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NFLX.NAS)주가

2023. 8. 28. 00:21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K-드라마를 세계만방으로 알리는 1등 공신 넷플릭스!!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두둥~~

오늘 소개할 종목은 인터넷 TV 네트워크를 통해 TV 프로그램, VOD, 영화들을 제공하는
미국 최대 유료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사이자 다국적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190여 개국에서  2억 3,800만 가구의 유료가입자를 보유하고,

4억 명이 본다는 OTT스트리밍 플랫폼을 대표하는 '넷플릭스'입니다 

 

넷플릭스를 상징하는 이 사운드는 Tudum(투둠)이라는 공식 명칭이 있습니다.

유명한 사운드 에디터인 론 벤더가 넷플릭스의 의뢰를 받아 제작한 사운드로,

론의 결혼반지가 론의 침실에 있는 캐비닛에 부딪히는 소리를 가지고 만들었다고 하네요

 

 

1997년에 마크 랜돌프와 리드 헤이스팅스가 설립하여

1998년 서비스를 시작한 온라인 DVD 비디오 대여점이 그 시초였습니다.

당시에는 대여점이라고는 해도 따로 매장이 있는 게 아니라,

넷플릭스 홈페이지에서 DVD 대여를 신청하면 영화 DVD를 우편으로 보내 주는 방식이었습니다.

빌린 DVD를 반납할 때는 DVD를 선납 봉투에 담은 뒤 우체통에 넣기만 하면 되는

당시에는 파격적인 너무나도 간편한 서비스였습니다.

넷플릭스 대여 서비스는 기존 비디오 대여점과는 달리 연체료가 없었고,

월정액 요금을 내면 DVD를 무제한으로 빌려 볼 수 있는 구독형 서비스도 제공하여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후 2007년부터는 구독자들에게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스트리밍 서비스는 가파르게 성장하여 출시 2년 만인 2009년에 연간 스트리밍 영화 수가

연간 DVD 대여 건수를 넘어설 정도의 인기를 끌었으며, 넷플릭스의 새로운 주력 사업으로 자리매김합니다.

또한 스트리밍은 대여점 사업과는 달리 DVD 재고를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해외 진출도 용이했는데,

2010년 캐나다를 시작으로 현재 190여 개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넷플릭스는 총 4,200만여 장의 영상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트리밍을 이용하는 가입 가구는 20177월부로 전 세계 1억 명을 돌파했고,

20223분기 기준으로 22,300만 가구를 넘어섰으며, 미국에만 6천만 가구가 시청 중에 있습니다.

 

"미국 내 프라임타임 인터넷 트래픽의 3분의 1을 넷플릭스가 사용하고 있다"CNN의 보도가 있을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으며, 방송 산업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며, 방송 시청자가

유료 케이블 방송을 해지하고 인터넷 TV, 스트리밍 서비스 등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현상인

이른바 코드커팅(Cord-Cutting) 현상을 주도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넷플릭스 때문에 미국 내에서는 매년 케이블 TV의 구독자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할 정도입니다.

 

넷플릭스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개인화된 추천 알고리즘,

광고 없는 무제한 시청 서비스 등으로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에는 20157월에 처음으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1. 기본 정보

 

 

 

 

기준일 : 23년 8월 25일 기준   (원/ USD 환율 : 1,330원) 기준
1. 넷플릭스   Netflix, Inc
2. 회사설립 일자 1997년       
3. 주식시장 상장일 2002 년 5월 23일 미국 나스닥  
4. 총 발행주식 수 443,147,000 주  
5. 유통 발행주식 수 436,659,328 주   ( 98.54 %)
6. 현재가 416.0300 USD 550,400원  
7. 시가 총액 1,843억 USD 약 245조원   
8. 올해 배당금액
(배당 유무)
배단 대신 자사주 매입하는 방식으로 대신하겠다고 발표
9. 최소 매수수량
(기준 단위)
1 주       
10. 매입 최소 단가 550,400 원    

● 공식홈페이지 : https://about.netflix.com/ko 

 

2. 사업내용

   

20181, 창사 이래 처음으로 시가총액 1,000억 달러를 넘긴 후

같은 해 5월에는 장중 한때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시가총액마저 뛰어넘어

세계 최대의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얻었습니다.

디즈니의 경우 2013년에 역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1,000억 달러를 달성했으며,

넷플릭스와 디즈니의 시가총액 추이를 보면 신흥 기업이 전통의 미디어 거물을 꺾은

넷플릭스가 상대적으로 얼마나 짧은 시간 내에 폭발적으로 성장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미국의 TV 역사에서 NBC, ABC, CBS, FOX 등의 지상파 방송사가 주도한 첫 번째 물결이었다면

CNN, MTV, HBO, ESPN 등의 케이블 채널이 주도한 두번째 물결에 이어

OTT 서비스가 주도하고 있는 세번째 물결을 상징하는 기업으로

사실상 21세기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시장의 판도를 가장 크게 변화시킨 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성공의 1등 공신은 코로나 바이러스이고, 2등 공신은 K 드라마라고 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의 창궐로 인해 스트리밍 붐이 오면서

넷플릭스는 코로나 사태의 가장 큰 수혜주가 되었고, 주가가 연일 고공행진하면서

같은 해 3월에는 다시 한번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시가총액을 꺾고 왕좌를 탈환,

디즈니를 완전히 깔아 뭉게 버리게 됩니다. 

202012월에 결국 OTT 중 최초로 전 세계 가입 가구수 2억 가구를 돌파하면서 왕좌에 오르게 됩니다.

 

해외만이 아닌 한국에서도 인기몰이를 하면서, 한국산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가 화제가 되고

특히 2022년 한 해에는 오징어 게임과 지금 우리 학교는.. 을 비롯해 우영우 등의

특정 콘텐츠가 넷플릭스에 있냐 없냐가 콘텐츠를 시청하는 기준이 되는 등

넷플릭스를 보지 않은 사람들과 대화에 참여하지 못할 정도로 TV를 보지 않는 젊은 층을 

무서운 속도로 흡수하며, K 드라마의 해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이에 뒤늦게 애플TV나 디즈니+가 전선으로 뛰어 들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넷플릭스의 완벽한 승리입니다.

 

 

2015년 넷플릭스가 한국에 진출하면서 넷플릭스 창업주 및 CEO인 리드 헤이스팅스가 직접

한국 드라마를 한국의 킬러 콘텐츠로 주목하고 투자하기 시작했습니다

 

2017년 이후 한국 드라마 중 히트 치거나 많은 돈을 쓴 드라마인 미스터 선샤인, 아스달 연대기,

베가본드, 더 킹 : 영원의 군주 등은 제작비가 수백억 원이 넘는 드라마로 대부분 넷플릭스의 투자를 받았으며,

해외 방영권을 넘기는 조건으로 투자를 받아 제작하는데

업계에서 오죽하면 "넷플릭스와 방영권 계약을 못 하면 수백억 원대의 대작드라마를 만들기 힘들다"

이야기가 나올 정도입니다

 

지상파 방송국들의 경우 당연히 넷플릭스에 대해 껄끄럽게 생각하고 해서 연합하여

wavve라는 OTT를 만들었지만 드라마 제작비가 부족해서

넷플릭스와 계약하는 모순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나라에서 한국 드라마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킹덤, 스위트홈 등은 많은 지역에서 상위 순위를 차지한 것을 시작으로

 

2020년 이후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적인 넷플릭스의 활성화를 통해 한국 드라마가 선풍적인 인기를 얻

김수현이 주연을 맡은 '사이코지만 괜찮아'는 넷플릭스를 통해 190개국에서 선보여지고 있는데,

아시아 각지에서 '가장 많이 본 콘텐츠' 상위권을 차지했고,

브라질과 페루 등 남아메리카 전역에서도 10위권에 올랐습니다.

넷플릭스의 글로벌 종합 순위에선 6위까지 올랐으며, 특히 '킹덤' 시즌2는 공개 직후

인도 넷플릭스의 '오늘의 Top 10'에 안착했고, 이태원 클라쓰, 사랑의 불시착 등도 4월부터 9월 이후까지

쭉 일본 넷플릭스 상위권을 차지하며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도 시청했다고 언급할 정도였습니다.

 

2021년 이후 세계적으로 시청률 1위를 자주 기록하여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20219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인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흥행을 기록하고

이후 몇 달 동안 세계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후 연말 지옥이 몇 주나 세계 1위를 지키고

20221월에 지금 우리 학교는과 20233월에 더 글로리가 첫 주 흥행 기록을 갈아치우며

한국 드라마들이 넷플릭스의 역사를 써 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오징어 게임은 그냥 세계 1위 작품이 아니라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흥행한 작품이 되었는데

불과 한달만에 전 세계 누적 시청시간 16억 시간을 돌파한 것은 역사를 새로 쓴 신기록이었습니다.

 

또한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 드라마가 크게 흥행하면서 신인 배우들도 많이 주목받는 등 선순환도 있습니다.

 
 

 

3. 산업 및 시장분석

 

OTT는 인터넷을 통해 TV 프로그램, 영화, 다큐멘터리 등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2020년 세계 OTT 시장 규모를 약 1,100억 달러로 추산하고 있으며,

PwC를 비롯한 여러 기관들도 OTT 산업을 연평균 약 20% 성장하는 시장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OTT 산업은 2012년 이후 연평균 28% 성장을 거듭해

20207,801억원 규모로 성장했으며,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2021년 국내 OTT 시장 규모를 1조 원으로 예상했습니다.

 

OTT 산업의 주요 경쟁 요인은 콘텐츠와 가격입니다.

OTT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다양하고 품질 높은 콘텐츠를 원하며,

이를 위해 여러 개의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OTT 사업자들은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과 구매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의 판도와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콘텐츠 자산이 총 325억 달러로 전체 자산의 70%에 이르며,

콘텐츠 제작 및 구입을 위한 부채가 총 228억 달러입니다.

디즈니 역시 디즈니만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훌루 (hulu)'를 포함해

지난 분기 전 세계 구독자 2억 2100만 명을 기록하며 넷플릭스를 제치기도 했습니다.

 

OTT 서비스의 가격은 가입자들의 가입 의사와 유지율에 영향을 줍니다.

넷플릭스는 지난해부터 일부 국가에서 가격 인상을 실시했으나, 가입자 수가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넷플릭스의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충성도, 그리고 오리지널 콘텐츠의 파워가 작용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반면 국내 OTT 서비스들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할인과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티빙과 KT 시즌의 합병으로 탄생한 티빙 플러스는 SKT 고객에게 월 990,

LG U+ 고객에게 월 5500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웨이브는 CJ ONE 회원에게 월 7900원에 서비스를 제공, 여기에 쿠팡플러스까지 가세하고 있습니다.

 

 

4. 대표상품과 시장점유율 분석

 

넷플릭스의 대표상품은 오리지널 콘텐츠로, 넷플릭스가 직접 제작하거나 구매한 콘텐츠를 말합니다.

스트리밍(OTT) 서비스는 현재 넷플릭스의 주력 사업이며 월 정액제로 운영합니다.

DVD 사업이 진행 중이던 2007년에 DVD 구독 고객 한정으로 처음 도입되었고,

이후 2008년부터 DVD와 스트리밍 요금제를 분리한 뒤 종량제 대신 정액제를 도입하고,

콘텐츠 수를 지속적으로 늘려나갑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은 한 시즌의 모든 에피소드가 1년에 한 번 하루에 몽땅 공개되는 것이 특징으로

몰아보기가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인기가 좋으며,

광고를 통해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텔레비전의 케이블을 끊어버리고,

넷플릭스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인기 때문에 통신사들은 밥줄인 케이블 TV를 위협하는 넷플릭스를 견제하고 있으며 

컴캐스트는 망 사용료를 추가로 지급하게 했고, 넷플릭스의 인기가 높은 국가의 통신사들은

대체로 인터넷 종량제를 도입하려 하는 시도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넷플릭스는 콘텐츠의 현지화를 회사의 주요 전략으로 삼고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현지화는 단순히 번역을 잘하는 것뿐만 아니라 세계 각 지역의 우수한 창작자들과

파트너십을 맺어 그 나라만의 문화적 요소를 녹여낸 특수한 콘텐츠들을 제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게 제작된 각 나라의 현지 콘텐츠들을 전 세계의 넷플릭스 이용자들에게 공개함으로써

오리지널 작품들의 문화적 다양성과 신선함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전략이 주효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콘텐츠는 오징어 게임, 퀸즈 갬빗, 스트레인저 씽스 등 수많은 상을 수상하고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콘텐츠 자산이 총 325억 달러로 전체 자산의 70%에 이르며,

콘텐츠 제작 및 구입을 위한 부채가 총 228억 달러입니다.

 

넷플릭스의 시장점유율은 전 세계 OTT 서비스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2020년 세계 OTT 시장 규모를 약 1,100억 달러로 추산하고 있으며,

넷플릭스는 이 중 약 3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OTT 시장은 2012년 이후 연평균 28% 성장을 거듭해

2020년 7,801억 원 규모로 성장했으며, 넷플릭스는 이 중 약 4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와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충성도,

그리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개인화된 추천 알고리즘, 광고 없는 무제한 시청 서비스 등으로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2022년 오징어 게임이 에미상에서 미국 드라마로 인정되어 출품 자격을 얻고 자그마치 6관왕을 하는 일이

넷플릭스가 없었더라면 불가능했을 일입니다.

 

 

5. 주가 및 차트정보

 

 

 

넷플릭스의 주가는 코로나 19의 수혜로 최고 정점을 찍고 나서 20221분기에 코로나 사태의 종료와 함께

가입자 수가 감소하고 경쟁사들이 증가한 영향으로 35% 이상 폭락했습니다.

넷플릭스는 20221분기에만 200만 명의 가입자가 빠져나가면서 전통적인 엔터사와,

수입이 줄어든 방송사 및 애플 같은 기업이 스트리밍 서비스 (OTT)에 도전하면서

경쟁사가 증가한 점이 원인이었으나 뚜껑을 열어보니 디즈니플러스나 애플 TV의 콘텐츠가 많이 부족했고

호응이 없자 다시 반등하게 된 상황입니다.

 

특히 주춤했던 한국 콘텐츠들이 더 글로리와 악귀등과 함께 2023 하반기부터 오징어게임 시즌 2등

굵직한 K 드라마들이 다시 하나둘씩 등장하면서 다시 부활을 시도하며 반등을 꾀하고 있습니다.

 

 

 

6. 재무 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넷플릭스 2022년도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2022년도 매출액과 영업이익 그리고 순이익은 매우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2023년도 1사 분기와 2사 분기 매출은 어떤지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넷플릭스 23년도 1Q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요금제를 인상하고 나서 많이 이탈할 것이라고 봤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선방했다는 평가입니다

특히 23년 상반기에는 더 글로리 외에 한국 드라마나 크게 화제가 된 프로그램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하게 매출을 유지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2023년도 2Q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2사 분기를 들어서면서 매출이 다시 안정권으로 접어들었다고 할 만한 것이 넷플릭스가 주춤했을 때

다른 경쟁사들에서 치고 나왔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니 그래도 믿고 보는 넷플릭스로 시청자들을 

유지해 나가고 있습니다

  

 

 

7. 경쟁사 분석

 

여러 미디어 IT기업들이 자체 OTT를 출시했으며,

현재 미국시장은 그야말로 서로 박 터지게 싸우는 춘추전국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넷플릭스에게 도전장을 내민 기업은 월트 디즈니 컴퍼니, AT&T(워너미디어),

컴캐스트(NBC유니버설), 내셔널 어뮤즈먼트(바이어컴 CBS)등 미디어그룹들과 아마존닷컴,

애플, 구글 등 IT기업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입자 수와 유료 가입자수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미국 3대 이동통신사인 T-Mobile고가 무제한요금제에 가입하면

넷플릭스 스탠더드 서비스가 기본 제공됩니다.

 

미국 1위 이동통신사 버라이즌의 무제한 요금제에 가입하면 $10 추가로

애플뮤직/애플 TV+/아이 클라우드 50GB가 제공되며, 

,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의 프라임 회원에 가입하면 프라임 비디오가 기본 제공됩니다.

다른 OTT 서비스들도 번들과 할인으로 주로 제공되고 있으며, 순수 유료 가입자는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디즈니

디즈니+의 미국과 캐나다 구독자수는 4,600만 가구입니다

넷플릭스에게는 상당히 위협이 되는 경쟁자 중 하나이며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대부분의 연령대를 커버 가능한 압도적인 자체 콘텐츠, 팬들의 높은 충성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1위의 미디어그룹답게 현재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OTT로는 디즈니+, 훌루, ESPN+, 핫스타가 있으며,

디즈니+는 현재 전 세계 구독자수 12,980만 가구, 훌루는 4,380만 가구,

ESPN+1,150만 가구의 구독자를 보유했으며, 핫스타는 인도 OTT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HBO Max 

HBO Max의 미국과 캐나다 구독자수는 5,000만 가구입니다.

AT&T 소속의 워너미디어는 과거부터 디즈니와 쌍벽을 이뤘던 미디어 그룹이자,

미국 드라마 명가인 HBO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디즈니 못지않은 강력한 경쟁자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으며 

현재 워너미디어의 OTT로는 HBO Max가 있으며, HBO Max는 전 세계 구독자수가 6,940만 가구입니다.

DC 유니버스라는 DC 전용 OTT도 있었지만, 2021121일 해체되면서 HBO Max와 통합되었습니다.

HBO MaxAT&T의 1 Gbps 인터넷에 가입하면 무료로 제공된 적이 있어, 구독자 수에 허수가 있습니다.

 

 

프라임 비디오 

프라임 비디오의 미국과 캐나다 구독자수는 7,400만 가구입니다

, 아마존 프라임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순수 구독자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대표적인 IT기업 중 하나인 아마존닷컴은 2005년 프라임 비디오를 론칭했으며,

현재 전 세계17,500만 가구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피콕 

피콕의 미국과 캐나다 구독자수는 2,200만 가구입니다.

미국 최대 케이블 TV 회사인 컴캐스트 소속의 NBC유니버설이 출시한 OTT로 스포츠 생중계가 특징인데,

영국 EPL 프리미어리그 축구, NFL, 월드컵 등을 미국에 생중계 스트리밍 합니다

 

 

파라마운트

내셔널 어뮤즈먼트 소속의 바이어컴 CBS은 현재 출시한 OTT로 파라마운트+가 있으며,

현재 전 세계5,600만 가구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애플 TV+ 

대표적인 IT기업, 중 하나인 애플은 2019년 애플 TV+를 출시했으며,

현재 구독자수 전 세계 5,000만 가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구독자의 절반이 무료 구독자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유튜브 프리미엄 

유튜브 프리미엄의 미국 구독자수는 2,700만 가구입니다.

구글의 유튜브는 자체 OTT로 유튜브 프리미엄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현재 구독자수 전세계 8,000만 가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8.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 전 세계의 다양한 장르와 언어의 콘텐츠를 제공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충성도 23000만 명 이상의 유료 가입자들의 만족도와 재가입율이 높음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개인화된 추천 알고리즘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높은 가격과 지역별 차별화 다른 스트리밍 서비스에 비해 가격이 비싼 편
콘텐츠 제작 비용과 부채의 증가
저작권 침해와 법적 분쟁 저작권 침해와 법적 분쟁 사회적 가치나 정치적 성향에 반해 검열이나 금지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글로벌 시장의 확대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등 신흥 시장에서도 성장할 가능성이 높음
신규 콘텐츠와 협업의 확대 오리지널 콘텐츠로 다양한 장르와 문화로 계속해서 제작
신기술과 트렌드의 활용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경쟁사의 증가와 시장 점유율의 감소
규제와 세금의 증가
콘텐츠의 내용이나 품질에 대해 사회적 논란이나 부정적 평가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나스닥 홈페이지, 나무위키,

                     유안타증권, 키움증권, 삼성 POP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9. 결론

 

넷플릭스를 보는 이유는 정말 다양한 콘텐츠가 있어서 꼭 보고 싶어서 결제를 했는데 

막상 결제를 해서 보고 나면, 그 다음에 볼 것들에 대해서 고민할 정도로 오히려 콘텐츠가 너무 많아

선택하기에 힘들다는 것이 단점일 정도입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현재 주가가 저렇게 비싼데 더 가겠느냐? 의 여부겠지요?

일단 넷플릭스의 가장 염려스러웠던 부채비율을 130%대로 끌어내렸다는 것에 대해서

공장장은 긍정적인 시그널로 보고 있습니다.

경영진에서도 그 부분 때문에 배당도 못해왔기 때문에  미안한 마음을 많이 가질 것이라 생각됩니다.

공장장이 생각하기에 현재 주가가 너무 높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가져볼 만한 주식이라고 판단됩니다

 

이 정도의 회사면 발행 주식수가 20억 주는 되어야 하는데 현재는 4억 4천만 주 밖에 안되다 보니

공장장의 예상이 맞다면 주식 분할 내지는 주식 배당이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과거 사례를 보자면 

2015년 1주당 6주씩의 주식배당이 있었음

 

과거 넷플릭스는 2015년도에 주식 한 주당 6 주를 배당하는 파격적인 배당을 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향후에도 그렇게 주식 배당 내지는 주식 분할(액면분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입니다.

넷플릭스의 공매도 잔고를 보면, 다른 종목들과는 달리 공매도 잔고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앞으로 하락할 가능성보다는 상승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반증하는 데이터입니다.

넷플릭스 공매도 미상환 잔고

 

따라서 한 주에 50만 원이라는 가격에 쫄기보다는 상승할 여력이 충분하다는 데에

중점을 두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물론 이 종목이 5배 열 배를 보고 저가에 매수하는 종목은 아닙니다.

향후 6개월 ~ 1년 정도 바라보고 아직 끝나지 않은 K 드라마에 힘을 싣는다는 마음으로 보시면

재미있을 종목이라 생각되어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  끝  -

 

 

반응형

'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TSLA.NAS)  (97) 2023.08.30
닥터 호턴 (DHI.NYS)주가  (85) 2023.08.29
징둥그룹 (9618.HKS)  (91) 2023.08.27
위프로(ADR) (WIT.NYS)주가  (88) 2023.08.26
토요타 모터스(ADR) (TM.NYS)  (105) 2023.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