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AMD.NAS) 주가

2023. 9. 3. 06:00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인텔과 엔비디아 양 독점 기업의 유일무이한 대체자로 가성비로 승부수를 띄운 AMD!!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오늘 소개할 종목은 미국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1969년 설립된 반도체 회사로서

CPU 분야에서 인텔의 강력한 경쟁자이면서 동시에 GPU 분야에서도 Nvidia의 강력한 라이벌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AMD'라는 반도체 관련 회사입니다

 

AMD는 미국의 다국적 반도체 회사로, 컴퓨터, 노트북 및 데이터 센터를 위한 CPU, GPU, FPGA 등의

칩셋과 개인용 컴퓨터를 위한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그래픽 프로세서들과 포함된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등의

제품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AMD1969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고성능 및 적응형 컴퓨팅의 선두 주자로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제품과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AMD의 사업 부문은 크게 Gaming, Client, Embedded, Data Center로 나눌 수 있습니다.

Gaming 부문은 그래픽 카드를 주력으로 하며, Radeon 시리즈라는 브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Client 부문은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용 CPU를 주력으로 하며, Ryzen 시리즈라는 브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Embedded 부문은 FPGA를 주력으로 하며, 자일링스라는 업체를 인수하여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Data Center 부문은 서버용 CPU를 주력으로 하며, EPYC 프로세서라는 제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기본 정보

 

 

 

 

기준일 : 23년 9월 1일 기준   (원/ USD 환율 : 1,320원) 기준
1. AMD (AMD.NAS)   Advanced Micro Devices, Inc.
2. 회사설립 일자 1969 51    
3. 주식시장 상장일 2015 년 1월 2 일 미국의 나스닥 시장  
4. 총 발행주식 수 1,615,670,000  
5. 유통 가능 주식 수 1,599,332,345 98.99%
6. 현재가 109.4500 USD 143,980  
7. 시가 총액 1,768USD 235조원   
8. 올해 배당금액 배당 없음    
9. 최소 매수수량  1 주       
10. 매입 최소 단가 143,980 원    

● 공식홈페이지 : http://www.amd.com

 

AMD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AMD 프로세서, 그래픽, FPGA, 적응형 SOC 및 소프트웨어와 함께 AI, 데이터 센터, 비즈니스 컴퓨팅 솔루션 및 게이밍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십시오.

www.amd.com

 

 

2. 사업내용

   

미국의 반도체 기업으로 실리콘벨리의 1세대 주요 기업 중 하나로 시작한 AMD는 x86 기반의

소비자용 CPU 분야에서는 인텔, 외장 GPU 분야에서는 NVIDIA와 경쟁하고 있는

유일한 사업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6951일에 페어차일드 반도체의 동료들 중 7명과 함께 제리 샌더스가 설립한 반도체 회사입니다.

AMD는 처음에는 페어차일드와 내셔널 세미컨덕터가 설계한 마이크로칩의 2차 공급원으로 시작했으며,

로직 칩, RAM , 선형 집적 회로 등을 생산했습니다.

AMD1972년에 공개 상장하였으며,

1975년에 인텔과 제휴하여 x86 호환 프로세서를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AMD1980년대부터 인텔과 경쟁하기 위해 자체적인 x86 프로세서를 개발하였으며,

1991년에는 최초의 32비트 x86 프로세서인 Am386을 출시하였습니다.

1996년에 K5, 1997년에 K6, 1999년에 K7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애슬론 프로세서를 출시하였으며,

이들은 인텔의 펜티엄 시리즈와 성능에서 견주어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AMD2000년에 최초의 64비트 x86 프로세서인 애슬론 64를 출시하면서

이는 인텔보다 먼저 64비트 컴퓨팅을 실현한 것으로 평가받았습니다.

 

 

AMD2003년 서버용 프로세서인 옵테론을 출시하였으며, 

멀티코어와 하이퍼트랜스포트 기술을 도입하여 서버 시장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AMD2006년에 그래픽 카드 제조사인 ATI를 인수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래픽 처리 장치(GPU) 시장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얻었습니다.

AMD2007년에 페넘, 2009년에 페넘 II,

2011년에 불도저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FX 프로세서를 출시하였으나,

이들은 인텔의 코어 i 시리즈와 성능에서 밀렸습니다.

 

 

AMD2011년에 CPUGPU를 하나의 칩셋에 통합한 가속 처리 장치(APU)를 출시하였으며,

이는 저전력과 저가의 컴퓨팅 솔루션을 제공하였습니다.

AMDAPU 시리즈를 계속 발전시켜 나갔으며, 현재까지 카베리, 리치랜드, 트리니티, 라노 등의

세대가 있습니다.

AMD는 또한 자신의 GPU 브랜드인 라데온을 강화하였으며, GCN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그래픽 카드를 출시하였습니다.

 

 

AMD2016년에 새로운 CPU 아키텍처인 젠을 출시하였으며,

이는 인텔의 코어 i 시리즈와 맞먹는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보여주었습니다.

AMD는 젠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라이젠, 라이젠 프로, 라이젠 쓰레드리퍼,

EPYC 등의 CPU 시리즈를 출시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데스크탑, 비즈니스, 고성능 컴퓨팅, 서버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습니다.

AMD는 젠 아키텍처를 계속 발전시켜 나갔으며, 현재까지 젠+, 2, 3의 세대가 있습니다.

 

AMD2019년에 새로운 GPU 아키텍처인 RDNA를 출시하였으며,

이는 인텔의 코어 i 시리즈와 맞먹는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보여주었습니다.

AMDRDNA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RX 5000 시리즈와 RX 6000 시리즈의 그래픽 카드를 출시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엔비디아의 RTX 2000 시리즈와 RTX 3000 시리즈와 경쟁하였습니다.

AMD는 또한 자신의 GPU를 플레이스테이션 4, 플레이스테이션 5, 엑스박스 원, 엑스박스 시리즈 X 등의

게임 콘솔에도 공급하였습니다.

 

AMD에서 최근에 출시한 제품은 

 

AMD Ryzen 7000 시리즈 데스크탑 프로세서

이는 AMD의 최신 CPU 아키텍처인 젠 4를 기반으로 하며, 5nm 공정과 DDR5 메모리를 지원합니다.

이 프로세서는 최대 16개의 코어와 32개의 스레드를 가지며, 최고 5.2 GHz의 부스트 클럭을 달성합니다.

이 프로세서는 게이밍, 콘텐츠 제작, 멀티태스킹 등에 뛰어난 성능을 제공합니다.

 

AMD Radeon RX 7000 시리즈 그래픽 카드

이는 AMD의 최신 GPU 아키텍처인 RDNA 3을 기반으로 하며, 6nm 공정과 GDDR6 X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이 그래픽 카드는 최대 80개의 컴퓨트 유닛과 16GB의 메모리를 가지며, 

최고 2.5 GHz의 부스트 클럭을 달성합니다.

이 그래픽 카드는 레이 트레이싱, FidelityFX 슈퍼 해상도, VR 등에 놀라운 그래픽 품질을 제공합니다.

 

AMD Alveo U45N 네트워크 가속기

이는 AMD의 최신 FPGA 아키텍처인 Versal Premium VP1902를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 센터의 맞춤형 네트워킹을 위해 200G 데이터 경로를 가속화합니다.

이 가속기는 고성능 컴퓨팅,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AMD는 현재 고성능 및 적응형 컴퓨팅의 선두 주자로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제품과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AMD는 또한 자일링스라는 FPGA 제조사를 인수하여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에서도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3. 산업 및 시장분석

 

1. CPU 산업과 시장분석

CPU는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로, 프로그램의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CPU는 성능, 전력 소모, 가격, 호환성 등의 요소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세대가 있습니다.

CPU 산업은 반도체 산업의 핵심 부문으로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탑, 서버, 슈퍼컴퓨터 등의 제품에 사용됩니다.

 

CPU 시장은 현재 미국의 인텔과 AMD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인텔은 1971년에 최초의 상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인 4004를 개발한 이래로

CPU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인텔은 x86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CPU를 주력으로 하며,

코어 i 시리즈와 제온 시리즈 등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인텔은 20204분기 기준으로 전체 x86 CPU 시장에서 약 78%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AMD1969년에 설립된 반도체 회사로, 인텔과 경쟁하기 위해 자체적인 x86 프로세서를 개발하였습니다.

AMD는 라이젠 시리즈와 EPYC 시리즈 등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젠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CPU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AMD20204분기 기준으로 전체 x86 CPU 시장에서 약 22%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인텔과의 격차를 줄이고 있습니다.

 

CPU 시장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원격 근무와 원격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특히 저가 PC와 크롬북에 사용되는 저가 프로세서의 수요가 급증하였으며,

이는 CPU 출하량과 매출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슈퍼컴퓨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도 고성능 서버용 CPU의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AMD, 2023년 CPU 시장 점유율 30% 이상 확보할 것 - 인포스탁데일리 (infostockdaily.co.kr)

 

AMD, 2023년 CPU 시장 점유율 30% 이상 확보할 것 - 인포스탁데일리

[인포스탁데일리=김신아 기자]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dvanced Micro Devices, Inc., NASDAQ:AMD)는 지난 2022년 4분기 실적 발표 회의에서 PC 시장 약세에도 불구하고 뜻 깊은 한 해 였다고 밝힌 가

www.infostockdaily.co.kr

 

2. 그래픽 카드 산업과 시장분석

 

그래픽 카드는 컴퓨터의 그래픽 처리 장치로,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픽 카드는 성능, 전력 소모, 가격, 호환성 등의 요소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세대가 있습니다.

그래픽 카드 산업은 반도체 산업의 중요한 부문으로

게임, 콘텐츠 제작, VR/AR, 인공지능 등의 분야에 사용됩니다.

 

그래픽 카드 시장은 현재 미국의 엔비디아와 AMD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1999년에 최초의 GPU인 지포스 256을 개발한 이래로

그래픽 카드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엔비디아는 테슬라, 페르미, 키플러, 맥스웰, 파스칼, 튜링, 앰퍼 등의 GPU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RTX 시리즈와 GTX 시리즈 등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20204분기 기준으로 전체 그래픽 카드 시장에서 약 82%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AMD1969년에 설립된 반도체 회사로, 엔비디아와 경쟁하기 위해 자체적인 GPU를 개발하였습니다.

AMD2006년에 그래픽 카드 제조사인 ATI를 인수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래픽 처리 장치(GPU) 시장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얻었습니다.

AMDGCN 아키텍처와 RDNA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RX 시리즈와 R9 시리즈 등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AMD20204분기 기준으로 전체 그래픽 카드 시장에서 약 18%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엔비디아와의 격차를 줄이고 있습니다.

 

그래픽 카드 시장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원격 근무와 원격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특히 게임과 콘텐츠 제작 분야에서 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수요가 급증하였으며,

이는 그래픽 카드 출하량과 매출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VR/AR과 인공지능 분야에서도 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그래픽 카드 시장에서 최근에 일어난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텔이 새로운 그래픽 카드 브랜드인 아크(Arc)를 출시하였습니다.

아크는 엔비디아의 RTX 시리즈와 AMDRX 시리즈와 경쟁하기 위해

고성능 게이밍 그래픽 카드를 제공합니다.

아크는 20221분기에 첫 번째 세대인 알케미(Alchemist)를 출시할 예정이며,

레이 트레이싱, AI 슈퍼 샘플링, DLSS 등의 기술을 지원합니다.

 

엔비디아와 AMD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급증한 그래픽 카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엔비디아는 RTX 3000 시리즈의 새로운 모델인 RTX 3080 TiRTX 3070 Ti를 출시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RTX 3090RTX 3080 사이의 성능을 제공합니다.

AMDRX 6000 시리즈의 새로운 모델인 RX 6600 XTRX 6700 XT를 출시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1080p1440p 게이밍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합니다.

 

가상화폐 채굴 업계가 가상화폐 시세가 폭락하면서 그래픽 카드 추가 매입을 멈추었습니다.

이로 인해 재고가 많이 늘어나면서 그래픽 카드 가격이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특히 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경우 반년만에 -40%가량 몸값을 떨어뜨렸습니다.

 

그래픽 카드 시장에서 최근에 출시된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엔비디아 GeForce RTX 3080 TiRTX 3070 Ti

이들은 엔비디아의 최신 GPU 아키텍처인 앰퍼를 기반으로 하며,

레이 트레이싱, DLSS, Reflex 등의 기술을 지원합니다.

RTX 3080 TiRTX 3090과 비슷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가격은 절반 정도로 낮추었습니다. RTX 3070 TiRTX 3070보다 약 10% 정도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

 

AMD Radeon RX 6600 XTRX 6700 XT

이들은 AMD의 최신 GPU 아키텍처인 RDNA 2를 기반으로 하며,

레이 트레이싱, FidelityFX 슈퍼 해상도, Smart Access Memory 등의 기술을 지원합니다.

RX 6600 XT1080p 게이밍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하며,

RX 6700 XT1440p 게이밍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합니다.

 

인텔 아크 Alchemist

이는 인텔의 새로운 그래픽 카드 브랜드인 아크의 첫 번째 세대로, 2022년 초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이는 인텔의 새로운 GPU 아키텍처인 Xe HPG를 기반으로 하며,

레이 트레이싱, AI 슈퍼 샘플링, DLSS 등의 기술을 지원합니다.

이는 엔비디아와 AMD와 경쟁하기 위해 고성능 게이밍 그래픽 카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Client 산업과 시장분석

Client 산업은 컴퓨터나 노트북과 같은 개인용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는 산업입니다.

Client 산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의 부문으로 구성됩니다.

Client 산업은 다양한 고객의 요구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부문은 Client 장치의 물리적인 구성 요소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부문입니다.

예를 들어, CPU, GPU, RAM, SSD, HDD,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하드웨어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는 인텔, AMD, 엔비디아, 삼성전자, 마이크론, SK하이닉스,

LG전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레노버, 화웨이, ASUS, 에이서 등이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부문은 Client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부문입니다.

운영체제, 웹 브라우저,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게임, 보안 소프트웨어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소프트웨어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 아도비, 오라클, SAP, IBM 등이 있습니다.

 

서비스 부문은 Client 장치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부문입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스트리밍 서비스, 온라인 쇼핑몰, SNS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서비스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는 아마존, 넷플릭스,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이 있습니다

 

Client 시장은 현재 미국, 중국, 대만, 한국 등의 국가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AMD 등의 글로벌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레노버, 화웨이, 샤오미 등의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저가와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에이서, ASUS, MSI 등의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게이밍 노트북과 PC 부품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한국은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OLED 디스플레이와 SSD 등의 고급 부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Client 시장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원격 근무와 원격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특히 노트북과 태블릿의 수요가 급증하였으며, 이는 Client 출하량과 매출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게임과 콘텐츠 제작 분야에서도 고성능 Client의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Client 산업에서 최근에 일어난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원격 근무와 원격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Client 장치의 판매량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전 세계 PC 시장은 13.1%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2010년 이후 최고치입니다.

또한 태블릿과 크롬북의 시장도 각각 28.6%80.6%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Client 장치의 성능과 기능이 향상되면서 게임과 콘텐츠 제작 분야에서도 높은 수요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고성능 그래픽 카드와 CPU를 탑재한 게이밍 노트북과 PC가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는 엔비디아, AMD, 인텔 등의 반도체 기업들에게도 호재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OLED 디스플레이와 SSD 등의 고급 부품을 사용한 Client 장치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Client 장치의 다양성과 경쟁력이 증가하면서 기업들의 차별화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애플은 자체 개발한 M1 칩을 탑재한 맥북 에어와 맥북 프로를 출시하였으며,

인텔 칩보다 뛰어난 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보여주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11을 출시하였으며, 이는 안드로이드 앱 지원, 새로운 UI 디자인,

향상된 멀티태스킹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북 프로 시리즈를 출시하였으며, 이는 AMOLED 디스플레이, S 펜 지원,

갤럭시 생태계 연동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4. Embedded 산업과 시장분석

Embedded 산업은 내장형 시스템을 제공하는 산업입니다.

내장형 시스템이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설계된 컴퓨터 시스템으로,

자동차, 항공기, 의료 기기, 가전제품, 로봇, 스마트폰 등에 사용됩니다.

Embedded 산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의 부문으로 구성됩니다.

Embedded 산업은 다양한 산업 분야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부문은 내장형 시스템의 물리적인 구성 요소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부문입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FPGA, ASIC, 메모리, 센서, 액추에이터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하드웨어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는 인텔, AMD, 엔비디아, 삼성전자, 마이크론, SK하이닉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엔엑스피 세미컨덕터 등이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부문은 내장형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부문입니다. 

예를 들어, 운영체제, 드라이버, 펌웨어,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소프트웨어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 리눅스 재단, 구글, 아도비, 오라클, IBM 등이 있습니다.

 

서비스 부문은 내장형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부문입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IoT 플랫폼, 빅 데이터 분석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서비스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IBM 왓슨(Watson) 등이 있습니다.

 

 

Embedded 시장은 현재 미국, 중국, 대만, 한국 등의 국가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인텔, AMD, 엔비디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의 글로벌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화웨이, 알리바바, 바이두 등의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저가와 고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TSMC, 메디아텍, 에이싱 등의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반도체 제조와 모바일 컴퓨팅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한국은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OLED 디스플레이와 SSD 등의 고급 부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Embedded 시장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자동차, 항공기, 의료 기기 등의

산업이 위축되면서 크게 감소하였지만

자율주행과 전기차의 발전으로 인해 자동차 내장형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스마트팩토리와 스마트시티의 구축으로 인해 IoT 내장형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의 활용으로 인해 고성능 내장형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5G 통신과 모바일 컴퓨팅의 확산으로 인해 저전력 내장형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IoTEmbedded 산업의 차이점

IoT는 인터넷 오브 씽스(Internet of Things)의 약자로,

사물과 인터넷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IoT 산업은 IoT 기기, IoT 플랫폼, IoT 서비스 등의 부문으로 구성됩니다.

IoT 산업은 다양한 산업 분야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Embedded 산업은 내장형 시스템을 제공하는 산업입니다.

내장형 시스템이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설계된 컴퓨터 시스템으로, 자동차, 항공기, 의료 기기,

가전제품, 로봇, 스마트폰 등에 사용됩니다.

 

IoTEmbedded 산업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IoT는 인터넷을 통해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는 기술이고,

Embedded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설계된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IoT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어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고,

Embedded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IoT는 클라우드 컴퓨팅, 빅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등의 기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Embedded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FPGA 등의 기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IoT는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등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Embedded는 자동차, 항공기, 의료 기기 등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5. Data Center 산업과 시장분석

Data Center 산업은 데이터 센터를 제공하는 산업입니다.

데이터 센터란 컴퓨터 시스템과 관련된 장치들을 집중적으로 배치하고 운영하는 시설로,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빅 데이터 등의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Data Center 산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의 부문으로 구성됩니다.

Data Center 산업은 다양한 산업 분야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부문은 데이터 센터의 물리적인 구성 요소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부문입니다.

예를 들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전원 장비, 냉각 장비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하드웨어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는 인텔, AMD, 엔비디아, 삼성전자, 마이크론, SK하이닉스,

시스코, , HPE 등이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부문은 데이터 센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부문입니다.

예를 들어, 운영체제, 가상화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보안 소프트웨어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소프트웨어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 리눅스 재단, 구글, 아마존 웹 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오라클, IBM 왓슨(Watson) 등이 있습니다.

 

서비스 부문은 데이터 센터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부문입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빅 데이터 분석 등의 서비스가 여기에 속합니다.

서비스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오라클 클라우드(Oracle Cloud), IBM 클라우드(IBM Cloud) 등이 있습니다.

 

Data Center 산업은 다양한 산업 분야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원격 근무와 원격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수요가 급증하였습니다.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의 활용으로 인해 고성능 컴퓨팅의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5G 통신과 엣지 컴퓨팅의 확산으로 인해 분산형 데이터 센터의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에너지 효율과 환경 친화적인 운영을 위해 그린 데이터 센터의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4. 대표상품과 시장점유율 분석

 

 

AMD 2022년 연간 매출은 약 236억 달러였으며,

이 중 Gaming은 약 68억 달러로 28.8%, Embedded는 약 46억 달러로 19.3%,

Client는 약 62억 달러로 26.3%, Data Center는 약 60억 달러로 25.6%의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영업이익은 약 62억 달러로, Embedded 부문이 약 22.5억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AMD의 대표상품과 시장점유율 분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AMD는 미국의 다국적 반도체 회사로, 컴퓨터, 노트북 및 데이터 센터를 위한

CPU, GPU, FPGA 등의 제품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1. AMD의 대표상품

 

1. AMD Ryzen시리즈

이는 AMD의 최신 CPU 아키텍처인 젠을 기반으로 하며, 데스크탑, 노트북, 비즈니스,

고성능 컴퓨팅 등의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AMD Ryzen시리즈는 최대 16개의 코어와 32개의 스레드를 가지며,

최고 5 GHz의 부스트 클럭을 달성합니다.

AMD Ryzen시리즈는 게이밍, 콘텐츠 제작, 멀티태스킹 등에 뛰어난 성능을 제공합니다.

 

2. AMD RadeonRX 시리즈

이는 AMD의 최신 GPU 아키텍처인 RDNA를 기반으로 하며,

게이밍, 콘텐츠 제작, VR/AR 등의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AMD RadeonRX 시리즈는 최대 80개의 컴퓨트 유닛과 16GB의 메모리를 가지며,

최고 2.5 GHz의 부스트 클럭을 달성합니다.

AMD RadeonRX 시리즈는 레이 트레이싱, FidelityFX 슈퍼 해상도, VR 등에

놀라운 그래픽 품질을 제공합니다.

 

3. AMD EPYC프로세서

이는 AMD의 최신 CPU 아키텍처인 젠을 기반으로 하며, 서버용 프로세서로 사용됩니다.

AMD EPYC프로세서는 최대 64개의 코어와 128개의 스레드를 가지며,

최고 3.4 GHz의 부스트 클럭을 달성합니다.

AMD EPYC프로세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데이터베이스 등에

탁월한 성능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2. AMD의 시장점유율

 

1. x86 CPU 시장

IDC에 따르면 20204분기 기준으로 전체 x86 CPU 시장에서 약 22%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인텔과의 격차를 줄이고 있습니다.

특히 데스크탑 CPU 시장에서는 약 20%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노트북 CPU 시장에서는 약 19%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2. GPU 시장

JPR에 따르면 20204분기 기준으로 전체 GPU 시장에서 약 18%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엔비디아와의 격차를 줄이고 있습니다.

특히 그래픽 카드 시장에서는 약 20%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APU 시장에서는 약 16%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서버 CPU 시장

IDC에 따르면 20204분기 기준으로 전체 서버 CPU 시장에서 약 7%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인텔과의 격차를 줄이고 있습니다.

특히 고성능 컴퓨팅(HPC) 시장에서는 약 10%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는 약 6%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5. 주가 및 차트정보

 

나스닥에 상장된 AMD의 주봉차트 (출처:키움증권)

 

반도체 기업의 차트상 흐름은 대부분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말 최고점을 찍고 하락했다가 올해 초부터 다시 상승세의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 

최근 들어 살짝 밀리는 그런 모습입니다

앞서 설명드렸던 장비업체인 ASML이라든가, 파운드리 업체인 TSMC나 주가 흐름은 비슷합니다 

그러면 장사는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 한번 보겠습니다

 

 

 

6. 재무 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AMD 2022년도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2022년도 매출액은 58% 상승한 반면에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낮아진 이유를 살펴보니 

 

첫째로,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으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하였습니다.

AMDTSMC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TSMC의 생산 능력도 한계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AMDTSMC에게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여 반도체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둘째로는, 인텔과 엔비디아와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마케팅 비용이 증가하였습니다.

인텔은 자체 개발한 알 더 레이크(Alder Lake) 칩을 출시하였으며,

이는 AMD의 젠(Zen) 칩보다 뛰어난 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엔비디아는 자체 개발한 로버스(Lovlace) 칩을 출시하였으며,

이는 AMDRDNA 칩보다 뛰어난 그래픽 품질과 레이 트레이싱 기능을 보여주었습니다.

따라서 AMD는 자신들의 제품의 우위를 강조하기 위해 광고와 프로모션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셋째는, 세금과 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AMD는 미국 외의 다른 국가에서도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이들 국가에서는 세금과 환율 변동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이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과 유럽에서는 AMD에게 높은 세금을 부과하고 있으며,

달러 대비 다른 통화의 가치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올해 1사 분기와 2사 분기도 별 차이는 없어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인은 해봐야겠지요?

AMD 2023년도 1Q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아니나 다를까 1사 분기는 개판이었네요

2사 분기도 살펴봐야겠습니다

AMD 2023년도 1Q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2사 분기 역시 뭐라고 코멘트할 말이 없네요

 

 

 

7. 경쟁사 분석

 

다음에 보실 그림은 주요 반도체 회사에 대한 지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요 반도체 회사들의 자료인데 지금은 좀 순위가 많이 바뀌어 있을 것도 같은데

자리만 좀 왔다 갔다 할 뿐 세게 반도체 패권은 이들 회사들이 좌지우지하고 있다고 보시면 좋겠습니다.  

주요 반도체 업체 매출 순위 (출처: 나무위키)

 

반도체 산업에서 AMD와 경쟁하는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텔(Intel)

인텔은 미국의 다국적 반도체 회사로, CPU, GPU, FPGA, SSD 등의 제품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기업입니다.

인텔은 x86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CPU를 주력으로 하며,

코어 i 시리즈와 제온 시리즈 등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인텔은 20204분기 기준으로 전체 x86 CPU 시장에서 약 78%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AMD와의 격차를 줄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NVIDIA)

엔비디아는 미국의 다국적 반도체 회사로, GPU, TPU, SoC 등의 제품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엔비디아는 테슬라, 페르미, 키플러, 맥스웰, 파스칼, 튜링, 앰퍼 등의 GPU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RTX 시리즈와 GTX 시리즈 등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20204분기 기준으로 전체 GPU 시장에서 약 82%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AMD와의 격차를 줄이고 있습니다.

 

 

 

 

 

8.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컴퓨터, 노트북, 서버, 콘솔 등의 분야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
최신 CPU 아키텍처인 젠(Zen) Ryzen 시리즈의 제품을 출시로 인텔과 경쟁
GPU 아키텍처인 RDNA를 기반으로 한  Radeon RX 시리즈의 제품을 출시하여 엔비디아와 경쟁
뛰어난 성능과 가격 경쟁력, 즉 가성비가 뛰어남
AMDTSMC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공급 안정성을 확보, 삼성전자와 협력하여 모바일 GPU를 개발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으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
인텔과 엔비디아와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마케팅 비용이 증가
자체 제조 능력이 부족해 TSMC에 의존도가 높으며, TSMC의 생산 능력도 한계에 도달 
인텔과 엔비디아가 새로운 CPUGPU를 출시하면서 시장 점유율 위험에 직면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PC, 노트북, 서버 등의 수요가 급증으로 고성능 CPUGPU의 수요가 증가
젠과 RDNA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CPUGPU를 출시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빅 데이터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탁월한 성능과 확장성을 제공
삼성전자와 협력하여 모바일 GPU를 개발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반도체 산업에서 인텔과 엔비디아와의 경쟁이 심화
인텔은 자체 개발한 알더레이크 칩 출시로, AMDZen 칩보다 뛰어난 성능과 전력 효율성
엔비디아 자체 개발한 로버스 칩 출시로, AMDRDNA 칩보다 뛰어난 그래픽 품질과 레이 트레이싱 기능
AMD는 인텔과 엔비디아와의 경쟁에서 언제라도 밀릴 수 있는 위험에 직면하고 있음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나무위키, 키움증권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9. 결론

 

AMD의 미래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AMD에서 최근에 출시한 제품은 

 

AMD Ryzen 7000 시리즈 데스크탑 프로세서는

20221월에 출시되었으며, 시장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AMD의 최신 CPU 아키텍처인 젠 4를 기반으로 하며, 5nm 공정과 DDR5 메모리를 지원합니다.

이 프로세서는 최대 16개의 코어와 32개의 스레드를 가지며, 최고 5.2 GHz의 부스트 클럭을 달성합니다.

이 프로세서는 게이밍, 콘텐츠 제작, 멀티태스킹 등에 뛰어난 성능을 제공합니다.

 

AMD Radeon RX 7000 시리즈 그래픽 카드는

2022년 3월에 출시되었으며,

이는 AMD의 최신 GPU 아키텍처인 RDNA 3을 기반으로 하며, 6nm 공정과 GDDR6 X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최대 80개의 컴퓨트 유닛과 16GB의 메모리를 가지며, 최고 2.5 GHz의 부스트 클럭을 달성합니다.

이 그래픽 카드는 레이 트레이싱, FidelityFX 슈퍼 해상도, VR 등에 놀라운 그래픽 품질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시장의 좋은 반응에도 불구하고 공급 부족 현상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고 구매가 어렵습니다.

AMD Radeon RX 7000 시리즈 그래픽 카드는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으로 인해

충분한 생산량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AMD Alveo U45N 네트워크 가속기는

20222월에 출시되었으며, 시장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AMD의 최신 FPGA 아키텍처인 Versal Premium VP1902를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 센터의 맞춤형 네트워킹을 위해 200G 데이터 경로를 가속화합니다.

이 가속기는 고성능 컴퓨팅,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급 부족 현상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고 구매가 어렵습니다.

AMD AlveoU45N 네트워크 가속기는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으로 인해

충분한 생산량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공식 가격보다 훨씬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들은 재고가 없거나 품절 상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AMD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빅 데이터 등의 분야에서

고성능 CPU GPU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매출액과 시장 점유율을 늘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AMD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과 협력하여 EPYC 프로세서와 Radeon Instinct GPU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빅 데이터 분석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탁월한 성능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AMD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AMD는 삼성전자와 협력하여 엑시노스(Exynos) SoC RDNA 기반의 모바일 GPU를 탑재할 예정입니다.

이는 스마트폰에서 놀라운 그래픽 품질과 게임 성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AMD는 애플과 협력하여 M1 칩에 RDNA 기반의 모바일 GPU를 탑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는 애플의 맥북 에어와 맥북 프로에서 놀라운 그래픽 품질과 게임 성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 AMD로서는 제품을 잘 개발해 놓고도 제품이 부족해 충분한 공급을 못하는 상황에 있습니다

애플에 밀리고 엔비디아에 밀리는 형국입니다. 

사실 경쟁사를 쫓아가는 입장에선 어쩔 수 없는 현상으로,

경쟁사는 이미 다져진 땅에서 쌓인 노하우를 이용해 안정화에만 치중해도 살아남을 수 있지만

AMD 입장에선 살아남기 위해 신기술을 집약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을 하는 수밖에 없기에

'아무렇게나 써도 최대한의 효율을 뽑는 방법'이 정립되려면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가성비로 승부수를 띄우기는 했지만 여전히 만년 2등으로서 격차를 좁혀야 하는 AMD의 가랑이는

찢어지기 일보직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PU 시장에서는 어느 정도 이미지가 나아졌지만, 그래픽 카드 시장에서는 8:2라는 스코어로 처참한

상황이기 때문에 아직 갈 길이 멀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MD를 응원하지만 이 종목을 강력하게 매수하라고는 못 하겠네요

그만큼 주가가 매력적인 가격이지도 않을뿐더러 인텔의 대체재이면서 엔비디아의 대체재인데

공급마저도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지켜보는 것으로 만족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  끝  -

 

 

 

한 가지 더

 
필리핀에서 과거 욱일기 논란으로 한국 네티즌에게 호되게 당한 내용을 소개하자면

 

2019731일에 AMD가 공개한 Ryzen3000 시리즈 CPU의 프로모션 영상에서

AMD 페이스북 필리핀 지사가 운영하는 필리핀 페이지에서

블랙핑크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새로운 빌드를 홍보하는 게시글을 올리는 일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작 블랙핑크를 모티브로 했다고 말하면서 사진 뒤의 배경에는 욱일기를 배경으로 해서,

많은 한국 네티즌들에게 비난을 받았습니다

논란이 커지자 AMD 필리핀 지사에서는 해당 게시물을 내렸고,

AMD 한국 페이스북 페이지에 사과 댓글이 올라왔습니다

 
 

 

 

사실 해당 커스텀 PCAMD가 직접 만든 건 아니고, Edwin de Catalina라는 필리핀 사람

운영 중인 페이스북 페이지 Ed Mod Craft에 올라온 게시물을 퍼간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AMD 필리핀 지사는 이전부터 유저가 만든 커스텀 PC들을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소개해왔으나

이번 게시물은 배경에 욱일기가 있어서 문제가 됐던 것입니다.

Edwin de Catalina는 블랙 핑크 에디션만 특별히 욱일기를 배경으로 찍은 게 아니라

원래부터 작업실 벽에 욱일기를 걸어놓고 있던 것이었습니다

 

AMDAMD 필리핀 공식 페이스북 계정에 일본 욱일기 문양이 포함된 커스텀 PC 사진 게재로

많은 분께 불쾌감을 드린 점에 대해 진심으로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AMD는 해당 게시물을 파악한 즉시 사진을 삭제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AMD는 많은 분께 실망을 드려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향후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문화·역사 이슈에 대해 더욱 신중히 접근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 AMD 페이스북 페이지- 

 

이런 해프닝이 있고난 후 AMD는 욱일기가 등장한 영상을 삭제하고, 새로운 영상을 업로드했습니다.

AMD는 욱일기가 등장한 영상을 유튜브와 페이스북 등의 SNS에서 모두 삭제하고,

욱일기가 없는 새로운 영상을 업로드했습니다.

새로운 영상에서는 욱일기가 있던 부분이 다른 이미지로 대체되었습니다.

 

 

AMD는 욱일기 사건 이후로 한국 소비자들에게 사과와 감사의 말을 전하며,

한국 시장에 대한 존중과 애정을 표현하였습니다.

AMD는 한국에서 열린 Ryzen3000 시리즈와 Ryzen4000 시리즈 CPU의 출시 행사에서도

한국 소비자들에게 감사와 사과의 말을 전하며, 한국 시장에 대한 존중과 애정을 표현하였습니다.

AMD는 한국 소비자들에게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AMD2020년에 열린 [브랜드 스톡 코리아]에서 CPU 부문에서 최우수 브랜드로 선정되었으며,

GPU 부문에서도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습니다.

 
 
반응형

'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소프트 (MSFT.NAS)주가  (82) 2023.09.10
애플 (AAPL.NAS)주가  (84) 2023.09.06
TSMC(ADR) (TSM.NYS) 주가  (59) 2023.09.02
ASML 홀딩(ADR) (ASML.NAS)주가  (73) 2023.09.01
테슬라 (TSLA.NAS)  (97) 2023.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