고 80.5%(검색 및 기타 광고 57.0%, 디스플레이(배너 광고) 12.7%, 유튜브 10.8%),

클라우드 7.2%, 그 외 구글 매출 11.9%, 기타 0.5%(Other Bets 0.4%, 헷징 0.1%)로 구성되며,

2020년 기준 지역별 매출 비중은 미국 46.6%,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30.3%,

아시아 퍼시픽(APAC) 17.8%, 아메리카(미국 제외) 5.2%로 나뉩니다.

 

원래 초창기 2004년도에 창업할 당시에는 A주, B주, C주에 대한 구분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회사가 커지면서 주주와 임원들 간의 경영 간섭이 마찰을 빚으면서 2014년에 구글 주식을 

분할해서 A, B, C주로 구분하면서 다음과 같이 의결권을 차등적으로 두면서 

A주식과 C주식만 상장하고 B주식은 상장하지 않고 창업자와 일부 임원들만 갖게 만들었습니다.

 

문제는 우선주에 해당하는 C 주식이 의결권이 없는 반면에 배당에서 유리해야 하는데 

그렇지도 못한 것이 구글은 배당을 하지 않기 때문에 큰 메리트가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혹시라도 구글이 나중에 배당을 하게 된다면 C 주식이 유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알파벳 A  : 1주당 의결권 1

알파벳 B  : 1주당 의결권 10(비상장 주식으로 초창기 회사 창립자인 페이지, 브린이 소유)

알파벳 C  : 무의결권

 

알파벳 C주식이 의결권이 없음에도 의결권이 있는 A주식과 가격차이가 나지 않는 이유는

창립자(페이지, 브린)의 구글의 의결권 가치를 희석시키지 않기 위해

알파벳 C주를 발행했기 때문에 스톡옵션과 인수합병을 하면서 알파벳 C의 주식 수가 늘어나게 되므로

이 과정에서 C주 주주들의 반발을 막기 위해 매입 후 소각을 하고 있습니다.

 

알파벳 A의 주식은 알파벳 B 주식이 사라지게 되면서 의결권에 대한 가치가 커져서

향후 주식의 가치가 커질 것이지만 C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들이 바보가 아닌지라 

알파벳 C는 자사주 매입 대상이기도 하고,

알파벳 A와 가격차이가 1% 이상 발생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알파벳 C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장장은 A주식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1. 기본 정보

 

 

 

 

기준일 : 23년 9월 10일 기준   (원/ USD 환율 : 1,335원)  기준
알파벳 A주식과 알파벳 C 주식으로 각각 독립되어 상장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A 주식은 의결권이 있는 주식이고 C주식은 의결권이 없는 주식입니다.
주가의 흐름은 항상 비슷합니다.
우리는 의결권이 있는 A 주식을 기준으로 다루겠습니다. 
1. 알파벳 A  알파벳 C  Alphabet Inc. Class A
2. 회사설립 일자 1996 년 1 월       
3. 주식시장 상장일 2004 년 8월 19일 나스닥 시장  
4. 총 발행주식 수 A주: 5,933,000,000 C주 : 5,801,000,000 주
5. 유통 발행주식 수 5,908,194,127(99.58%) 5,012,238,030  (86.40%)
6. 현재가 136.38 USD(182,065원) 137.20USD(183,160원)  
7. 시가 총액 A 8,091USD(1,080조원) C 7,959USD(1,062조원) 16,050USD
8. 올해 배당금액  배당 X   (2,142조원)
9. 최소 매수수량  1 주       
10. 매입 최소 단가  183,000 원    

● 공식홈페이지 : http://www.abc.xyz

 

Alphabet Investor Relations

As Sergey and I wrote in the original founders letter 11 years ago, “Google is not a conventional company. We do not intend to become one” more As part of that, we also said that you could expect us to make “smaller bets in areas that might seem very

abc.xyz

 

 

2. 사업내용

   

 

199897, 페이지와 브린은 캘리포니아주 먼로 파크에 있는 친구집 차고에서

그들의 회사인 "Google Inc."를 공식 창립을 합니다. 

"구글"이라는 명칭은 "구골"이라는 단어의 철자를 잘못 쓴 것인데 

여기서 구골은 10의 100승( 0100개 붙음)을  의미합니다.

 

검색이란 단어를 구글링(Googling) 하다라고 할 정도로

 2006, 일상생활에서의 사용이 늘어나자, "구글 하다 (동사)"

메리엄 웹스터 사전 및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등재되었습니다 

"구글 하다(동사)""구글을 이용하여 인터넷의 정보를 검색하다"라는 뜻이 되어버린 겁니다.

 

 

구글은 검색엔진 부문에 있어서 세계 1위의 기업으로 구글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크롬, 구글맵, 구글어스, 안드로이드, 지메일 등과 유튜브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5

구글의 새로운 기업구조 개편으로 2015810일 구글 블로그를 통하여 발표되었습니다

20158월 래리 페이지가 '사이드워크 랩스(Sidewalk Labs)'라는 자회사를 설립했고

뉴욕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이미 "뉴욕 뉴시티"라는 무료 Wi-Fi 보급 등

도시 인프라 개선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105일부터 미국 나스닥에서 기존의 구글 주식 대신 알파벳의 주식이 거래되기 시작했습니다.

2015년도 4분기부터 구글과 그 외의 사업부의 실적 발표를 분리해서 발표해 왔습니다.

2015128일 구글 X 생명과학 부문의 새로운 명칭 'Verily'를 발표합니다

 

 

 

알파벳 기업의 자회사

 

우리가 여기서 알아야 할 것은 구글의 자회사가 알파벳이 아니라,

알파벳의 자회사 중의 하나가 구글이라는 사실입니다.

 

알파벳의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온라인 광고

 

알파벳의 가장 큰 수익원은 구글의 온라인 광고 사업입니다.

구글은 검색 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유튜브 광고, 구글 플레이 스토어 광고 등을 통해

수많은 광고주와 사용자를 연결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 알파벳의 총 매출액 중 약 80%가 온라인 광고로부터 발생했습니다

 

2. 클라우드 컴퓨팅

 

알파벳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을 통해 기업이나 개인에게 클라우드 기반의 인프라,

플랫폼,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GCP는 구글의 핵심 기술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 GCP의 매출액은 2,616억 달러로 전년 대비 46% 증가했습니다.

 

3. 기타 사업

 

알파벳은 구글 외에도 여러 자회사들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다른 분야에서 혁신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Waymo는 자율주행차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Verily는 의료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X는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담한 아이디어들을 실험하고 있는 연구소입니다.

 

알파벳은 인터넷, 소프트웨어, 통신, 의료, 생명공학,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알파벳은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산업 및 시장분석

 

1. 온라인 광고산업 및 시장분석

 

온라인 광고산업은 인터넷을 통해 광고주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산업입니다.

온라인 광고산업은 검색 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모바일 광고, 비디오 광고, 소셜미디어 광고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를 제공하며, 광고주는 광고 효과를 측정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광고산업은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 스마트폰의 보급,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활용 등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엄청난 성장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광고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오프라인 매체의 광고비가 감소하였으나,

온라인 매체의 광고비는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전 세계 온라인 광고시장의 규모는 약 3.5조 달러로 추정되며,

이는 전년 대비 2.9% 증가한 것입니다.

2021년에는 전 세계 온라인 광고시장이 약 4.1조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의 온라인 광고시장도 확장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체 광고시장이 0.8% 감소하였으나,

온라인 광고시장은 9.5% 증가하여 46천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습니다.

이 중, 모바일 광고비가 17.5% 증가하여 28천억 원을 차지하였으며,

유튜브와 네이버 등의 플랫폼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2021년에는 국내 온라인 광고시장이 약 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 및 시장분석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존의 온프레미스 방식과 달리, 물리적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거나 설치할 필요 없이, 필요한 만큼만 원격 서버에서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비용 절감, 운영 효율성, 신속한 서비스 제공, 확장성, 유연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서비스 모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가상화된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자는 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선택하고,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AWSEC2, 구글 클라우드의 GCE 등이 있습니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배포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자는 프로그래밍 언어나 프레임워크 등을 선택하고,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AWSElastic Beanstalk, 구글 클라우드의 App Engine 등이 있습니다.

 

SaaS (Software as a Service)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 앱 등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구글의 Gmail, 네이버의 클라우드 오피스 등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클라우드 수요가 급증하였습니다.

2020년 전 세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규모는 약 3.5조 달러로 추정되며,

이는 전년 대비 2.9% 증가한 것입니다.

2021년에는 전 세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약 4.1조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도 확장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체 IT 시장이 0.8% 감소하였으나,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9.5% 증가하여 46천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습니다.

이 중,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가 17.5% 증가하여 28천억 원을 차지하였으며,

AWS와 구글 클라우드 등의 글로벌 사업자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2021년에는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약 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 산업 및 시장분석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입니다.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비롯하여 원스토어, 아마존 앱스토어, 삼성 갤럭시 스토어 등

다양한 사업자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2005년에 구글에 인수되었으며,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무료로 배포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광고 수익과 앱 판매 수익을 통해 매출액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전 세계 스마트폰 운영체제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으며,

애플의 iOS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모바일 기기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의 매출액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전 세계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의 매출액은 약 3.8조 달러로 추정되며,

이는 전년 대비 30% 증가한 것입니다.

2021년에는 전 세계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의 매출액이 약 4.5조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의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 산업도 확장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체 광고시장이 0.8% 감소하였으나,

온라인 광고시장은 9.5% 증가하여 46천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습니다.

이 중,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매출액은 전체의 66.5%547억 원이었고,

원스토어의 매출액은 11.7%8,825억 원이었습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로,

다양한 카테고리와 국가별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스토어는 국내 통신사들과 네이버 등이 주주로 참여하는 토종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로,

국내 게임 개발사들과 협력하여 독점적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 구글의 검색엔진 산업 및 시장분석

 

구글의 검색엔진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고, 정렬하고,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구글은 검색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사용자의 의도와 맥락을 파악하고,

다양한 형식의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색엔진으로, 90%의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글은 검색엔진을 통해 수많은 광고주와 사용자를 연결하고, 온라인 광고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 구글의 총 매출액 중 약 80%가 온라인 광고로부터 발생했습니다.

 

구글 검색엔진의 기술적 특징과 혁신

 

PageRank

구글은 웹 페이지의 중요도와 관련성을 측정하기 위해 PageRank라는 알고리즘을 개발했습니다.

PageRank는 웹 페이지가 다른 웹 페이지로부터 얼마나 많은 링크를 받았는지,

그리고 그 링크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 점수를 부여합니다.

PageRank는 구글의 검색엔진의 핵심 요소로, 웹 페이지들을 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데 사용됩니다.

 

Knowledge Graph

구글은 2012년부터 Knowledge Graph라는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Knowledge Graph는 인터넷상의 수백만 개의 사람, 장소, 사물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합니다.

Knowledge Graph는 사용자가 입력한 질문에 대해 단순한 키워드가 아니라 의미 있는 답변을 제공하고,

관련된 주제나 사실 등을 보여줍니다.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구글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주자입니다.

구글은 텐서플로우, TPU, 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번역 등 다양한 인공지능 관련 기술과 서비스들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들을 검색엔진에도 적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BERT라는 자연어 처리 모델은 사용자의 질문을 더 잘 이해하고,

더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5. 알파벳의 구글 외 자회사 산업 및 시장분석

 

구글은 구글 검색엔진을 비롯하여 유튜브, 안드로이드, 웨이모, 딥마인드, 캘리코 등

다양한 자회사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들 자회사들은 각각 다른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구글의 매출액과 이익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온라인 동영상 공유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회사입니다.

2006년에 구글에 인수되었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웹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유튜브는 광고 수익과 프리미엄 구독 수익을 통해 매출액을 창출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약 200억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했습니다.

유튜브는 전 세계 온라인 동영상 시장의 약 30%를 점유하고 있으며,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디즈니 플러스 등의 OTT 서비스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웨이모

자율주행자동차를 개발하는 자회사입니다.

2009년에 구글 X라는 연구소에서 시작되었으며, 2016년에 독립적인 회사로 분리되었습니다.

웨이모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센서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 자율주행자동차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웨이모는 아직 매출액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2020년에는 약 3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가졌다고 추정됩니다.

웨이모는 테슬라, 우버, GM 등의 기업들과 자율주행자동차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딥마인드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분야에서 연구와 개발을 하는 자회사입니다.

2014년에 구글에 인수되었으며, 영국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딥마인드는 알파고, 알파제로, 알파폴드 등의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보드게임, 바이오정보학, 의료 등의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성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딥마인드는 아직 매출액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2019년에는 약 5억 달러의 손실을 보고했습니다.

딥마인드는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 등의 기업들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캘리코

노화와 관련된 질병을 연구하고 치료하는 자회사입니다.

2013년에 구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캘리코는 노화의 원인과 메커니즘을 밝히고,

노화와 관련된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캘리코는 아직 매출액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2020년에는 약 10억 달러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캘리코는 유니티 바이오테크놀로지, 리스틱 바이오사이언스 등의 기업들과 노화 연구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Wing)

윙(Wing)은 드론을 기반으로 화물 운송 기술을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윙은 최고시속 120km/h를 자랑하는 배송용 드론을 개발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앱으로 주문을 받아 음식이나 약품 등을 배송해 주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GV

GV는 성장성을 가진 다양한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벤처캐피털 투자회사입니다.

GV는 우버, 플래티론 헬스, 슬레이크 등 300개 이상의 회사에 투자하였으며,

에어비앤비, 글래스도어, 썸텍등에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4. 대표상품과 시장점유율 분석

 

알파벳의 대표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색엔진으로, 90%의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글은 검색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사용자의 의도와 맥락을 파악하고,

다양한 형식의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검색엔진을 통해 수많은 광고주와 사용자를 연결하고, 온라인 광고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 구글의 총 매출액 중 약 80%가 온라인 광고로부터 발생했습니다.

 

구글은 검색엔진 외에도 유튜브, 안드로이드, 웨이모, 딥마인드, 캘리코 등 다양한 자회사들을 운영하며,

이들은 각각 다른 분야에서 혁신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알파벳의 클라우드 컴퓨팅 대표상품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 GCP)입니다.

GCP는 구글이 제공하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합한 플랫폼으로,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 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 인공지능, 머신러닝, 개발자 도구, 보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GCP는 구글의 글로벌 인프라와 기술을 활용하여 고성능, 안정성, 확장성, 비용 효율성을 갖춘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알파벳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점유율은 전 세계적으로 약 6.1%로 추정됩니다.

이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40.8%,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19.7%,

알리바바 클라우드(Alibaba Cloud)9.5%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입니다.

 

그러나 구글 클라우드는 2020년에 전년 대비 66.1% 성장하여 39억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AWS28.7%, 애저의 59.2%,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52.8%보다 높은 성장률입니다.

구글 클라우드는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분야에서 강력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유튜브, 넷플릭스, 트위터 등의 대형 고객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온라인 동영상 공유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회사입니다.

2006년에 구글에 인수되었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웹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유튜브는 광고 수익과 프리미엄 구독 수익을 통해 매출액을 창출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약 200억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했습니다.

 

유튜브는 전 세계 온라인 동영상 시장의 약 30%를 점유하고 있으며,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디즈니 플러스 등의 OTT 서비스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를 개발하는 자회사입니다.

2005년에 구글에 인수되었으며,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무료로 배포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광고 수익과 앱 판매 수익을 통해 매출액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전 세계 스마트폰 운영체제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으며,

애플의 iOS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2022년도 매출

 

 

5. 주가 및 차트정보

 

나스닥에 상장된 알파벳 A의 주봉차트 (출처:키움증권)

 

알파벳 주가의 관건은 2023년도 1월 31일에 기록했던 직전 고점 151.5466 USD를 회복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는데 공장장이 봤을 때 현재 주가의 흐름으로 보아 고점을 충분히 넘길 수 있어 보입니다.

 

 

나스닥에 상장된 알파벳 C의 일봉차트 (출처:키움증권)

 

알파벳 C나 A의 주가 차트가 거의 동일해서 일봉차트는 알파벳 C의 일봉 차트인데

일봉 차트는 매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서 공매도 추이도 한번 참고해 보겠습니다

 

알파벳 A의 일자별 공매도 추이

 

 

여기서 공매도 추이를 보면 일자별 공매도 주문량이나 공매도 체결되는 수량이 줄어들고 있는 흐름입니다

그만큼 시장은 알파벳의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보는 쪽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해 초 전고점을 돌파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생각합니다. 

 

 

 

6. 재무 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알파벳의 2022년도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한 달 평균 30조 원의 매출과 6조 원이 넘는 순이익을 기록하는 기업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미국의 기업들의 매출액과 순이익들을 보고 있자면 깜짝깜짝 놀랄 때가 진짜 많습니다.   

너무 부러운 성적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순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감소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큰 의미가 될 것 같진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이익이 줄어든 이유를 분석해 보면,

부동산, 데이터센터, 인력 투자와 함께 유튜브의 콘텐츠 획득 비용이 증가했습니다.

알파벳은 사업 확장과 혁신을 위해 연구 및 개발 비용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는 순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알파벳은 발표했습니다.

 

 

 

알파벳의 2023년도 1Q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알파벳의 23년도 1사 분기 알파벳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697.9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686.5억 달러를 웃돌았습니다.

이는 구글 검색엔진, 유튜브, 클라우드 등의 핵심 사업들이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성장을 이끈 것으로 보입니다.

 

알파벳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한 150.5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161.8억 달러를 밑돌았습니다.

 

알파벳의 주당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67달러 감소한 24.62달러로,  22.41달러인데 

이는 알파벳의 순이익 감소와 주식 분할로 인한 주식 발행 증가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알파벳의 2023년도 2Q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알파벳은 23년도 2사 분기에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한 752억 달러,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199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 증가는 구글 검색엔진, 유튜브, 클라우드 등의 핵심 사업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 경제의 회복과 디지털 광고 수요의 증가에 힘입어 강력한 성장을 이끈 것으로 보입니다.

순이익 증가는 매출액 증가와 함께 비용 절감과 효율성 개선에 대한 노력이 성과를 보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7. 경쟁사 분석

 

알파벳의 경쟁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컴퓨팅,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운영 체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알파벳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먼저 구글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구글 클라우드와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기업용 클라우드 시장에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또한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운영 체제는

모바일 기기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아마존은 클라우드 컴퓨팅, 전자상거래, 온라인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알파벳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의 AWS는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구글 클라우드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또한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세계적인 입지를 가지고 있으며,

구글 쇼핑과 같은 온라인 쇼핑 서비스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또한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 구글과 페이스북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광고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애플

애플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알파벳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구글과 모바일 운영 체제 및 스마트폰 시장에서 경쟁합니다.

애플의 iOS와 구글의 안드로이드는 모바일 기기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애플의 아이폰과 구글의 픽셀은 스마트폰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또한 스마트 워치, 태블릿, 노트북 등 다양한 하드웨어 제품을 제공하며,

구글과 같은 기기 제조사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

페이스북은 온라인 광고 및 소셜 미디어 분야에서 알파벳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은 소셜 미디어 광고를 중심으로 다양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며,

구글과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은 또한 인스타그램, 메신저, 왓츠앱 등

다양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구글의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IBM

IBM은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IBM은 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인 IBM 클라우드와 다양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여

기업들과의 경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IBM은 또한 인공지능 분야에서 알파벳의 딥마인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왓슨이라는 인공지능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텐센트

텐센트는 온라인 서비스, 소셜 미디어, 게임, 클라우드 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텐센트는 중국 시장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구글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텐센트는 웨이보와 같은 중국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구글의 검색 엔진이 경쟁 관계에 있습니다.

텐센트는 또한 웨이챗과 같은 메신저 서비스와 구글의 메일 서비스가 경쟁 관계에 있습니다.

 

알파벳 경쟁사 비교

 

 

 

 

8.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구글의 검색엔진으로서 독보적인 지위검색엔진 시장에서 약 90%의 점유율
검색엔진을 통해 수많은 광고주와 사용자를 연결하고,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 독보적인 수익을 창출
유튜브는 온라인 동영상 공유 및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웹사이트 중 하나
안드로이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전 세계 스마트폰 운영체제 시장의 약 70%를 점유
알파벳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주자
텐서플로우, TPU, 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번역 등 다양한 인공지능 관련 기술과 서비스들을 개발
딥마인드라는 인공지능 연구 회사가 있으며, 알파고, 알파제로, 알파폴드 등의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개발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알파벳의 매출액의 대부분은 구글 검색엔진과 유튜브 등에서 발생하는 광고 수익 의존도가 높음
온라인 광고 시장의 변동성과 경쟁력에 따라 수익성에 영향, 광고 수익에 대한 규제와 법적 문제도 증가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 아마존 웹 서비스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유율
알파벳은 시장에서의 성장을 위해 더 많은 투자와 혁신이 필요
개인정보 보호와 사생활 침해에 대한 논란으로 여러 국가에서 법적 제재와 과징금을 받을 수 있음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디지털 전환으로 세계적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소비 패턴을 변화
사람들은 검색하고, 동영상 시청, 쇼핑, 교육, 일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와 솔루션에 대한 수요를 증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외 자율주행차, 생명공학, 헬스케어, 스마트홈 등 신기술과 신사업 분야에서 혁신
신기술과 신사업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를 창출
미국과 유럽 외에도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다양한 지역에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
글로벌 시장에서 자신의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 현지화된 마케팅과 파트너십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증가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강력한 경쟁사들의 도전
전 세계적으로 규제와 법적 문제에 직면, 개인정보 보호와 사생활 침해에 대한 소송도 증가
전쟁과 외부요인등 세계 경제가 침체하고, 광고 수요가 감소하고, 사람들의 구매력 감소 가능성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나무위키, 키움증권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9. 결론

 

 

알파벳이라는 기업이 이렇게 큰 기업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구글의 검색엔진 혁신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알파벳의 핵심 사업인 구글은 1998년에 세계 최초의 웹 검색엔진으로 시작했습니다.

구글은 PageRank라는 독창적인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웹 페이지의 중요도와 관련성을 측정하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결과를 제공했습니다.

구글은 검색엔진을 통해 수많은 광고주와 사용자를 연결하고,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확립했습니다.

구글은 검색엔진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다양한 형식의 결과를 제공하고,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와 맥락을 파악하는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대표기업인 구글 말고도 다양한 자회사들의 성장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알파벳은 구글 외에도 유튜브, 안드로이드, 웨이모, 딥마인드, 캘리코 등 다양한 자회사들을

소유하고 있는데 이들 자회사들은 각각 다른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알파벳의 매출액과 이익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는 온라인 동영상 공유 및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웹사이트 중 하나이며,

2020년에는 약 200억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했습니다.

 

안드로이드 서비스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로

전 세계 스마트폰 운영체제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웨이모, 딥마인드, 캘리코 등은 자율주행차, 인공지능, 노화 연구 등의 분야에서

아직은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지만 혁신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해 나가고 있습니다.

 

알파벳은 202221일에 주식을 201로 액면분할하기로 발표함으로써

이는 주식 가격을 낮추고 유동성과 개인 투자자들의 주식 보유를 늘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알파벳은 또한 적극적인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를 높이고 있습니다.

 

美 주식분할 기업, 1년간 25% 상승…알파벳은 얼마나 오를까 - 머니투데이 (mt.co.kr)

 

美 주식분할 기업, 1년간 25% 상승…알파벳은 얼마나 오를까 - 머니투데이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이 지난 1일(현지시간) 주식을 20대 1로 액면분할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액면분할한 주식은 시장 평균을 뛰어넘는 수익률을 보인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뱅크 오브 아메리카

news.mt.co.kr

 

2022년도 7월 주식분할한 알파벳

 

2022년도에 한 주당 19주를 배당함으로서 1:20의 주식 분할을 하면서 주가가 많이 희석되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계속해서 상승 중에 있습니다.

보통 주가가 이 정도로 상승하게 되면 기존의 주주들이 이익 실현들을 하면서 주가가 빠질 법도 했음에도

여전히 주식의 미래 가치를 고려했을 때 더 올라갈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관전 포인트는 과연 전고점을 돌파하고도 이익 실현을 하려는 주주들이 많은가 여부는

꼭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71521 

 

알파벳, 월가서 투자 등급 연쇄 강등 - 연합인포맥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NAS:GOOGL)에 대한 월가의 비관적인 평가가 또 나왔다. 이번 주 들어서만 두 곳의 주요 투자은행이 알파벳의 투자 등급을 강등한 것이다.27일(현지시간) 미국 경제 방송 CNBC에

news.einfomax.co.kr

 

시장이 알파벳을 바라보는 관점은 여러 가지의 관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공장장은 알파벳을 긍정정으로 보는 이유는

 

구글은 전 세계 웹 검색엔진 시장에서 약 90%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여전히 사용자들에게 최적화된 결과를 제공하며 대체 불가하다는 점입니다. 

 

구글은 검색엔진을 통해 더 많은 광고주와 사용자를 연결할 것이고,

온라인 광고 시장의 규모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유튜브 시장 또한 틱톡이며, 이스타그램과 같은 비슷한 프로그램들이 등장하면 등장할수록 

유튜브의 고정 수요와 사용자는 더욱 늘어 갈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분간 대체 프로그램이 없다는 것이 공장장은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이유입니다

 

안드로이드 또한 전 세계 스마트폰 운영체제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는데,

점유율이 다소 감소할 가능성은 있겠지만 이 시장 역시 하루아침에 무너질 시장은 아니라는 점에서

여전히 알파벳의 캐시카우가 될 것이라고 있습니다

 

유튜브와 안드로이드는 앞으로도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콘텐츠와 경험을 제공하고,

얼마든지 새로운 수익 모델을 개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알파벳이 진행하고 있는 사업들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외에도 자율주행차, 생명공학,

헬스케어, 스마트홈 등 다양한 신기술과 신사업 분야에서 미래 먹거리 사업에 필수요소라 생각합니다.

자율주행자동차를 개발하고 노화와 관련된 질병을 연구하는 알파벳은 

신기술과 신사업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를 창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공장장은 알파벳의 미래가치가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주가는 전고점 151달러 돌파 후 안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언제든 주식 분할로 증가된 주식의 이익 실현 물량들이 나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  끝  -

 

 

 

 

반응형

'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닷컴 (AMZN.NAS)주가  (128) 2023.09.16
마이크로소프트 (MSFT.NAS)주가  (82) 2023.09.10
애플 (AAPL.NAS)주가  (84) 2023.09.06
AMD (AMD.NAS) 주가  (68) 2023.09.03
TSMC(ADR) (TSM.NYS) 주가  (59) 2023.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