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TSLA.NAS)

2023. 8. 30. 00:04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728x90
반응형

 

전기차의 대명사 테슬라의 주가 상승은 여기서 멈출 것인가!! 

 
 
 
안녕하세요? 투자공장 공장장입니다

 

오늘 소개할 종목은 엘론 머스크가 2003년 설립한 전기 자동차회사로 유명해서 따로 설명이 필요 없는 

'테슬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03년 창립 이래 2017년까지 46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생존 전망마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많았으나,

2018년 테슬라 모델 3의 안정적 생산에 성공하면서, 2019년 말부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2010년대 중반부터 전기 자동차 점유율 부분에서 거듭 1위를 지켜오고 있으며, 시가 총액을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 4위에서 현재는 주가가 많이 하락한 탓에 일곱 번째로 큰 기업입니다.

2023년 8월 29일 기준으로 테슬라보다 시가총액이 비싼 기업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람코, 구글, 엔비디아, 아마존 밖에는 없습니다. 

 

테슬라는 미국의 혁신적인 기업으로 전기자동차, 태양광, 에너지 저장 솔루션 등을 제공합니다.

테슬라의 창립자이자 최대주주는 일론 머스크로, 페이팔, 스페이스 X, 네우럴링크 등

다른 기업들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1. 기본 정보

 

 

 

 

기준일 : 23년 8월 29일 기준   (원/ USD 환율 : 1,330원) 기준
1. 테슬라   Tesla, Inc.
2. 회사설립 일자 2003 년 7 월 1 일    
3. 주식시장 상장일 2010 년 6 월 29일 미국 나스닥 시장  
4. 총 발행주식 수 3,173,990,000  
5. 유통 발행주식 수 2,759,616,084 86.94%
6. 현재가 239.5200 USD 317,000원  
7. 시가 총액 7,600억 USD 약 1,010 조원   
8. 올해 배당금액  배당없음    
9. 최소 매수수량  1 주       
10. 매입 최소 단가 317,000 원    

● 공식홈페이지 :  http://www.tesla.com

 

Electric Cars, Solar & Clean Energy | Tesla

Tesla is accelerating the world's transition to sustainable energy with electric cars, solar and integrated renewable energy solutions for homes and businesses.

www.tesla.com

 

 

2. 사업내용

 

 

테슬라는 2003년에 설립되었으며, 2010년에 나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테슬라의 주식은 TSLA로 거래됩니다.

테슬라는 미국의 혁신적인 기업으로 전기자동차, 태양광, 에너지 저장 설루션 등을 제공합니다.

테슬라의 창립자이자 최대주주는 일론 머스크로,

페이팔, 스페이스 X, 네우럴링크 등 다른 기업들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테슬라는 다양한 모델의 전기자동차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수명, 성능, 안전성, 디자인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은 업계에서 선도적인 수준입니다.

 

현재 생산 중인 차량모델은 로드스터(2008)를 시작으로 세단 모델 S, SUV 모델 X 

그리고 중형 세단인 모델 33을 차례로 선보였으며, 중형 SUV인 모델 Y를 출시했다. 

향후 로드스터 2세대, 전기 트럭인 테슬라 세미, 그리고 픽업트럭인 테슬라 사이버트럭

그리고 엔트리급 라인의 신형 자동차 등의 출시를 통해서 차종의 다양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태양광과 에너지 저장 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솔라시티라는 태양광 설치 회사를 인수하였으며,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지붕을 제공합니다.

또한 파워월과 메가팩이라는 가정용과 상업용 에너지 저장 장치를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테슬라의 전기자동차와 연계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여합니다.

 

테슬라의 흑자 기록에서 중요한 점이 있는데, 바로 탄소배출권 거래 수익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는 온실가스를 뿜어내는 업체들에 매년 배출할 수 있는 할당량을 부여해

남거나 부족한 배출량은 사고팔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유럽은 올해 특정 자동차 브랜드가 판매하는 모든 차량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km

평균 95g 이하로 제한하는데 이 기준을 맞추지 못하는 업체는 수천억 원 이상의 과징금을 내야 합니다

테슬라의 탄소배출권 거래는 자동차의 탄소 배출 규제가 강력한 유럽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전 세계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본사는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으며, 캘리포니아주 프레몬트에 팩토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네바다주, 뉴욕주에도 공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외에도 중국 상하이에 기가팩토리를 건설하였으며, 독일 베를린에도 기가팩토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전 세계에 수천 개의 슈퍼차저를 설치하여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회사의 비전 중 하나로 "지속 가능한 미래"라는 것을 내세우고 있으며,

환경 보호 정책에 매우 큰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테슬라는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제조 공정에서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고, 재활용과 폐기물 관리에도 신경을 씁니다.

이를 통해 제품 수명 주기 동안 자원 소모를 최소화하고 친환경적인 생산을 실현합니다

테슬라는 전기 자동차를 제작하여 탄소 배출을 줄이고 대기오염 문제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자동차는 연료비용이 적고 운행 비용이 절약되므로 사용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다양한 노력을 통해 테슬라는 환경 보호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2023년까지 1억 달러(약 1조 2천억 원) 규모의 배터리 구매 계약을 한화설루션과 체결했습니다.

한화솔루션은 테슬라의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사용될 고성능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입니다.

이는 테슬라와 한화설루션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한화솔루션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는 계약입니다.

 

테슬라는 2023년부터 새로운 모델인 모델 2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모델 2는 테슬라의 가장 저렴한 차량으로, 약 2만 5천 달러(약 3천만 원)에 판매될 것으로 보입니다.

모델 2는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생산될 것이며, 중국과 유럽, 아시아 시장을 겨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497 

 

'3000만 원대 모델 2' 테슬라 인베스터 데이 앞두고 공개된 신차 실루엣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다음달 1일,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올해 첫 '인베스터 데이(투자자의 날)'를 개최하고 회사의 향후 발전 방향을 공유할 예정인 가운데 해당 이벤트를 통해 이른바 '

www.autoherald.co.kr

 

테슬라는 자율주행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신경망 컴퓨터인 도조(DOJO)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도조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시스템인 FSD(Full Self-Driving)에 사용될

대용량 비디오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컴퓨터로,

일론 머스크는 도조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신경망 컴퓨터"라고 평가했습니다.

도조는 내년 초에 완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3. 산업 및 시장분석

 

 

전기차는 배터리, 모터, 인버터 등의 전기 구성품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로,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고효율, 저배출, 저소음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기차는 순수 전기차(B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연료전지 전기차(FCEV) 등으로

구분됩니다

 

전기차 시장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배터리 비용의 감소, 전기차 인프라의 확충 등의

요인으로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0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약 596만 대로 2019년 대비 약 41% 증가하였으며,

판매 점유율은 약 4.6%에 이르렀습니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조사업체 리포트링커는 2030년 글로벌 전기차 시장 규모가 2조 7000억 달러(약 3508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하였습니다.

이는 2020년 예상 시장 규모인 5438억 달러(약 706조 원)를 기준으로

연평균 성장률(CAGR) 21.6%를 적용한 수치입니다

 

현재 전기차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는 국가는 중국입니다.

중국은 가장 많은 전기차 재고(450만 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 신규 등록된 전기차는 총 116만 대로, 판매 점유율은 약 5.7%입니다.

중국은 신에너지 차량(NEV)에 대한 연간 ZEV 크레디트 목표를 제조사에게 의무화하고,

구매보조금과 충전 인프라 지원 등의 정책을 통해 전기차 보급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다른 주요 국가들도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자동차 제조사별로 CO2 배출량 한도를 강화하고, 자발적 ZEV 목표를 설정하였습니다.

미국은 캘리포니아 주를 비롯하여 여러 주에서 내연기관 신차 판매 금지 조치를 발표하였습니다.

 

한국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자동차 온실가스 기준을 상향 조정하고,

친환경 차량 보급 확대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일본은 승용차 신차 판매의 100%를 전기차로 실현할 수 있도록 포괄적인 조치를 강구할 예정입니다

 

전기차 시장 2030년 3500조 규모 급성장 (theguru.co.kr)

 

전기차 시장 2030년 3500조 규모 급성장

[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현대자동차·기아가 관련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8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리포트링커(Reportlinker)가

www.theguru.co.kr

 

 

4. 대표상품과 시장점유율 분석

 

테슬라의 대표상품은 전기자동차입니다.

테슬라는 다양한 모델의 전기자동차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현재 생산 중인 모델은 모델 S, 모델 3, 모델 X, 모델 Y입니다.

최근 출시 모델과 출시 예정인 모델로는 로드스터, 사이버트럭, 세미트럭 등이 있습니다.

테슬라의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수명, 성능, 안전성, 디자인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은 업계에서 선도적인 수준입니다

 

테슬라의 시장점유율은 최근에 급격하게 하락했습니다.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의 댄 레비 애널리스트는 202162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테슬라의 전기차 세계 시장 점유율이 20213월 기준 29%에서 4월 기준 11%로 낮아졌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2019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테슬라의 시장점유율 하락의 원인으로는 경쟁 업체들의 전기차 출시와 가격 인상,

품질 및 서비스 문제, 리콜 및 충돌 사고 등이 지적됩니다.

특히 중국과 유럽,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점유율이 동시에 하락한 것은

전기차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테슬라의 시장점유율이 줄어들었다고 해서 테슬라의 판매량이 감소한 것은 아닙니다.

전기차 시장 자체가 커지면서 테슬라의 판매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0년에는 약 50만 대 이상의 전기자동차를 판매했으며, 이는 역대 최고 기록입니다 

또한 테슬라는 중저가 시장을 겨냥한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배터리와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혁신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5. 주가 및 차트정보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테슬라의 주봉차트 (출처:키움증권)

 

테슬라의 주가는 올해 들어 2021년 11월까지 거침없이 상승하며 고점을 기록한 뒤 하락하게 됩니다.

주가는 액면분할 이후 100달러 대 까지, 작년 11월 사상 최고점인 414달러에 비해 65%가량 떨어졌다가 

다시 300달러대까지 상승하며, 그야말로 롤러코스터처럼 등락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습니다만, 공장장의 분석으로는

 

첫째, 테슬라의 차익 실현단계라고 보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주가가 급등한 데 따른 차익 실현을 위해 매물이 쏟아진 측면이 있습니다.

2022년 액면분할까지 단행하다 보니 주식을 일부는 보유하고

일부는 차익 실현하겠다는 주주들의 의지가 주가를 떨어뜨리는 데 가장 큰 요인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테슬라의 최대주주이자 CEO인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트위터 팔로워들에게 주식을 매도할지 물어보고,

과반수가 찬성했다고 발표한 후에 주식을 대량으로 매도하면서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둘째, 테슬라의 수익성 악화 우려입니다.

테슬라는 지난해 발표한 실적에서 매출과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지만,

수익성은 전년 동기와 올 1분기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머스크는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마진(이익)을 계속 희생할 의향이 있으며,

제품 가격을 더 인하하고, 생산량이 줄어들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테슬라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과 경쟁력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었습니다

 

셋째, 테슬라의 중국 시장 위기입니다.

중국은 테슬라의 가장 중요한 시장 중 하나로, 전체 판매량의 약 40%를 차지합니다.

그러나 최근 중국에서는 테슬라의 품질 및 서비스 문제, 리콜 및 충돌 사고, 데이터 보안 우려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만과 정부의 규제가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내에서는 경쟁력 있는 국산 전기차 업체들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어

테슬라의 점유율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넷째, 테슬라의 글로벌 경쟁 환경 악화입니다.

전기차 시장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배터리 비용의 감소 등으로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도요타, 폭스바겐, 현대차 등 전통적인 자동차 회사들은 기술 개발에 지속 투자하며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가격, 품질, 서비스, 브랜드 등에서 테슬라에 비해 우위를 가지고 있으며,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을 빼앗을 수 있습니다

 

 

 

 

6. 재무 분석

 

- 재무분석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전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확인하고 
최근 3년 이내에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추세 흐름만 확인합니다.

 

테슬라 2022년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테슬라 2023년 2Q 재무분석 (출처:키움증권) 단위:백만 화폐단위: 원

 

23년도 2사 분기 손익계산서를 분석해 보면 

전년 대비 매출이 크게 11조 원이나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오히려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생산 기지를 늘리거나 투자가 증가해서 줄어든 것이 아니란 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다행히 순이익이 조금 증가하기는 했지만 계속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7. 경쟁사 분석

 

테슬라의 경쟁사를 분석하자면 지금 당장은 중국의 전기차 업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전통의 자동차 강자들의 본격적인 전기차 생산으로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면서 계속 우위를 지켜왔지만 결국엔 폭스바겐이나, 토요타,BMW와 대부분의 

자동차 회사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테슬라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미국의 수소전기 트럭 제조업체인 니콜라는 픽업트럭 사전 주문을 받으면서

이미 테슬라에 도전장을 낸 상황이며, 한화그룹과도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미국의 전기차 업체인 루시드 모터스는 테슬라 기술 담당 고위직 출신인 피터 롤린스가

최고경영자로 참여한 업체로, 자사가 개발한 루시드 에어승용차가 한번 충전에 832주행하는 것으로

추산됐다며 전기차 분야의 신기록 달성을 예고했습니다

 

중국의 전기차 업체 샤오펑 모터스는 현재 스포츠유틸리티차량 (SUV)G3과 세단인 P7를 판매하고 있으며

내년에 3번째 모델을 내놓을 계획이며, 뉴욕증권거래소에도 상장한 상태입니다

 

도요타, 폭스바겐, 현대차 등 전통적인 자동차 회사들은

기술 개발에 지속 투자하며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으며,

가격, 품질, 서비스, 브랜드 등에서 테슬라에 비해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글로벌 경쟁사

 

 

 

8. SWOT 분석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의 성과, 경쟁력, 리스크와 잠재력을 평가하는 분석으로
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잘하는 것을 얼마나 더 잘하는지, 약점을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지?,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위협 요소들을 어떻게 회피해 나가는지?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주주로서의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강점 (Strengths) :
기업의 경쟁우위, 제품의 포트폴리오, 재정상태, 타 기업과의 차별화하는 긍정적 내용,
특허나 지적재산권 등 브랜드 평판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테슬라는 전기차와 ITS 기술 관련 특허에 기반한 뛰어난 기술력
자율주행 기술은 업계에서 선도적인 수준
판매, 유통, 고객관리 등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와 충성도 높음
솔라시티, 파나소닉 등과 제휴로 시너지 효과를 발휘, 지속가능한 에너지 옵션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음

 

2) 약점 (Weaknesses):
기업 내 조직의 성과나 인프라, 자원이나 자금 등 기업의 내부환경 문제, 브랜드 인지도나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업 내부 문제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합니다.

다른 자동차 브랜드들보다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을 책정
프리미엄 카테고리 차량으로 평가로 인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어려움
단일 공장에서 자동차를 제조하므로 생산량이 한정되어 공급 부족 문제와 배송 지연 문제를 야기
품질 및 서비스 문제, 리콜 및 충돌 사고, 데이터 보안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만과 정부의 규제 가능성

 

3) 기회 (Opportunities):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외부 요소입니다.
새로운 가능성,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적 파트너십, 시장의 확대, 트렌드의 변화 등의 요소들을 분석합니다.

전기차 시장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각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으로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
글로벌 시장 확장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
상하이 기가팩토리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중국과 아시아 시장에서 더 많은 고객을 유치
중산층 고객을 위한 저가 차량을 출시함으로써 시장 점유율을 상승에 노력

 

 

4) 위협 (Threats):
업계의 전망, 경기적 요소,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 등 
잠재적으로 기업의 전망에 해를 끼치는 요인이나 도전 과제 등을 분석합니다.

도요타, 폴크스바겐, 현대차 등 전통적인 자동차 회사들과의 치열한 경쟁에 직면
가격, 품질, 서비스, 브랜드 등에서 중국 전기차 업체와 전통 자동차 회사와 의 경쟁이 불가피
법적 및 규제 요건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거나 판매 제한 가능성이 있음
특히 중국 시장에서 테슬라의 데이터 보안 문제가 정치적으로 이슈화될 가능성이 높음

 

 

 인용 출처: 동사 홈페이지, 나스닥 홈페이지, 나무위키, 키움증권 등에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9. 결론

 

그러면 가장 궁금한 점은 과연 테슬라의 시대는 끝났느냐? 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여전히 테슬라는 전기차 시장에서 충성도가 높으며, 자율 주행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 장기적 관점에서는 여전히 매력이 있는 전기 자동차 업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테슬라로서는 안심할 수 없는 것이 저렴한 가경의 전기차로 맞짱을 뜨려는 중국의 전기차 업체와

전통 자동차 기업들의 빠르고 거센 추격에 맞설 수 있는 경쟁력은 필요합니다.

 

테슬라는 전기차와 ITS 기술 관련 특허에 기반한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며,

전기차 시장의 선두주자로 평가받으며 전기차의 대중화를 이끌어 왔으며,

다양한 차종과 가격대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는 만큼  테슬라는 자율주행 기술, 배터리 기술,

소프트웨어 기술 등에서 업계를 선도하고 있으며,

태양광 제품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신재생 에너지 옵션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는 점입니다.

 

테슬라는 도요타, 폴크스바겐, 현대차 등 전통적인 자동차 회사들과의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들은 가격, 품질, 서비스, 브랜드 등에서 테슬라에 비해 우위를 가지고 있으며,

전기차 개발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어서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을 언제든 빼앗을 수 있습니다.

또한 테슬라는 자동차 업체로서는 업력이 짧다 보니 법적 및 규제 요건 등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거나 판매가 제한되는 경우 크게 타격을 받으며, 주저앉게 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정치적인 이슈로 인한 배척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전반적으로 기업으로서 테슬라의 미래 전망은 혁신과 다각화 능력 등

내부 요인과 경쟁과 규제 등 외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테슬라의 파괴적인 혁신의 실적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운송에 대한 집중은

가까운 미래에 세계 비즈니스 환경에서 주요 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음을 시사합니다

 

분명 한 두 차례 큰 위기에 봉착했을 때 그 위기를 어떻게 넘기느냐의 여부에 따라서 

세계 1위의 자동차 업체인 토요타 보다 시가총액만 앞선 기업이 되느냐? 아니면

실력으로 토요타 보다 우수한 기업으로 우뚝 서느냐, 아니면 한낱 전기차 회사의 한 발 빠른 성공이 

단지 10년 천하로 끝나고 마느냐에 대한 테스트는 여전히 진행 중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내연 기관이라면 분명 엔진에 대한 노하우가 실력을 가를 것이지만 현재 게임체인저로서 

배터리와 자율주행과 같은 첨단 기술이 좌우되는 상황에서 오히려 전통의 자동차 기업들이 후발주자가

된 셈이기 때문에 분명 테슬라의 전기차 시장의 선점효과로 인한 전망이 아직은 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관한 최종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  끝  -

 

 

테슬라의 태양광지붕

 

반응형

'미국&해외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MC(ADR) (TSM.NYS) 주가  (59) 2023.09.02
ASML 홀딩(ADR) (ASML.NAS)주가  (73) 2023.09.01
닥터 호턴 (DHI.NYS)주가  (85) 2023.08.29
넷플릭스(NFLX.NAS)주가  (97) 2023.08.28
징둥그룹 (9618.HKS)  (91) 2023.08.27